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수연-
dc.creator허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0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make clear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s leisure activity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duty accomplishment, correlation with a higher officer, correlation with an associate, sense of belongiong, service anvironment) for soldiers in the military service and grope way that can elevat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n active service. Sample target was to make out question by own estimation recording mood(self-administration) as soldiers who are serving in the army head quarter and sample number is 400 people, but among these copies validity specimen 369 copies(93.2%) except data of 31 people that response was insincere or part of contents was omitted were used in research. Used duty accomplishment 5, correlation with a higher officier 4, correlation with an associate 5, sense of belonging 4, service environment 4, total 22 as for a measure ment tool of research abou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figure method use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Got a following consequence like below after verifying an assumption accroding to such method of study and data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the avent of physical activity that soldiers mostly experience for leisure was soccer but thier personally favorite event was soccer and basketball. Second, soldiers in the military service have been spending time for physical activity a week or so. Analysis showed that security soldiers did more physical activity than admininstrative support soldiers and else for available time extent for physical activity the others and security soldiers responsed more postively than administrative support soldiers, for space and facility condition a private than a sergeant, and accroding to the duty the others and securiy soldiers than administrative suport soldiers. Third, the consequence analyze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ccro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showed that the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is related to the higher degree of job satisfaction(duty accomplishment, correlation with a hegher officer, correlation with an associate, sense of belonging, service environment). ;본 연구는 군에서의 여가활동으로서의 체육활동과 병사들의 군 생활 복무만족도(업무수행태도, 상관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소속감, 복무환경)와의 관계를 밝혀 군대내 병사들의 복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표집대상은 육군본부에 근무하는 병사들로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으로 설문을 작성하게 하여 표집수는 400명이었으나, 이 가운데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된 31명의 자료를 제외한 유효표본 369부(93.2%)가 연구에 사용 되었다.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특성에 관한 6개문항, 체육활동 참여정도 5개문항, 군 복무만족도에 관한 22개 문항(업무수행태도 5문항, 상관과의 관계 4문항, 동료와의 관계 5문항, 소속감 4문항, 복무환경 4문항)으로 총 33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통계방법은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chi-square analysis), t-검증(t-test), 분산분석(one 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군대 내에서 여가를 이용해 주로 경험하는 체육활동 종목은 축구로 나타났으며, 개인적으로 희망하는 체육활동종목은 축구와 농구로 나타났다. 둘째, 군대 내에서 병사들은 주 1회 정도 체육활동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행정지원병보다는 기타특기의 병사(연주병, 화학병, 시설관리병)와 경계병이 체육활동을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체육활동을 위한 시간여건 정도는 기타와 경계병이 행정지원병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시설여건 정도는 이병이 병장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책에 따라서는 기타와 경계병이 행정지원병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군 생활 복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체육활동의 참여정도가 많아질수록 업무수행태도와 상관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소속감, 복무환경등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체육활동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군 생활 복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체육활동은 군 생활 복무만족도를 높이는 요인 중의 하나로 인식 할 수 있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군 생활 복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휘관들의 많은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및 가설 = 3 3. 연구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군 복무 만족 = 6 가. 개념적 정의 = 6 나. 직무 만족의 중요성 = 8 다. 직무 만족의 영향요인 = 10 라.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 = 15 2. 군 체육활동 = 18 가. 군 체육활동의 정의 및 목표 = 18 나. 군 체육활동의 목적 = 19 다. 군 체육활동의 내용 = 21 라. 군 전력증가와 체육활동과의 관계 = 23 마. 군대 레크리에이션의 필요성 = 27 3. 군 체육활동과 복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 29 가. 체육활동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30 나. 군 복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31 Ⅲ. 연구방법 = 35 1. 연구대상 = 35 2. 조사도구 = 36 3. 설문지의 신뢰도 = 38 4. 자료처리 방법 = 39 Ⅳ. 연구결과 = 40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육활동 내용과 참여정도 = 40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군 생활 복무만족도 = 48 3. 체육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군 생활 복무만족도 = 56 4. 일반적인 특성과 체육활동 참여정도, 군 생활 복무만족도의 상관관계 = 58 Ⅴ. 결론 및 제언 = 59 1. 결론 = 59 2. 제언 =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70 <부록> 설문지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27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병사들의 체육활동 참여실태와 복무만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