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천윤미-
dc.creator천윤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23-
dc.description.abstract영아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하여 비타민 B_(2),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B_(12) 영양상태가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유 영양아의 경우 모유 영양의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유즙내 비타민 B 함량과 이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영아의 영양과 성장 발달을 이해하는데 무엇보다도 우선된다. 본 연구는 분만한지 6.1±1.5주된 수유부(평균 29.0±3.2세)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임신 21.6±6.4주 때 임신기 식이 섭취실태와 혈청 비타민 B 수준이 조사된 후 추적 조사된 대상자들이다.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사항(체위, 연령, 재태기간, 분만횟수), 수유기 건강관련습관(흡연과 음주여부, 영양보충제와 건강보조식품, 피로회복제의 복용여부)을 조사하였고,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수유기 식이 섭취실태를 조사하였다. 혈청과 유즙내 비타민 B_(2), 비타민 B_(6) 수준은 HPLC로 분석하였으며, 혈청과 유즙내 엽산과 비타민 B_(12) 농도는 radioimmunoassay method로 분석하였다. 이들 자료로부터 유즙내 비타민 B 수준과 수유부의 임신기와 수유기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유즙내 비타민 B 수준과 수유부의 임신기 혈청 비타민 B 수준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유즙내 비타민 B 수준과 수유부의 식사 외에 모체와 관련된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즙내 비타민 B_(2) 수준은 수유부의 임신기와 수유기의 비타민 B_(2) 섭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즙내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B_(12) 수준은 수유부의 임신기와 수유기의 비타민 B 섭취량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유즙내 비타민 B_(2),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B_(12) 수준은 수유부의 임신기 혈청 비타민 B 수준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유즙내 비타민 B 수준이 수유기 식품군별 섭취량의 영향을 받았다. 유즙내 비타민 B_(2) 수준이 중위값 이상인 수유부가 중위값 미만인 수유부보다 육류 및 그 제품,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유즙내 비타민 B_(12) 수준이 중위값 이상인 수유부가 중위값 미만인 수유부보다 육류 및 그 제품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즙내 비타민 B수준은 수유부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이외의 다른 모체요인에도 영향을 받았다. 유즙내 비타민 B_(6) 수준과 임신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유즙내 비타민 B_(6) 수준과 분만 후부터 조사시점까지의 체중감소량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유즙내 비타민 B수준과 수유부의 연령, 체위, 분만횟수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유즙내 비타민 B 수준은 수유부의 생활습관에도 영향을 받았다. 임신기와 수유기 간접흡연을 경험한 수유부는 간접흡연 경험이 없는 수유부보다 임신기 혈청과 유즙내 비타민 B_(2) 수준이 낮았으며, 수유 중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수유부가 건강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수유부보다 유즙내 비타민 B_(2) 수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유즙내 비타민 B 수준은 모체의 임신기와 수유기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과 수유기 간접흡연, 건강식품 섭취 여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수유부의 유즙내 비타민 B 수준에 관한 연구는 본 연구에서 이루어졌으나, 이들의 유즙내 비타민 B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수유부의 수유기 혈중 비타민 B 수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dequate vitamin B_(2), vitamin B_(6), folate and vitamin B_(12) nutrition is known to be importan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oncentrations of vitamin B_(2), vitamin B_(6), folate and vitamin B_(12) in human milk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Milk samples were obtained from 38 healthy lactating women (aged 29.0±3.2 years). Dietary intakes of nutrients were determined by 24-hour recall method. Vitamin B_(2), vitamin B_(6)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were analyzed by a HPLC-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and folate, vitamin B_(12)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were analyzed by a radioimmunoassay method. Vitamin B_(2)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total vitamin B_(2) intake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Vitamin B_(6),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were not correlated with maternal B vitamin intakes. Vitamin B_(2), vitamin B_(6),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were not correlated with maternal serum B vitamin levels. Daily intakes of food groups were a factor influencing B vitamin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Mothers with concentrations of vitamin B_(2) in human milk greater than the median value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t and meat products and milk and milk products intakes than did the mothers with concentrations below the median value. Mothers with concentrations of vitamin B_(12) in human milk greater than the median value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t and meat products intakes than did the mothers with concentrations below the median value. Vitamin B_(6)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partum weight loss. B vitamin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were not correlated with maternal age, height, weight, parity. Mothers who experienced indirect smoking had lower serum vitamin B_(2) levels and lower vitamin B_(2)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Mothers who used health food had higher vitamin B_(2)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In conclusion, lactating women need to consume more vitamin B intake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 infant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find factors which influence on B vitamin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4 A. 연구 대상자 및 기간 = 4 B. 조사 내용 및 방법 = 4 1. 설문조사 = 4 2. 식이 섭취조사 및 자료 분석 = 5 3. 신체 계측치 조사 = 5 4. 채혈 및 혈액 처리 = 5 5. 유즙채취 및 유즙처리 = 6 6. 혈액과 유즙의 비타민 분석 = 6 1) 혈청과 유즙내 비타민 B_(2)분석 = 6 2) 혈청 비타민 B_(6) 분석 = 9 3) 유즙내 비타민 B_(6) 분석 = 12 4) 혈청과 유즙내 엽산, 비타민 B_(12) 분석 = 15 C. 통계적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19 Ⅲ. 연구결과 = 20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20 1. 일반사항 및 식사 섭취실태 = 20 가. 일반사항 = 20 나. 건강관련 생활습관 = 22 다.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 23 (1) 식품군별 섭취 실태 = 23 (2) 영양소 섭취 실태 = 25 B. 유즙의 비타민 B 수준 = 27 C. 유즙 내 비타민 B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임신기 모성요인 = 28 1. 임신 중 체중증가 = 28 2. 임신기 비타민 B 섭취량 = 29 3. 임신기 혈청 비타민 B 수준 = 30 가. 임신기 혈청 비타민 B 수준 = 30 나. 임신기 혈청 비타민 B 수준과 유즙 내 비타민 B 수준과의 상관관계 = 31 D. 유즙 내 비타민 B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수유기 모성요인 = 32 1. 수유기 모체의 일반적 특징 = 32 2. 수유기 생활습관 = 33 가. 간접흡연 = 33 나. 건강식품 = 35 3. 수유기 식품군별 섭취량 = 36 4. 수유기 비타민 B 섭취량 = 39 가. 수유기 비타민 B 섭취량과 유즙 내 비타민 B 수준과의 상관관계 = 39 나. 임신기와 수유기의 비타민 B 섭취량과 유즙 내 비타민 B 수준과의 상관관계 비교 = 40 Ⅳ. 고찰 = 42 Ⅴ. 요약 및 결론 = 48 참고문헌 = 50 [부록 Ⅰ] 임신기 설문지 = 56 [부록 Ⅱ] 수유기 설문지 = 59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16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임신ㆍ수유부의 식품영양섭취실태 및 건강관련 습관이 모유내 비타민 B 함량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