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성윤-
dc.creator최성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8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높은 자기은폐 성향을 보이는 말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악적 개입을 한 후 환자들의 자기은폐와 자기노출의 양적, 질적인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음악 치료 시행 후, 말기 환자들의 자기은폐 수준에 변화가 있었는가? 둘째, 음악치료 시행 후, 말기 환자들의 자기노출에 양적, 질적 수준의 변화가 있었는가? 셋째, 음악치료 시행 후, 말기 환자들의 자기노출의 질적 변화를 분석해 본 후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세 가지 범주로 분석한 노출내용상의 변화가 있었는가? 본 연구는 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며, 대상자는 주치의의 소견에 의해 잔여 수명이 6개월 이내로 판단되어지면서 자기은폐 척도에 의해 은폐 수준이 높게 측정된 환자로 실시하였다. 각 환자에게는 각각 9∼11회의 음악치료를 실시하였으며, 각 환자의 세션은 1단계 도입, 2단계 경험, 3단계 노출, 4단계 전환, 5단계 재경험의 단계로 묶어 구성하였다. 측정도구로는 Larson과 Chastain(1990)이 제작한 Self-Concealment Scale(SCS)를 사용하여 자기은폐 수준을 측정하였고, 자기노출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Pederson과 Breglio(1968)가 자기노출 행동에서 자유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만든 질문지를 Burhenne와 Mirels(1970)가 재구성 한 자기 묘사문(Self-description Essay)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노출양의 측정을 위해서는 초시계로 환자의 언어 반응의 시간을 재는 기간 측정법을 사용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고, 환자의 언어노출의 질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노출 내용을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의 3점 척도로 분석하여 환자의 노출의 내용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세 환자 모두에게서 음악적 개입 후가 음악적 개입 전에 비해서 자기은폐 수준이 낮아진 결과를 보였다. 자기노출 역시, 음악적 개입 후가 개입 전에 비해서, 노출의 양도 늘었으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에 부정적인 내용의 노출은 줄고,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내용의 노출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자기에 대한 평가역시 부정적인 평가가 우세했던 상황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음악적 접근이 자기은폐 성향을 보이는 말기 환자들의 자기노출에 있어 양적, 질적의 변화를 보이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차후 후속 연구가 보다 더 다양하게 진행되고 검증된다면, 그 결과에 따라 말기 환자들의 임종간호에 있어 질적으로 향상되고 다양한 한 방법으로써 음악치료가 발전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music therapy of hospice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about self-disclosure. Moreover,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intend to find out effective musical therapeutic approaches for the hospice patients to improve their self-disclosure through studying cases. For this study, 3hospice patients participated in 9∼11 individual session at two different hospital. The program consist of Singing, Listening the music, Song Writing, and Song Parody. The music therapy session is structured by phasing each program into five different levels in order to achieve gradual therapeutic efficiency. The study also purposed to exa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verbal disclosure, on their thoughts and emotion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via pre-post analysis. The data was obtained analyzing the video taped sessions. Using duration recording method produced quantitative measurement, and qualitative data, which was disclosured by three participations in the verbally, was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contents, negative, neutral, and positive. Every patients was examined by Self-concealment scale pre-post sessions. Each of the subject was graded for their verbal disclosure during the session and calculating average of each session or stage produced final data. The quantitative results showed that the efficiency of music to increase the self-disclosure in hospice patients who was in high self-concealment level. As a result, music therapy appears to be efficient therapeutic approach for the hospice patients, assisting them to disclosure and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e study further suggested one of applicable and efficient ways of music therapy as a therapeutic approach in hospice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페이지 = 6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5 C. 연구 문제 = 6 D. 용어정의 = 7 1. 말기 환자 = 7 2. 자기은폐(self-concealment) = 7 3. 자기노출(self-disclosure) = 7 4. 감정표현불능증(alecxitinymia)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말기 환자의 요구와 음악적 개입 = 8 a. 통증조절과 음악적 개입 = 9 b. 정서적 요구와 음악적 개입 = 12 c 심리·사회적 요구와 음악적 개입 = 18 d. 영적 요구와 음악적 개입 = 22 B. 자기노출과 음악치료 = 25 Ⅲ. 연구 방법 = 31 A. 연구 절차 = 31 B. 연구 대상자 선정 = 32 a. 사례 #1 = 32 b. 사례 #2 = 35 c. 사례 #3 = 37 C. 음악치료 세션구조 = 39 D. 측정 도구 = 42 a. 자기은폐척도 = 42 b. 자기 묘사문 = 42 c. 자료의 분석 = 44 Ⅳ. 연구결과 = 47 A. 자기은폐 척도의 결과 = 47 B. 자기 묘사문 분석 = 48 C. 자기노출의 분석 = 49 a. 양적 결과 = 49 b. 질적 결과 = 52 c. 사례별 분석 = 58 Ⅴ. 결론 및 제언 = 70 A. 결론 = 70 B. 제언 = 71 참고문헌 = 73 부록 1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988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말기 환자의 자기 노출과 음악 치료적 접근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