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윤숙-
dc.creator이윤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의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2003)와 일본의 3종 교과서 중 '교육예술사'(敎育藝術社)에서 출판된 초등학교 5, 6학년 '소학생의 음악'(小學生의音樂)교과서(2003년)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분석을 위하여 양국의 교육과정 비교, 양국의 교육과정의 구성체제 비교, 교과서의 각 영역별 비교 연구 등을 살펴보고, 그와 관련한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교과서 외형체제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내용 중 초등학교 5, 6학년이 학습할 요소들이 고루 분포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셋째 음악 교과서의 각 제재곡이 이해와 활동 영역을 통한 통합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해와 활동 영역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분석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교과서의 편성을 보면 한국은 참고곡 부분이 가창 및 기악 합주에 한정되어 있는 반면, 일본은 감상 자료 및 기초적인 음악이론등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제재곡은 양국 모두 가창곡, 기악곡, 감상곡, 참고곡등이 골고루 수록되어 있다. 한국은 국악 교육의 비중이 높아짐에 전통 악곡의 수도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으며, 일본은 독립적인 기악곡을 수록하여 활발한 기악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수록된 사진·삽화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가사와 분위기에 충실하며 몇 곡은 음악적 개념을 그 속에 담고 있다. 한국은 박자와 조성의 구성 비율에 있어서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변박자곡과 여러 단조곡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변박자의 곡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해영역은 교육과정과 관련된 내용이 교과서에 얼마나 충실히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은'우리 음악 문화 창달을 위한 국악교육'을 강조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리듬꼴과 장단, 시김새의 이해를 강조하고 있으며, 일본은 이해영역과 관련하여 '박의 흐름 익히기', '주된 가락의 변화와 대조 익히기'등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양국 모두 단조의 주요 3화음 및 가락과 화음간의 관계등을 강조하고 있으며, 여러 악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음원에 의한 소리의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활동영역의 분석도 이해영역과 마찬가지로 교육과정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교과서에 어느 정도 그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가창활동은 특히 '노래 듣고 평가하기' 부분이 첨가된 점이 두드러진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일본은 가창시 발성법과 노래에 대한 이론적 요소뿐만이 아니라 음악적 감각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기악활동은 양국 모두 '자세와 주법', '보고 연주하기', '악곡의 특징 살려 연주하기', '외어 연주하기', '지휘에 맞추어 연주하기'등의 비슷한 형태로 나타나 있다. 창작활동은 양국 모두 즉흥연주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모든 창조적 예술활동 가운데서 음악분야가 자랑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양국 감상활동은 모두 악곡의 구성 요소, 악곡의 형식, 악곡의 특징등을 듣기의 관점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공통된다. 한국의 경우에는 음악을 듣고 느낌을 말하는 수준에서 분석하고 종합하여 토의하는 수준까지 활동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usic textbook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published on 2003) and Japan (the textbook called Elementary School Music published by Education and Art publication).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firs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ontents of two textbooks, second, examining the quality of contents, last, examining the circumstance whether music education contains not only to make students just singing and listening songs but also understanding contents. I referred to sundry records for this study, and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oth Countries textbook had the greatest number of singing among contained music pieces. However, there is more emphasis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Korean textbook, and there is more emphasis on performing activity in Japanese one. In addition, both countries have similar pattern on meters and composition (range); however, Korean textbook contains several songs with irregular time and minor songs while Japanese one does not. Korean textbook contains various rhythm and beat emphasiz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Japanese one textbook emphasizes on the expression of singing and performing. Also, textbooks of both countries emphasize on the traid, and relationship between tempo and chord. For singing, both countries have added new teaching part of listening song and valuing. Also, both countries put emphasis on vocalization and theory of songs. However, Japanese textbook focusses the need of creative musical activity additionally. Also similarly, both countries focus the need of following thins like posture and rendition, playing by reading music, playing by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ong, playing by memorizing music, and playing under conducting in instrumental part. For creating, both countries put importance on improvisation because it is regarded as the center of all creative musical activities. Last, but not the least, it shows some similarities on textbooks of both countries that there are emphasis on the point of view of listening about musical elements, genre, characteristic of musical pieces in listening. Additionally, Korean textbook contains not only part of listening but also analyzing and discussing about tha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연구 고찰 = 3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음악과 교육과정의 세계적 동향 = 6 B.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 편성 = 9 C. 한국과 일본의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 11 D. 교과서 개발방향 = 17 Ⅲ. 연구 방법 = 22 A. 연구 내용 = 22 B. 연구 절차 = 23 C. 연구 자료 = 24 D.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 교과서 분석 기준 = 25 Ⅳ. 연구분석 결과 = 27 A.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외형체제 = 27 B. 음악 교과서 제재곡 분석 = 36 C. 학습 내용 및 활동 분석 = 39 Ⅴ. 결론 및 제언 = 59 A. 결론 = 59 B. 제언 = 61 참고문헌 = 62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56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 교과서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