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3 Download: 0

유아 성교육 현황 및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Title
유아 성교육 현황 및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Authors
박선미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c for more systematic sex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y identifying teacher's recognition of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grasping the reality and problem of sex education in child education institutes, and seeking some reform measur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1. What is teacher'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2. How about the actual operation of sex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3. What is the problem of sex education and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 can make some conclusions based on overall research above. First, most teachers agree on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children to acquire the appropriate sex education knowledge and form desirable sexual and normal life patterns. However, some teachers disagree on a sex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side effect of sex educati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sex education is needed. Second, the most important aim of sex education is that children can understand the role, and the features of genders, and form a desirable attitude by acquiring the appropriate sexual knowledge depending on thier development stage. This shows that teachers consider the social role of gender as an important element. A lot of results show that sex education is needed when children feel the sexual curiosity or sex education can be taught by relating to common subject in life. These results prove the lack of annual, monthly, weekly curricula on sex education. To develop systemic sex education,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a, not just in special curriculum. Also, children sex education should be taught not by only teachers but by teachers and parents togeth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eachers and parents should be cooperators as a partner. For teachers and parents to perform adequate sex education, organic, and prompt support system and sex education specialist are needed. The most common content of sex education is about the formation of basic life habits. However,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that should be deal with in the future are to educate kidnapping and sexual assault. These points reflect the increasing sexual crime and lead to emphasize on sex education. Nowadays, teachers have researched how to deal with the actions and responses related to children's gender, and how to use the appropriate vocabularies in sex education on their own without any specific guidelines. Some researches on the desirable actions, responses, and vocabularies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ental, physical development should be provided as a guideline. Currently, teachers teach sex education by using talks, stories, books, videos. In addition, the advisable materials can be puppet show, games, slides, sculpture, role plays as well as talks, using stories, videos. Research shows that teachers mostly agree that materials related to sex education are not enough since they think that available data are not much. This reflects that activity and teaching materials are limited. For sex education to be activated, various activities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Many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current sex education. 50 percent of teachers think the effect of sex education positively in contrast 50 percent of teachers do not think the effect of sex education significantly. Some steps need to be taken promptly. Most teachers have not got the right training on sex education. They want to get trained if they have a chance. In other words, there are not many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some opportunities should be made for them. Thirdly, research on some problems shows that teachers do not have many programs and materials related to sex educ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developing systemic sex education program and expanding knowledge through training teachers are required. Finally, I mak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lf-made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since there is not a standardized evaluation tool in current condition in surveying understanding of sex education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does not reflect the overall aspect of sex education. Secon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since it is based on teachers only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Third, research on current condition of children sex education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t contents or methods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different sex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urth, researches on parents' recognition and changes of children sex education by educating parents are needed. Fifth, most teachers say that the number of school and institution is not enough or at most average since the lack of chairperson's in institute recognition. Sixth, this study only surveys and analyzes the current condition of sex education and teachers' understanding. Further research on appropriate time, specialists, field study to prove the effect of sex education depending on contents methods, and experiments are needed.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아 성교육의 현황과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체계적인 유아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아 성교육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3. 유아 성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와 서울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14명이다. 유아 성교육의 현황 및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 및 문헌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질문지는 총 33문항이며, 질문지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 유아 성교육의 필요성,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성교육 운영 실태 및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아 성교육 실시 시 겪는 어려움과 유아 성교육 개선 방안, 유아 성교육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고 성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유아들이 올바른 성 지식을 습득하여 바람직한 성 태도와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한편 일부 교사들은 성교육의 역효과를 우려하여 유아 성교육을 반대하였다. 둘째, 유아 성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유아가 각 발달단계에 맞는 올바른 성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녀의 역할과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와 성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라 하였다. 유아 성교육 실시시기에 대하여 생활주제와 관련해서 실시하거나 유아가 성적 호기심을 보일 때 실시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유아 성교육을 교사와 부모가 함께 담당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유아 성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 내용은 기본생활습관형성에 관한 것이었으며 현재 실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유아 성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은 유괴 및 성폭력 방지에 대한 교육이라고 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유아의 성 관련 행동은 유아가 자신의 성기를 만지는 행동, 화장실 안을 엿보는 행동, 성에 관련된 이야기나 욕설을 하는 경우, 자위행위를 하는 경우였다. 이에 대한 대처방법은 경험한 행동의 특성에 따라 '왜 그 행동을 했는지 물어보고 하면 안 되는 이유를 자세히 설명한다', '모른 척 한다', '다른 놀이로 유도한다', '꾸짖는다' 등이었다. '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적극적으로 성교육을 실시한다'는 응답의 비중은 매우 낮았다. 성교육 실시 시 대부분의 교사는 유아들이 알아듣기 쉽다고 생각하는 '아기집', '쉬' 등과 같은 유아어를 사용하다가 '자궁', '소변' 등과 같이 점차 정확한 언어를 사용한다고 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성교육 활동 형태는 이야기나누기, 동화 들려주기, 도서류·비디오 활용하기 등이었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활동형태는 이야기나누기, 동화 들려주기, 도서류·비디오 활용하기뿐 만 아니라 인형극 관람, 동극, 게임, 조형, 역할놀이 등 다양한 형태의 활동이었다. 교수자료도 마찬가지로 도서류, 그림, 사진, 동화, 비디오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교수자료는 도서류, 그림, 사진, 동화, 비디오 뿐 만 아니라 인형극 자료, 슬라이드, 노래자료, 게임 자료 등 다양한 교수자료였다. 성교육 관련 자료 보유 현황을 조사한 결과 부족하거나 보통이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많았고 부족한 이유는 구입할 수 있는 성교육 관련 자료가 없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많은 교사들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의 질적 수준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도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성교육 실시 시 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잘 모르는 교사들이 지침으로 삼을 만한 성교육 프로그램과 활용할 수 있는 교수자료까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체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의 성 지식, 성교육 지도방법의 질적 수준 향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 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기회가 부족하여 교사교육을 많이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성교육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시 가장 필요한 내용은 '유아의 성 관련 문제 행동 지도 방법'이었다. 연구 결과,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인 인식에 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 성교육은 명확한 지침이나 교육과정 없이,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교수자료가 부족한 실정에서 체계적이지 못하고 다양하지 못하게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