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農村地域學生들의 意識構造에 關한 調査硏究

Title
農村地域學生들의 意識構造에 關한 調査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rural Korea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attitudes toward agriculture
Authors
曺才富.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농촌지역학생의식구조농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 硏究의 意義 오늘날 農村의 現實을 보면 比較的 敎育水準이 높고 有能한 農村靑少年들이 都市集中傾向을 보임으로써 非農業部門에 過多하게 集中되고 있다. 따라서 農村에서는 農村人口의 老令化와 女性化 現像을 나타내고 있으며 有能한 營農者 내지 農村指導者의 不足으로 農村開發의 速度를 遲延시키고 있다. 한편 都市에서는 離村靑少年들을 完全히 雇傭勞動力으로 吸?하지 못하므로서 勞動力의 二重喪失을 가져오게 됨으로 해서 社會的으로나 政治的으로 심각한 問題를 惹起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農村靑少年들의 離村現像에는 農業生産物의 需要限界와 所得差에 의한 經濟的 貧困이라든가 營農規模의 零細性이 주는 技術의 制限으로 因한 肉體勞動의 過多, 都市의 誘引力, 農村社會의 强한 拘東力등등 여러 要因이 있을 수 있지만 그 要因중의 하나가 過去의 人文系中心敎育이나 官職을 素望하는 父母의 價値觀으로 因한 肉體勞動의 忌避現像과 農業에 대한 理解不足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農村靑少年들의 農業에 대한 올바른 價値觀의 確立이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보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農村靑少年들의 農業에 대한 態度, 價値觀, 關心의 對象등 意識構造의 把握이 先行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그런 意味에서 科學과 技術을 바탕으로한 營農者의 同時에 先導的 指導者의 役割을 擔當하게 될 農業高等學生과 一般 人文高等學生들의 意識構造를 比較硏究하는 것은 매우 意義있는 일이라 보아진다. B. 硏究의 目的 1. 農村地域學生들의 意識構造에 關한 一般的 傾向을 把握한다. 2. 農業高等學生과 人文高等學生 사이에 어떠한 差異点을 發見할 수 있는가를 比較分析한다. 3. 農業에 대한 態度는 學生의 社會經濟的 特性에 따라 어떠한 差異가 나타나는가를 分析한다. 4. 特히 農業高等學校에 있어서 效果的인 農業敎育을 爲한 基礎資料를 提示하고자 한다. C. 硏究의 方法 先行硏究를 參照함과 아울러 現地調査를 通해 몇가지 ?說의 正當性 與否를 밝히고자 質問紙法에 의한 調査를 實施하였다. 1. 硏究對象 : 全南地方의 農村地域中心에 位置한 農高 4個校와 人文高 3個校를 有意選定하여 3學校에 在學中인 男子高等學生 各各 250名 總 500名을 硏究對象으로 했다. 2. 調査實施 : 調査對象學校를 現地訪問하여 3學年 擔任에게 依?하여 實施, 回收하는 同一한 方法을 使用하였다. 3. 資料處理 및 分析方法 : 硏究對象으로 選定된 500部를 全部回收하였으나 回答紙로 使用하기 어려운 20部(農高 10部 人文高 10部)를 除外하고 實際로 使用한 것은 硏究對象學生의 96%인 480名이었다. 이와같이 해서 調査된 資料를 스트립카드에 옮겨 分類集計해서 應答表를 만든 다음 百分率分析을 하였으며 硏究者가 必要하다고 보는 項目만을 相互交叉分析(Cross tabulation)을 通한 聯關性을 밝히고 有意度檢證을 위해 x'(chi-square)法을 병용하였다. D. 硏究結果 1. 營農意識 大體的으로 農村地域學生들은 農業, 農村에 대한 肯定的인 態度를 가지고 있지 못했다. 農事를 할 생각이라고 答한 學生은 5.2%에 不過했으며, 農村에서 살기를 希望하는 學生은 25.4%로 나타났다. 農業에 대한 態度는 學校別 父의 職業別 營農規模別로는 x' 檢證結果 有意水準 P<.05로서 意義있는 差異가 나타났으나 出生順位別로는 差異를 發見하기 어려웠으며, 農村에 대한 態度에 있어서 區分別 差異는 나타나지 않았다. 希望居住地와 職業으로서 農業에 대한 態度를 相互交叉分析을 通해 有意度 檢證을 한 結果 P<.001로서 매우 意義있는 差異를 나타내었다. 2. 農民의 社會的 性格에 대한 態度 大部分의 學生들이 農民들에 대해 肯定的인 態度를 가지고 있었다. 農民의 宿命論的인 性格이나 保守的인 性格이 남아 있다고 보는 學生은 극히 적었으나 相當數의 學生이 農民의 非協同性, 無計劃性, 職業的인 不滿, 權威主義的 家族制度를 指摘하고 있었다. 學校別 父의 職業別에 따른 差異는 發見하기 어려웠다. 3. 農村의 指導者에 대한 意識 農村의 發展에 必要한 指導者로는 實踐力이 있는 사람과 農業에 관한 많은 知識이 있는 사람에 높은 反應을 보였다. 指導者의 出身地는 一般農村出身者라야 된다에 제일 높은 反應을 보였고, 指導者의 形態로는 大部分이 民主的인 指導者라야 된다는 態度를 나타내었다. 學校別로 보면 農高生은 人文高生에 비해 農業에 관한 많은 知識이 있는 사람과 農村의 背景이 있는 사람, 民主的인 指導者를 바라는 反面 人文高生은 農高生에 비해 實踐力이 있는 사람, 어느정도 反民主主義者, 農村背景이 없어도 農村에 대한 理解가 있는 사람이면 된다에 더 많이 反應하였다. 4. 農村의 經濟發展 및 開發意識 農村의 生活水準은 5年前에 비해 向上되었다고 肯定的인 反應을 보인 學生이 83.9%로 나타났으며 그 原因은 새마을 事業이나 政府의 施策, 農民各者의 勤勉과 努力이라고 나타났다. 都鄙隔差의 經濟的 原因은 産業施設의 都市集中, 農産物價格의 相對的 低位, 土地規模의 零細性과 生産性의 低位로 나타났다. 學校別로 보면 農高生은 農業構造의 本質的인 脆弱性을 指摘하는 反面 人文高生은 政府政策에 敏感한 反應을 보였다. 地域社會 開發을 위한 意見으로는 農業의 機械化, 農民의 指導啓蒙이나 敎育施設의 擴充, 環境改善이나 防疫事業 順으로 나타났다. 學校別로 보면 農高生은 農業의 機械化에, 人文高生은 農民의 指導啓蒙이나 敎育施設面에 더 關心을 보이고 있다. 5. 價値觀 大部分의 學生들이 比較的 現代的인 價値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體統志向的인 一面도 보이며 더욱이 職業觀에서는 아직도 官職을 崇尙하는 體統的 思考方式이 强하게 남아 있으며 宗敎에 대해서는 比較的 肯定的인 態度를 보여주고 있다. 6. 農業敎育上의 몇가지 問題點 農高生들의 問題는 意外로 너무 深刻함을 發見했다. 入學動機 卒業後進路, 理想的인 職業觀에서 나타나듯이 農業에 대해 대단히 否定的이었다. 農業敎科目이 앞으로 營農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80.8%의좋은 反應을 보이고있으나, 農業實習에 대한 興味와 參與度는 낮았으며 實踐上의 學習效果로서 家庭에서 實踐해본적이 없는 學生이 大部分이며 産學協同도 別로 合理的인 連繫나 成果를 기약하고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E. 假說의 檢證 및 結論 1. 農業系 高等學生과 人文系 高等學生 사이에는 農業에 對한 態度에 差異가 있을 것이라고 보았으나 假說의 檢證結果는 意義있는 差異를 發見하기 어려웠다. 2. 農業에 대한 態度는 學生의 社會經濟的인 背景에 따라 差異가 있을 것이라는 假說에 대한 檢證結果는 學校別 父의 職業別 出生順位別로는 意義있는 差異를 發見하기 어려웠으나 大體的으로 營農規模別로는 有意味한 差異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營農을 할 수 있는 與件造成이 農業에 대한 態度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말 할 수 있다. 3. 農村地域에 있는 人文系 高等學生이나 農業系 學生들은 大體로 農業 農村에 對해서 否定的일 것이며, 農業에 대한 態度는 經濟的인 要因보다는 經濟外的인 要因이 더 많이 作用할 것이다라는 假說에 대한 檢證結果는 立證되었다. 즉 大體로 農村地域學生들은 農業 農村에 대해 否定的이였으며 그 要因은 都市에의 誘引力, 一般經濟의 不安定, 農業이 갖는 産業構造上의 脆弱性을 意識하고 있으며 肉體勞動의 忌避現像과 農業을 賤視하는 價値觀이 作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特히 農業系 高等學生들은 學業成就動機가 낮을 것이다라는 假說에 대한 檢證結果는 入學動機, 卒業後進路, 理想的인 職業觀에서 볼 수 있드시 農業이나 農業關係職에 대한 反應이 大端히 否定的이였으며 學業成就動機는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 Objective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 1) investigate the attitudes in general of the rural high school students, 2) compare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between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3) examine the impacts of socio-economic backgrounds on their attitudes toward agriculture, 4) derive implications for effective agricultural education, 2. Methods of the study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by testing the hypothesis, the data required were collected by reviewing the past studies on the subject and by a survey. 1) Selection of schools and students First, four agricultural high schools and 3 general high schools were chosen, which are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each region in Chonnam Province. Second, a total of 500 students of third grade, 250 from each school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2) Survey The researcher visited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classes of third grade and consigned them to interview the selected students with questionaires. 3) Data compilation and analysis Among the 500 questionaires, 20 were discarded due to the incomplete or careless answere. The cross tabulation and Chi-square methods were applied to test the hypothesis. 3. Results of the study 1) According to the answers, a few students preferred agriculture. Among the students interviewed, only 5.2% answered that they would engage farming, while 25.4% showed their intention to line in rural arch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preference for agriculture seems to be the stable nature of agriculture, while the opposite seemed to be the less possibility for better-off in agriculture. The Chi-square test implied that the factors such as kind of school, parents' aceupation and farm size were not significant in the student's selecting the place to line in the future, but they were significant at 5% probability in determining the preference for agriculture as a future occupation. 2) A substantial part of the students interviewed see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the farmers. A few students regarded the farmers as passive or conservative, on the other hand, a large number of them indicated that the farmers are characterized by non-cooperativeness, irregularity in daily life, high degree of occupational dissatisfaction, patriarchal authoritarianism, and traditional piety system. 3) It seemed that the students have a sound view on the leadership needed for rural development. An ideal leader in agriculture is defined by the students as the person who is democratic-minded, practical, and horn in agriculture with adequate knowledges on agriculture. The students in the agricultural high schools, put more emphasis on the democratic-mindedness, knowledges on agriculture and agriculture-origin as qualifications for a leader, while the students in the general high schools on the practician, understanding on agriculture regardless of the origin of birth or democratic view. 4) The reason for the widening rural-urban gap was attributed to the relatively low prices of farm products, small size of land holdings, and the concentraction of industries in urban areas. Also, it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of the general high schools were more sensitive to the governmental policies. But the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high schools were relating well aware of the structural weakness of agricultures. Suprisingly, 83.9% of the total students answered that,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rural people was better in the year than the previous year. Farm mechanization, rural education and enlightenment were identified by the students as key factors for rural development. A slight difference, however, was that the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schools, put higher priority on farm mechanization, while the students of the general high schools on the latter. 5) Further, the students seem to have established a modern value of their own, but some still showend partial preference for the traditional value. Governmental officers were highly respected by most of the students. 6)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high schools faced rather serious problems of themselves. As shown in the answers regarding their motivation to enter the school, their future plan, and their future job,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m disliked agriculture. Most of the students interviewed (80.2%) answered that their learnings in the classes on agriculture would bee helpful for farming. However, majority of them had a low interest in the farm-practice classes to shun them. Also the programme to forge a solid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and schools was very lowly evalu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