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1 Download: 0

과잉언어성 발달장애와 고기능 자폐성 장애간의 특성 비교

Title
과잉언어성 발달장애와 고기능 자폐성 장애간의 특성 비교
Authors
강우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문자학습용 비디오의 장시간 시청과 같은 문자의 과도한 반복 노출이 아동의 전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과잉언어성 발달장애라는 이상발달 형태를 중심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과잉언어증(hyperlexia)은 아동의 지적 수준에 의해 예측되는 이상으로 단어재인 기술은 매우 발달되어 있으나 단어의 이해능력이 잘 발달되지 않는 개인들을 정의하는 용어이며, 일반적으로 자폐성 장애의 하위 유형과 동일시되는 진단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몇몇 사례연구를 통해 이들 아동들이 몇가지 심리적 특성과 환경적인 요인들에서 자폐성 장애아들과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3세 이전에 문자읽기를 조기 습득하여 과잉언어증 특성을 보이는 아동들이 만 2세 이전에 지나치게 장시간 동안 문자학습용 비디오를 시청한 과거력이 있고 언어를 포함한 초기 발달이 대체로 정상적이었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지닌 아동들을 과잉언어성 발달장애라 명명하고 고기능 자폐아동과 비교하여 전반적 발달과정과 심리적 특성에서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20 이상의 읽기지수를 나타내면서 3세 이하의 나이에 하루 2-3시간 이상 비디오를 시청한 과거력이 있는 2세-8세의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아동 10명과 고기능 자폐아동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집단과 고기능 자폐 집단은 초기의 운동발달이나 기질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언어발달과 사회성 발달에서는 구분되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환경적 요인으로 두 집단의 문자학습 비디오 시청경험을 비교한 결과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집단이 고기능 자폐 집단보다 많은 시간 동안 문자학습 비디오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집단과 고기능 자폐집단의 문자읽기와 읽기이해 능력을 분석한 결과, 읽기와 읽기이해 수준간의 차이 비교에서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집단이 유의하게 더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특성과 정보처리 특성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지특성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모양맞추기 소검사를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두 집단의 아동-어머니간 상호작용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자폐 집단이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집단보다 어머니를 향한 상호작용 행동을 전체적으로 적게 보였다. 이에 비해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아동들은 어머니를 향해 보다 많은 상호작용을 시도했으나 이에 반응하는 어머니들의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학습 비디오 시청경험과 이들의 읽기 및 언어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비디오 시청을 시작한 연령이 늦었을수록 읽기능력과 언어능력이 평균적으로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집단의 경우 고기능 자폐 집단보다 더 많은 시간인 평균 3-4시간을 시청하였을 때 읽기와 언어능력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그 이상과 이하의 시간을 시청한 경우는 읽기와 언어능력이 급격히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읽기 및 언어특성과 인지특성간의 관계에서는,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집단의 경우 읽기이해가 이해 소검사를 제외한 모든 언어성 지능영역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아 고기능 자폐 집단과 차별된 형태를 보였다. 또한 두 집단의 읽기 및 언어특성과 정보처리 특성간의 관계에서 과잉언어성 발달장애 집단의 문자읽기가 음운론적 처리과정보다 철자법적 처리과정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역시 자폐집단과 구분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고기능 자폐성 장애와 구분되는 발달양상과 환경조건을 발견함으로써 과잉언어성 발달장애를 자폐성 장애와 분리하여 감별진단하는데 대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자학습용 비디오의 장시간 시청경험이 아동의 전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발달 초기 단계에서의 문자자극의 과도한 노출이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위기요인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Hyperlexia is characterized by a precocious ability to read words, far above what would be expected for the child's mental ability, and significant difficulty in understanding word comprehension. Generally, hyperlexia is known as a diagnosis called Autistic Spectrum Disorder. However, through some recent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se children had some different psychological features and also in their development process when compared to autistic children. They had normal development in their early developmental milestone. They also had developmental history with repeated exposure to visual stimuli before three years of age. Therefore from the present study, we call these children as children with hyperlexic developmental disord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nd compare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as well as its psychological features between hyperlexic developmental disorder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Having the reading quotient 1.20, the subjects consisted of 10 hyperlexic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of ages ranging from 2:5 to 8:5. They had spent more than 2-3 hours a day watching videos before they were aged 3. The other subjects were 10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with matching chronological age and social ag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in areas of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both group. Moreover, it showed that the hyperlexic developmental group had started auditing videos at a much earlier age and also been revealed to spending a lot more time being exposed to the video-auditing work. Also, it was found that the hyperlexic developmental group showed more discrepancy in a significant way in level of reading and reading-comprehension. In results on other features like language, cognition and information-processing, there had been some distinc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autistic group turned out to be less affiliating of reciprocal-interaction towards their mothers. In contrast, the hyperlexic developmental children proved to affiliate more interaction towards their mothers but in return, they received relatively less of it from their mother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letter-educational video-watching of both groups, and their reading and language abilities, the result was as follows: Both groups showed increasing in reading and language ability on an average as the starting age for video-auditing slacks. In addition to this, the hyperlexic developmental group showed a very high level in reading and language ability when they spent 3-4 hours in watching video, while showing a drastic decreased pattern in reading and language when video-auditing was spent more or less to 3-4hours to them. After looking closely to the relation between reading as well language features and cognition features of both group, the hyperlexia developmental group particularly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reading comprehension with any areas of verbal intelligence except comprehension subtest and therefore appeared to have a distinct characteristic from the autistic group. Also, the reading ability of the hyperlexic developmental group clearly turned out to depend on the orthographic processing rather than the phonological processing, that obviously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Autistic group. In conclusion, the hyperlexic developmental Disorder, which is clearly discriminated from the autistic group, had unique psychological features and environmental factors. With this, it can be said it provided validity for differential diagnosis.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In early stage of development requiring direct mutual-interaction, the excessive exposure and impetus of letters can be a crucial risk factor in the development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