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한국 미술관을 중심으로 본 정보화 시대의 미술사 교육

Title
한국 미술관을 중심으로 본 정보화 시대의 미술사 교육
Authors
권윤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methods of achieving the museum education of art history efficiently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n museums, us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ed since 1990’s. I tried to suggest the model of art history education unified a study precedent, tests, and school programs to understand of the visual culture. Even though the education of art history should be taught in various fields of culture, history, art criticism, art appreciation and art creation, most of museums educated it separately. But now days there are some trials of inter-disciplinary and humanistic education. Some of museums in North America have strengthened a searching tool for suggesting the unified education of art history to adults by constructing and connecting their digital DB and tried to provide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it. For young students, they constructed to interactive web contents with their digital resources concerning their age and ability. It can be used the study precedent of appreciation and education program in the house and school. In case of Korea, the information system in national museums developed from the 1990’s has been advanced in the 2000’s. As every national museum are linked with their art collection DB, it is easy to use coordinative searching tools between the museums. Moreover, simulated museums, moving picture resources, museums for children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art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museums have not reached such progress yet, in terms of coordinating art history information and interesting educational models and employ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web; interactivity, multimedia, network. Therefore, the private museums need to focus on establishing systematic DB for the resources of art history considering to coordinate each museum’s resources. And it should make interesting stories based on art history, rather than showing resources without structures or providing instant games without contents. First of all, museums should choose the contents and population of the program based on the museum collections and environments, and then develop the program’s structures and details under the consideration of student’s abilities and the qualities of web technology. Also, it will be important to provide the continuing education systems that can be utilized at schools and home. The modality of this thesis was invented to teach ‘Letter Abstract Paintings of Ungno Lee’as an education model of art history, based on the goals mentioned before. For us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with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museum, this thesis is providing one of the methodologies in the museum education of art history. It will be a suggestion about the possibilities and further direc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useums. ;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급속한 발전을 거듭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국내 미술관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미술사 교육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필자는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선행학습과 평가, 연계 학습 등을 통합시킨 미술사 교육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시각 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미술사 교육은 그 학문적 특성상 문화, 역사, 미술비평, 감상, 제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미술관들은 각 영역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교육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다학문적이고 인문학적인 교육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북미지역의 미술관들은 디지털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ㆍ연계하여 성인 학습자들을 위한 검색 기능을 강화시키고 있으며 자료 공유를 위한 국제 규약과 기준을 마련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연령과 능력에 맞게 자료를 재구성하여 작품 감상을 위한 선행학습과 평가 과정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학교와 가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통합적인 미술사 교육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국ㆍ공립 미술관의 정보화 사업은 2000년 이후 본격화되어 각 미술관들의 소장품 데이터 베이스를 연계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전국 120여 미술관의 소장품과 자료에 대한 통합 검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가상 전시관과 동영상 자료, 어린이 박물관을 제작하여 미술사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향후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서는 기존 사업에서 제외되었던 소규모 사설 미술관의 자료들을 통합하고 국외의 자료까지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상호활동성, 다매체성, 네트워크 성이라는 웹 기술의 특성과 미술사적 지식을 흥미로운 이야기로 구성할 수 있는 디지털 스토리 텔링(Digital Story Telling) 방식을 도입하여, 단순히 자료를 나열하거나 일회적인 게임 활동이 아닌, 풍부한 교육 내용과 통합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흥미로운 미술사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소장품과 미술관 특성에 적합한 학습 대상과 내용을 선정하고, 학습 대상의 인지 능력과 학습 성향, 웹 기술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학교나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계학습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응노의 문자추상화를 학습할 수 있는 미술사 교육 활동을 제시하였다. 정보 기술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본을 들여 최신 기술을 도입하기 이전에 미술관 교육자와 학교 교사, 그리고 웹 기술자 등의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협력적인 연구를 통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의 일환으로 국내 미술관의 정보화 현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정보화 시대의 미술사 교육에 있어서 그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한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