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정선-
dc.creator유정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사립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실외놀이의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시내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의 실외놀이 환경실태는 어떠한가? 2. 서울시내에 위치한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실외놀이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3. 서울시내에 위치한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분석은 질문지의 결과를 각 항목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중 교육청별로 비례무선표집하여 선정된 273개의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만 5세반 교사 27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사립 유치원의 대부분이 실외놀이 공간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실외놀이 공간은 마당을 전용하거나 마당과 옥상에 실외놀이 공간을 마련하기도 하였으며, 옥상에만 있는 곳도 10%정도 있었다. 특히 유치원의 규모가 1-3학급이며 원아수가 100명이하인 유치원에서 옥상에 실외놀이 공간을 두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외놀이 영역은 운동놀이영역과 모래놀이 영역, 정적놀이 영역, 식물재배장의 순으로 서울시 사립유치원의 50%이상 구성하고 있었다. 고정놀이 시설로는 미끄럼틀과 복합놀이기구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85.4%), 이 외에는 그네를 사립유치원의 50%이상 보유하고 있었다. 이동놀이 기구로는 공과 물·모래놀이용품, 평균대, 훌라후프 순으로 사립유치원의 50%이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서울시 사립유치원의 97.5%가 실외놀이 활동을 운영하고 있었다. 유치원 자체에 실외놀이 공간이 없는 유치원이라도 인근 공원이나 지역 놀이터를 이용하는 등 실외놀이 시간을 운영하고 있었다. 실외놀이는 주 1-2회, 주 3-4회 하는 곳이 가장 많았고, 하루 중에서는 별도로 시간을 정하기 보다 일과 진행 흐름에 맞게 융통적으로 편성하거나 점심식사 후에 편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외놀이는 1회에 21분-30분 정도 소요하는 유치원이 많았고, 이와같은 실외놀이 시간량을 운영하는 유치원 교사들이 시간운영에 대해 79.8%의 만족도를 보여 다른 시간량으로 운영하는 곳보다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 활동운영의 인식에서 실태와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실외놀이를 일과진행흐름에 맞게 하되 매일 하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외놀이 1회 소요시간도 21분-30분 이상 하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실외놀이 소요시간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교사의 경우 그 이유가 교육시간과 시설의 부족, 안전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서울시 사립유치원의 교사들은 실외놀이를 운영할 때 활동계획안을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상적으로 자연스럽게 활동하는 경우가 50%이상을 차지했다. 실외놀이를 할 때 교사는 모든 유아가 안전한 환경에서 놀이하는 지 감독하는 역할을 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놀이하는 유아와 상호작용을 하거나 유아의 놀이를 주의깊게 관찰하여 유아의 발달 수준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고 응답하는 교사도 많았다. 서울시 사립유치원에서는 실외놀이 공간의 안전점검을 각 반 교사 또는 원장이나 원감이 담당을 하며, 안전점검은 6개월이나 1년에 한 번 또는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거나 각 반 교사가 놀이전이나 놀이시 틈틈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점검은 육안으로 하는 경우가 55.9%로 과반수 이상이 응답하였고, 놀이 시설물 안전도 체크리스트에 따라 점검을 하는 경우는 25.1% 있었다. 셋째, 서울시 사립유치원 교사들은 실외놀이를 통해서 신체발달 뿐 아니라 사회성 발달과 자연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보았으며 가능하면 실외놀이를 계획하며 적극적으로 운영하려고 노력한다고 응답하였다. 실외놀이를 운영할 때의 애로점으로는 실외에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부족과 놀이시간 부족, 안전사고의 위험성 등에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실외놀이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으로 연결되어 실외에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과, 시설확충 및 보완을 위한 재정적 지원 그리고 안전점검에 대한 보완에 대해 50%이상의 교사들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at.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2. How is the manageri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3. How is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outdoor play at the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are the 273 teachers in charge of 5-year kindergartners at 273 kindergartens which are selected by the educational district office in the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s analyzed into frequency and a percentage by each ques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had their outdoor play spaces. Some of them used only the ground, or the ground and the rooftop, 11% of them used only the rooftop for outdoor play. Especially, the kindergartens which have 1-3 classes and 100 or fewer kindergarteners used their rooftop for outdoor play. There were a gymnastic activity area, a sand play area, a silent play area, a garden over 50% of outdoor play area and over 50% of the kindergartens have them. There were many slides and complex unit structures (85.4%) in the fixed play instrument. There were in order of balls, water play instruments, sand play instruments, balance beams, and hula hoops in the mobile play instrument and over 50%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have them. 2) 97.5% of private kindergartens had a outdoor play time. The kindergartens which had no their own outdoor play space used their near parks or the local playgrounds. Most kindergartens had one or two times in a week, three or four times in a week. Most of them had a outdoor play time not at the stated time but after lunch or flexibly according to the day schedule. Generally, they had a outdoor play time for 21-30 minutes and 79.8% of the teachers answered they were satisfied the time. However, the teachers recognized in affirmative that a outdoor play time for over 21-30 minutes should be conducted flexibly according to the day schedule everyday. Some of them didn't think that was enough because of educational time, a lack of the facilities and anxiety about safety. Over 50% of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didn't make out a schedule for outdoor play. They mostly answered they looked after their kindergarteners' safety in a outdoor play time. Some of them had an interplay with their kindergarteners or understand the development stages through sharp observation. The teachers, the principals or the vice-principals were in charge of safety check. They had a regular check once in 6 months or a year, once a day, or the teachers conducted after or before play. 55.9% of them answered they checked with their naked eyes. 25.1% of them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rumental safety check list. 3) They recognized that outdoor play can offer the chance of physical development, sociality development and nature study. Therefore, they answered they planned and tried to run outdoor play in a positive attitude. As their bottlenecks, they answered a lack of programs and play time, dangerousness of accident. 50% of them answered program device, financial support for facility expansion and complement, and complement of safety check as solu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실외놀이의 중요성 = 5 B. 실외놀이 환경구성 = 12 C. 실외놀이 운영 및 교사의 역할 = 19 D. 실외놀이터 안전진단 = 22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연구도구 = 27 C. 연구절차 = 28 Ⅳ. 결과 및 해석 = 29 A. 실외놀이의 환경구성 실태 = 29 B. 실외놀이의 시간운영 실태 = 34 C. 실외놀이의 활동실태 = 38 D. 실외놀이 공간의 안전점검 실태 = 41 E. 실외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 43 Ⅴ. 논의 및 결론 = 47 A. 논의 = 47 B. 결론 및 제언 = 51 참고문헌 = 54 부록. 교사용 질문지 = 59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47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서울시 사립유치원의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