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성희-
dc.creator안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일반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이 내적 동기와 운동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성취목표 지향성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즉 성별에 따라서 과제지향성 성향 및 자아지향성 성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성별 내적 동기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즉 성별에 따라서 흥미, 유능성, 노력, 긴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성별 운동수행 향상정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성취목표 지향성은 내적 동기와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다. 즉 성취목표 지향성은 흥미, 유능성, 노력, 긴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성취목표 지향성은 운동수행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내적 동기는 운동수행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다. 일곱째, 성취목표 지향성은 내적 동기 및 운동수행과 인과적 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교양체육 수업을 듣는 대학생들에게 학기 초에 목표 지향성 척도와 내적 동기 질문지에 응답하게 한 후, 6주 후 담당교수로 하여금 각 학생들의 운동수행능력을 측정하게 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ㆍ경기 소재 3개 대학교의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로 총 262명(남=127, 여=135)이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성취목표 지향성은 과제지향성과 자아지향성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내적 동기는 내적 동기의 세부 영역인 흥미, 유능성, 노력, 긴장 중 흥미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긴장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운동수행 향상정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성취목표 지향성과 내적동기와의 관계에서는 남녀 모두 과제지향성과 자아지향성이 흥미, 유능성, 노력, 긴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취목표지향성이 흥미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에서 남자는 자아지향성이, 여자는 과제지향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성취목표 지향성과 운동수행과의 관계에서는 남자의 경우는 자아지향성, 과제지향성 모두가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자의 경우는 과제지향성만이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내적동기와 운동수행과의 관계에서는 남자의 경우는 흥미, 유능성, 긴장이 운동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는 노력과 긴장이 운동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남자의 경우 자아지향성, 내적 동기는 운동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지향성과 과제지향성은 내적 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여자의 경우 과제지향성이 운동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지향성과 과제지향성은 내적 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서 성취목표지향성, 내적 동기, 운동수행이 차이가 있음을 알아 볼 수 있었고, 성취목표지향성은 내적동기와 운동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desires to achieve the aim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ele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fluence on their inner motive and accomplishment of exercis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in the view of gender, the desire to achieve aim could be different. In other words, there could be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vity of homework and the directivity of self. Secondly, considering gender, there could be different inner motive. Namely, differences of interest, capability, effort and seriousness depend on gender. Thirdly, according to gender, the level of improvement to accomplish exercise could be different. Fourthly, the desire to achieve aim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er motive. In other words, the desire of achieve aim affects interest, capability, effort and seriousness. Fifthly, the desire to achieve aim could influence on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positively. Sixthly, inner motive could also work on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positively. Seventhly, the desire to achieve aim could have a cause-and-effect influence on inner motive and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Early in the semester, students who took an ele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the measure of directivity for aim and inner motive in order to prove this. After that, six weeks later, the professor in charge measured the ability to accomplish exercise of each student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The subject of study was 262 students(male=127, female=135) who took part in an ele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 of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 Firstly, in terms of gender and the desire to achieve aim, men had higher directivity of homework and higher directivity of self than women. Secondly, considering inner motive and gender, of all details of inner motive, interest, capability, effort, and seriousness, it represented that men had higher interest than women and women had higher seriousness than men. Thirdly, the level of improvement to accomplish exercise more influenced on men than women. Fourthly, according to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to achieve aim and inner motive, it showed that the directivity of homework and the directivity of self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est, capability, effort, seriousness, of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result of how the desire to achieve aim influences on interest, men were more affected by the directivity of self and women were more affected by the directivity of homework. Fifthly, in the view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to achieve aim and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in case of men, the directivity of self and the directivity of homework affected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women, only directivity of homework influenced on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Sixthly,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inner motive and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in case of men, interest, capability and seriousness significantly worked on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in case of women, effort and seriousness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Seventhly, in case of men, the directivity of self and inner motive had a direct effect on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The directivity of self and the directivity of homework had a direct effect on inner motive. Futhermore, in case of women, the directivity of homework directly influenced on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what is more, the directivity of self and the directivity of homework directly affected inner motive. All in all, this study found out that, according to gender, there are differences on the desire to achieve aim, inner motive and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Moreover, this study figured out that the desire to achieve ai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ner motive and the accomplishment of exerci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iii 그림목차 = iv 논문개요 = v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3 3. 변인 및 모형 = 4 4. 연구가설 = 7 5. 연구의 제한점 = 9 II. 이론적 배경 = 10 1. 성취목표 지향성 = 10 2. 내적동기 = 15 3. 성취목표와 내적동기 = 24 4. 성취목표와 운동수행 = 25 5. 성취목표 지향성과 내적동기 및 운동수행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 26 III. 연구방법 = 34 1. 연구대상 = 34 2. 측정도구 = 34 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 36 4. 연구절차 = 37 5. 자료처리 = 37 IV. 연구결과 = 39 1. 성별 성취목표 지향성의 차이 = 39 2. 성별 내적 동기의 차이 = 42 3. 성별 운동수행의 차이 = 46 4.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내적 동기 = 47 5.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운동수행 = 53 6. 내적 동기에 따른 운동수행 = 54 7. 성취목표 지향성에 따른 내적 동기 및 운동수행 = 55 V. 논의 및 결론 = 60 1. 논의 = 60 2. 결론 = 63 참고문헌 = 65 부록 = 72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01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학생의 성취목표 지향성이 내적동기 및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