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민정-
dc.creator권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01-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studie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on "advanced athletics class" introduced to second year highschool students from 2003. The aim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hat can be useful in exploring ways to promote the advanced athletics class and in designing better elective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wareness of elective-oriented curriculum, status of advanced athletics class, design and operation of such class, and comparison of recognition between athletics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To this end, written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280 teachers and 328 students of 12 schools in Gyunggi Province, where the advanced athletics class was in operation, were surveyed, and 5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the 12 schools were chosen for in-depth interviews. As for the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χ²(chi-square) validation were made, and inductive range analysis was applied to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above mentioned procedures and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both students and teachers were found to have high level of recognition on the concept of elective-oriented curriculum and the status of advanced athletics class. In particular, the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effectiveness of the class, need for specialized instructors, curriculum and subjects. The students were well aware of effectiveness and status of advanced athletics class, leadership of teachers, subject composition and need for specialized instructors. On the other hand, both groups mentioned that there was lack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Second, a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advanced athletics class,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varied level of recognitions. They pointed out lack of sports facilities, bias against physical education, lack of attention and capabilities of students and absence of strong belief in the future career as problems and obstacles to the advanced athletics class. As for 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e respondents mentioned systematic counselling and encouragement as well as supply of information regarding athletics careers. Also, the class should be composed after extensive counseling and consultations, should guarantee advancement into colleges and should provide exciting and interesting curriculum. Third, athletics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showed different views on the advanced athletics class.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elective-oriented curriculum, status of advanced athletics class, problems and obstacles to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lass, willingness to take up the class, views on the class hours, ways to promote the class as well a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lass.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the group with low recognition and the group with high recognition. In other word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t demonstrates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n the advanced athletics class has impact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lass. ;본 연구에서는 2003학년도에 고등학교 2학년부터 적용되고 있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시행으로 편성된 '체육 심화반'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체육 심화반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은 선택제 프로그램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중심 교육과정과 체육 심화반 현황에 대한 인식도, 편성 및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체육 교사와 일반교과 교사의 인식 비교, 그리고 인식수준에 따른 체육 심화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시각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병행하였다. 연구 대상에서 설문조사는 경기도에 소재한 체육 심화반이 편성되어 있는 12개 학교 교사 280명, 학생 3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심층면담은 앞서 선정된 12개 학교 중 5개 학교의 체육 심화반 담임 교사 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설문지의 경우 빈도분석, t-test, χ²(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고 심층 면담은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체육 심화반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 모두 선택중심 교육과정과 체육심화반의 현황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경우 효과성, 강사의 필요성, 심화반 현황, 교육과정, 과목 구성에서 높은 인식 정도를 나타냈고, 학생의 경우 효과성, 심화반 현황, 교사의 지도, 과목구성, 강사의 필요성에서 높은 인식정도를 나타냈다. 반면 교사와 학생 모두 체육 시설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 정도를 나타냈다. 둘째, 체육 심화반의 편성 및 운영실태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생이 다양한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체육 시설의 열악함, 체육에 대한 좋지 않은 편견,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관심과 능력 부족,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확고한 신념 부족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문제점과 장애요인이 나타났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체계적인 상담과 학생들의 격려, 체육 관련학과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나타났다. 또한 상담과 진로지도를 통한 학급 구성, 높은 대학진학률과 다양하고 재미있는 체육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나타났다. 셋째, 체육 심화반에 대해 체육 교사와 일반 교과 교사는 각기 다른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중심 교육과정과 체육 심화반 현황에 대한 인식도, 편성시 문제점, 운영시 장애요인, 체육 심화반 수업 담당 의향, 체육 수업 시간에 대한 의견, 활성화 요인, 운영시 중시 내용,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의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체육 심화반 인식수준에 따른 체육 심화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시각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인식 수준이 상위인 집단과 하위인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체육 심화반에 대한 인식 수준이 체육 심화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살펴 볼 때, 현재 도입 시기의 체육 심화반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앞으로 체육 심화반의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체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체육 심화반에 대한 인식을 높여 많은 학생들이 '체육'과 '체육 심화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육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체육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체육과 교육 및 체육과 교육과정 = 6 1. 체육과 교육 = 6 2. 체육과 교육과정 = 7 3.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 8 4. 고등학교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 10 B. 선택중심 교육과정 = 16 1.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개념 = 16 2.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과 의의 = 17 3.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의 실제 = 19 4.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에 관한 사례 = 23 C. 체육 심화반의 편성과 운영 현황 = 25 1. 체육 심화반 편성의 필요성 = 25 2. 각 학교의 체육 심화반 편성 현황 = 27 3. 체육 심화반 운영 현황 = 28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 대상 = 34 B. 연구 도구 = 36 C. 설문지의 신뢰도 = 39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40 E. 자료처리 방법 = 41 Ⅳ. 결과 및 고찰 = 43 A. 선택중심 교육과정과 체육 심화반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도 = 43 B. 체육 심화반의 편성 및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 46 1. 운영실태 = 46 2. 개선방안 = 83 C. 체육 교사와 일반교과 교사의 인식 비교 = 89 1. 체육 심화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도 = 89 2. 체육 심화반 편성 및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 91 D. 체육 심화반 인식수준에 따른 심화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시각 = 97 1. 교사의 시각 = 97 2. 학생의 시각 = 98 Ⅴ. 결론 및 제언 = 100 A. 결론 = 100 B. 제언 = 104 참고문헌 = 105 ABSTRACT = 110 <부록 1 - 교사용 설문지> = 113 <부록 2 - 학생용 설문지> = 119 <부록 3 - 심층면담 질문지>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72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체육 심화반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