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科學的 方法의 理解를 爲한 大學 敎養化學敎育

Title
科學的 方法의 理解를 爲한 大學 敎養化學敎育
Other Titles
(The )chemical education for nonscience majors for understanding the scientific method with special emphasis on Conant's case history
Authors
安瑛嬉.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Conant, James B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to introduce J.B. Conant's historical approach based on case histories as an efficient method of, the chemical education for nonscience majors and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it in the gene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Depending mainly on literatures, the present state and tendency of the scienc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have been examined. Some problems of the chemical education for nonscience majors have been pointed out in the light of the recent change in the concept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Finally, an alternative way to improve the chemistry course for nonscience students by using Conant's case history method has been proposed.;이 연구는 교양과학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James B. Conant가 창안한 case history중심의 역사적 접근방법을 분석하고 한국의 대학교양화학교육에의 그 도입 문제를 모색한 것이다. 문헌에 의하여 화학교육을 중심으로 대학교육의 배경이 되는 중·고등학교의 과학교육과 대학 교양과학교육의 현황과 추세를 알아 보았고, 또한 과학개념의 변화를 살폈으며 이에 비추어 우리나라 교양화학교육의 문제점을 밝혔다. 끝으로 대안으로서 Conant방법의 도입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오늘날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육의 추세는 과학지식의 양적인 증대를 질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학습내용이 각론의 성격을 탈피하고 기본개념의 구조화에 중점을 두는 원리과학,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또한 그 효과적인 학습의 방법으로서는 탐구학습을 추구하게 되었다. 과학의 개념도 종래의 정적인 과학관을 지양하고 과학의 동적인 개념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의 내용도 과학적 발견의 결과 자체보다는 그 결과가 얻어지기까지의 과정이나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다. 대학 교양과학교육의 추세는 이제까지 과학을 고립된 영역처럼 가르쳐 오던 방법을 시정하여 학생들이 요구하고 있는 「관련성」을 느낄 수 있는 교육의 방향으로 가고 있다. 따라서 교육의 내용도 전문적 지식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에 대한 광범한 이해를 위한 과학론적인 내용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양과학교육도 이러한 방향을 추구하고는 있으나 이 방면에 대한 연구의 부족과 운영상의 여러가지 난문제로 인하여 교양교육으로서의 과학교육의 의의를 충분히 살리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과학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효과적인 한 밥법으로서 Conant가 제안한 역사적 접근방법이 있다. Conant가 과학교육에 있어서 강조하고 있는 과학의 이해란 과학이 이루어지는 원리로서의 전술과 전략에 대한 이해를 말한다. 이 방법에서는 이러한 과학의 이해를 위해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구하지 않고, 더우기 case history가 과학 자체만을 내용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과학의 인간적·사회적인 면을 고려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과학의 본질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오늘날 과학사·과학철학에서는 과학을 경험에 의한 실질적 작업으로 보지 않고 개념적 도식의 동적 발전으로 보는 새로운 과학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과학개념의 이해를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의 참된 모습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분석을 중심으로한 역사적 접근방법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특히 Conant의 case histery는 과학의 개념적 도식의 발전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과학의 방법과 나아가서 그 본질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대학 교양화학교육의 내용에는 과학적 방법 및 과학의 본질에 관한 이해를 돕는 과학론적인 이해가 거의 고려되고 있지 않다. 개별과학의 내용만 소개하는 데 그치거나 너무 광범위한 문제를 피상적으로 다룸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학 교양화학교육의 시정을 통하여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자연과학개론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으며 Conant의 역사적 접근방법의 도입을 제안하였고 그 시안을 만들어 보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