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구-
dc.creator이은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1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North Korea's technolog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 twin axes of North Korea's education may be the ideological education for realization of their political goals and the technological educ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Indeed, preceding studies have been primarily focused on North Korea's ideological education by period or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However, North Korea has long emphasized the technological educ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they are still making efforts to introduce and reinforce new technologies. North Korea's technological education may be divided into 5 periods depending on the changes of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 first period from 1945 and 1950 may be characterized by establishment of the socialist economic system. During this period, the technological education was introduced. During the second period from 1951 to 1960, North Korea endeavored to construct their socialist economic system with the technological education established. During the third period from 1961 to 1970, they tried to consolidate their socialist economic system by expanding the technological education in terms of quantity. During the fourth period from 1971 to 1986, quality of the technological education was enhanced, while their socialist economic system mal-functioned. During the fifth period from 1987 to present, North Korea has endeavored to improve their economic system through a programmatic technological education. In short, North Korea's technological education differed by period depending on their economic conditions.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1945 to 1950, North Korea planned their economic development program three times, and in this course, they concentrated their efforts to foster the basic technological manpower which had fallen short just after emancip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y divided the technological education into schoo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s in order to foster the technological manpower as rapidly as possible. During the second period from 1951 to 1960, North Korea designed a 3-year post-war restoration plan and a 6-year economic plan in an effort to convert North Korean economy into a socialist economic system. To do so, they emphasized industrial and agricultural technology, while making efforts to introduce a comprehensive technological education system combining theories and practices. During the third period from 1961 to 1970, they attempted to restructure their economy into a heavy-industry-centered economy through the first 7-year economic plan in order to pursue a self-reliant defense strategy externally. Thus, more manpower was required, and therefore, technological manpower was fostered at secondary schools and colleges. During this period, a 9-year-long compulsory technological edu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to be streamlined. During the fourth period from 1971 to 1986, North Korean economy receded greatly, partly due to their recalcitrant self-reliant defense strategy and various structural problems. Thus, the economic plans designed during this period failed, because they emphasized ideology more than a substantial economic recovery. During this period, ideology was emphasized even in education with more hours alloted to political and ideological subjects of secondary and college education. That is, a higher priority was put on ideological subjects than technological ones in order to reinstate the quality of technological education. In the same vein, ordinary education was emphasized; the period of the compulsory education was extended to 11 years. During 11 years, students were educated on basic technologies, and thereafter, they were educated on high technologies. During the fifth period from 1987 to present, North Korea has endeavored to reform their depressed economy. Such economic reforms quite unprecedented have been reflected in their various reform measures. Thus, North Korea has pursued a programmatic technological education by reinforcing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strengthening their IT industry and spreading the computer education across the nation. However, such programmatic technological education has been limited, because ideology is still emphasized in their educational programs. As discussed above, North Korea's technological education has changed or evolved depending on their economic conditions, although they emphasize the technological education even now. ;본 연구는 북한의 경제변화에 따른 기술교육의 특징과 발전과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교육의 두 축은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사상교육과 경제발전을 위한 기술교육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북한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시기구분과 특징에 있어 사상교육을 중심으로 북한교육을 연구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북한은 과거부터 경제발전을 위한 기술교육을 강조하였으며, 이는 현재도 새로운 기술의 도입, 강화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북한의 기술교육은 경제변화에 따라 다섯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경제에 있어서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도입기(1945-1950)로 이 시기는 기술교육의 도입 시기(1945-1950) 두 번째 시기는 경제에 있어서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건설기(1951-1960)로 기술교육의 확립시기(1951-1960) 세 번째 시기는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공고화기(1961-1970)로 기술교육의 양적강화시기(1961-1970) 네 번째 시기는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침체기로 기술교육의 질적강화시기(1971-1986) 다섯번째 시기는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개선기(1987-현재)로 실용주의적 기술교육시기이다. 각 시기마다 기술교육은 경제변화에 따라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1945-1950년 시기에서의 특징은 세 번의 경제계획과 함께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부족한 초급 기술인력들을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어 기술교육체제를 도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학교교육체계와 직업기술교육체계로 나뉘어 기술교육을 실시하여 부족한 인력을 빠르게 양성하였다. 1951-1960년 시기에는 전후 복구 3개년 계획과 6개년 계획으로 북한경제를 사회주의 경제형태로 개조하였고 이는 기술교육에 있어서 공업과 농업부문의 인력양성과 이론과 실습을 강조한 종합기술교육의 도입으로 기술교육체제를 확립하는 시기였다. 1961-1970년 시기에는 제1차 7개년 계획으로 북한경제를 중공업위주로 추진하였다. 이는 대외적으로 자립경제 자주국방노선을 고수하기 위한 북한의 경제방향이었다. 따라서 많은 인력들이 요구되었고, 이는 중등, 고등 단계에서 기술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하였다. 이 시기에 9년제 기술교육의무제가 실시되었고 교육체제에 있어서도 기술교육만을 하는 단선제로 개편하였다. 1971-1986년 시기에는 경제에 있어서 침체기이다. 이는 북한의 자립경제 자주국방노선과 구조적인 경제문제들로 인하여 경제적 침체를 가져왔다. 이러한 침체로 이 시기에 실시된 경제개혁들은 실패를 가져왔는데 이는 실질적인 방법의 경제회복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사상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교육에 있어서도 사상을 강조하여 중등, 고등단계에서 정치사상과목의 시간수가 늘어났으며 기술교육에 있어서도 사상교육을 우선에 두어 기술교육의 질적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질적강화의 의미로 일반교육의 강조를 들 수 있는데 일반교육의 강조는 11년제 의무교육 실시로 알 수 있다. 11년제 의무교육은 11년간 기초기술교육을 강조한 일반교육을 받게 한 후 그 이 후 단계에서 기술교육을 실시하여 기술교육의 수준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1987-현재는 침체된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경제개혁 조치들을 실시한 경제개선시기이다. 북한은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실제적인 경제개혁 조치들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는 여러 개혁방안들을 통해 나타난다. 따라서 교육에 있어서도 실용주의적 기술교육을 취하고 있는데 정보기술교육의 강화, IT산업의 강화, 모든 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의 실시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용주의 기술교육은 한계점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여전히 사상교육을 계속강조하고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북한은 이와 같이 경제변화에 따라 기술교육은 변화 발전하였으며 이는 현재에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C. 선행연구 검토 = 3 Ⅱ. 북한 경제 변화과정 = 8 A.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도입기(1945-1950) = 8 1. 해방 전ㆍ후 북한의 경제 = 8 2. 인민경제 계획 = 11 B.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건설기(1951-1960) = 15 1. 전쟁의 피해 및 전후 복구 3개년 계획 = 15 2. 제1차 5개년 계획 = 17 C. 사회주의 경제 체제의 공고화기(1961-1970) = 20 1. 자립 경제ㆍ자주 국방 노선 = 20 2. 제1차 7개년 계획 = 22 D.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침체기(1971-1986) = 25 1. 6개년 경제 계획 = 25 2. 제2차 7개년 계획 = 27 3. 대내외 경제의 문제점 = 30 E.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개선기(1987-현재) = 32 1. 제3차 7개년 계획 = 32 2. 경제개선조치 = 35 Ⅲ. 북한 기술교육의 발전과정 = 37 A. 기술교육의 도입(1945-1950) = 37 1. 기술교육의 중요성 인식 = 37 2. 기술교육 학제 = 38 3. 사회주의 경제체제 도입과 기술교육의 도입 = 44 B. 기술교육의 확립(1951-1960) = 45 1. 한국전쟁 시기의 기술교육 = 45 2. 기술교육 학제 = 46 3. 종합기술교육의 도입 = 55 4.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건설과 기술교육 확립 = 57 C. 기술교육의 양적 강화(1961-1970) = 59 1. 기술교육 강화 배경 = 59 2. 기술교육 학제 = 59 3.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공고화와 기술교육의 양적 강화 = 66 D. 기술교육의 질적 강화(1971-1986) = 68 1. 정치사상 교육의 강화 = 68 2. 기술교육 학제 = 71 3.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침체와 기술교육의 질적 강화 = 78 E. 실용주의적 기술교육(1987-현재) = 79 1. 과학기술중시 정책 = 79 2. 기술교육 학제 = 81 3.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개선과 실용주의적 기술교육(1987-현재) = 82 4. 실용주의 기술교육의 한계 = 83 Ⅳ. 경제 변화에 따른 기술교육의 특징 및 관계 = 86 A. 경제 변화의 시기별 특징 = 86 B. 기술교육변화의 시기별 특징 = 89 C. 경제변화에 따른 기술교육 발전과정과의 관계 = 94 Ⅴ. 결론 = 97 참고문헌 = 100 □ ABSTRACT □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49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 경제발전에 따른 기술교육의 특징과 발전과정-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