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노인 수도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그룹 음악치료적 접근

Title
노인 수도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그룹 음악치료적 접근
Authors
최현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인 인구가 많아지면서 노인 인구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가 점차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화와 함께 노인들의 사회적 활동이 줄어들면서 이에 병행하여 나타나는 심리적인 소외감, 고독감 등은 노년기의 질적인 삶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 지역에서는 노년기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인을 위한 치료연구 및 치료 적용이 다양하고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반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국내에서는 아직도 노인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이 부진하며 음악치료 연구 역시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의 사회성에 미치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W수녀원의 노인수도자 3명에게 그룹 음악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노인수도자 3명에게 전체 12회기로 구성된 3단계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1단계는 라포(rapport)형성 단계, 2단계는 자기표현 능력 향상 단계, 3단계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 단계로 설정하여 진행하였으며 매 회기는 시작성가, Hello Song, 음악활동, Good bye song으로 구성하였다. 각 회기의 음악활동으로는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대화하기, 리듬악기 연주하기, 즉흥연주 등을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매 시간 내담자들 간의 반응교류 관찰, 분석을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그룹 음악치료 시 음악치료 평가 기준표에 의거하여 Likert 5점 방식으로 목소리 크기, 노래 부르기, 언어지시 수행도, 대화 참여도, 연주 태도의 5가지 하위영역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질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 과 양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연구자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관찰자의 평가와 평균비교(independent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내담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하위영역의 측정결과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각 단계에 따라 5개의 하위영역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Duncan의 사후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내담자들 간의 반응교류 분석과 Likert 5점 방식 평가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내담자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상호간의 친밀감과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단계별 Likert척도 측정 결과를 보면 대화 참여도와 연주 태도는 2단계에서 변화가 보였고 목소리 크기, 노래 부르기, 언어지시 수행도는 3단계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특히 5가지 하위영역 중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직결되는 대화참여도와 연주태도에서 빠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그룹 음악치료적 접근이 수도공동체 생활을 하는 노인 수도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그룹 음악치료적 접근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은 노화로 인하여 고립되기 쉬운 노인 수도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영적인 생활에도 도움이 되어 행복한 노후 생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은퇴한 노인 수도자들뿐만 아니라 노인시설 등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는 노인들에게도 그룹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노화의 특징 및 노년기의 질적인 삶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감소시키고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르는 사회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 due to development of science and civilization, men's life span expands, and thus, the old population increases, which poses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elderly people's social activities are diminished as they age, and most of the elderly are psychologically alienated and lonely, which threatens their life quality.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improving elderly people's communication ability assuming that such an ability affects their sociability. To this end, 3 elderly people living at "W" convent were treated with a group music therapy to determine its effects. First of all, the subjects were treated with a 3-stage music therapy program which consisted of 12 sessions. The first stage was designed as rapport forming stage, the second stage as self-expression improvement stage, and the third stage was designed as communication improvement stage. Meanwhile, each session consisted of starting hymn, Hello Song, musical activities and Good Bye Song. The musical activities of each session consisted of singing, song writing, singing conversation, rhythm instrument playing and impromptu performance. While the therapy program was being implemented, subjects were observed for their mutual responses and exchanges, and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ir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ing.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bjectively, such sub-scales of subjects' voice volume, singing, implementation of verbal instructions, participation in conversation, and performance attitudes were measured using Likerts's 5-point scale according to a group music therapy assessment point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in both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and in order to test researchers' reliability, an observer assessed the researcher, while the researcher was subject to independent sample t-test. In order to test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sub-scales for improvement of subjects' communication skills, one-way ANOVA was used. Moreover,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s in each of 5 sub-scales, Duncan's post-test was applied. Summing up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utual responses and exchanges among subjects according to Likert's 5-point scale, it was found that subjects were more intimate with each other and more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over time, while their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ikert's scale measurements for each stage, subjects' participation in conversation and performance attitudes changed at the second stage, while voice volume, singing and implementation of verbal instructions improved at the third stage. Such results suggest that among the 5 sub-scales, participation in conversation and performance attitudes both directly related with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ed rapidly by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and that the group therapy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t a convent. All in all, the communication skills improved by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ould help to improve the elderly people's life quality and assist their spiritual life and ultimately, make their retirement life happier.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be useful to development of alternative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increasing old pop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