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정-
dc.creator박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동작의 지도에서 어떠한 방법의 피드백 제시가 무용학습에 효과적인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무용동작을 과제로 하여 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습득단계에서의 수행점수와 파지단계에서의 점수를 분석함으로써 수행과 학습의 변화과정 및 수행지식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실험과제에 대해 사전정보와 경험이 전혀 없는 여자대학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라 총 40회 시행 중 매 10회 시행 후 수행지식을 제공받는 집단, 매 5회 시행 후 수행지식을 제공받는 집단, 매 1회 시행 후 수행지식을 제공받는 집단으로 나누어 12명씩 세 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학습과제는 발레의 스튼뉴-턴(soutenu-turn) 동작을 3회 연속 수행하는 것으로, 독립된 실험실에서 진행되었다. 모든 피험자들은 동일한 실험조건으로 행해졌으며, 5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사전검사를 포함한 총 40회의 습득단계 시행과 다음날 동일한 절차로 5회의 파지검사 시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피험자간-반복측정 설계로, 습득단계에서는 수행지식 제공빈도(3) × 분단(9)에 따른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고,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파지단계에서는 집단간 비교인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의 동작 수행의 평가는 발레 평균 경력이 15년인 4인의 발레전문가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정확성, 균형감, 방향감, 리듬감, 표현성의 5개 기준을 설정하여 각 항목을 10점 만점으로 하여 합계점수 50점을 만점으로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 습득단계에서 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분단간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집단간의 주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집단과 분단간의 상호작용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파지단계에서도 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습득단계와 파지단계 모두 매 회 수행지식을 제공받은 집단의 수행점수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초보자의 무용동작학습에 있어 피드백을 제시할 때에 언어적 수행지식을 매 번 제공하는 것이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발견은 결과지식의 상대적 빈도에 따른 학습효과에서 결과지식 제공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학습효과가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으며 오히려 보다 잦은 결과지식 제공은 결과지식에의 의존도를 높여준다는 지도가설(guidance hypothesis)과는 배치되는 결과로 학습을 위한 연습의 전략적 방법에 대하여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결론적으로 수행지식 제공빈도는 무용동작의 수행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학습자의 기술수준과 동작과제의 특성에 따라 수행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학습이론이 무용교육 현장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무용학습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rocess of changes in dance movement performance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knowledge of performance.Thirty-six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ith no information and experience about this study task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different groups. Each group consists of 12 students and received knowledge of performance either after 10 trials, or 5 trials, or every trial, respectively. The learning task was to perform three consecutive soutenu-turns in ballet and performed in an isolated lab. The task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Subjects performed 8 blocks of 5 trials, resulting in 40 acquisition trials in addition to a trial of pretest. Retention tests were given to students in the same way the next day.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for this study was a 3 × 9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second factor.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was used to analyze performance scores in the acquisition phase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in the retention phase. The subjects' performances were evaluated by ballet experts with at least 15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With a perfect score being 10 for each criteria, 5 different criteria were set ; i.e., accuracy, balance, direction, rhythm, expression. The analyses of data showed that the main effects of knowledge of performance on block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block and group. In the retention phas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groups, thus supporting the effect of frequency of knowledge of performance. In the both acquisition and retention phases, the group with more frequent knowledge of performance showed higher performance score than the other two. Providing verbal knowledge of performance in the beginning stage of practice have proven to be more effective in dance learning.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frequency of knowledge of performance be an important factor in dance performance and learning. Providing knowledge of performance according to subjects' level of techniques and the nature of movement task would seem to be a major factor to be considered in dance instruc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learning theory based on this study be used more widely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dance movement learning in the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표목차 = ⅲ 그림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C. 연구 가설 = 7 D.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무용동작 학습 = 9 1. 무용동작 학습의 개념 = 9 2. 무용동작 학습의 영향 요인 = 12 1) 연습 = 12 2) 피드백 정보 = 13 B. 수행지식과 무용학습 = 18 1. 수행지식의 정의 및 기능 = 18 1) 수행지식 (knowledge of performance)(KP)의 정의 = 18 2) 수행지식의 기능 = 19 2. 수행지식의 빈도와 무용학습 = 23 Ⅲ. 연구방법 = 26 A. 피험자 = 26 B. 과제 및 기자재 = 27 C. 실험 설계 및 절차 = 30 D. 자료 처리 및 분석 = 36 Ⅳ. 연구결과 = 37 A. 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습득단계에서의 수행결과 분석 = 37 B. 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파지단계에서의 수행결과 분석 = 46 Ⅴ. 논의 및 결론 = 49 참고문헌 = 54 ABSTRACT = 59 부록-Ⅰ. 무용동작 수행 평가표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81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