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인영-
dc.creator이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62-
dc.description.abstract정보환경 변화와 도서관 이용자 계층의 다양화, 그리고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 증대 등으로 인해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구받고 있으며, 운영 특성상 여러 가지 기능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도서관 건축설계와 공간구성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공간과 기능적 요소들에 대한 고려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문화·교육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도서관 기능과 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해보고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문화·교육 프로그램과 공간구성 현황을 파악하여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공간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면담조사, 그리고 도면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기능과 공간구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와 함께 복합화 시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화·교육 기능을 담고 있는 새로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이용행태와 문화·교육 프로그램,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운영자 설문은 경기도 소재 53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여 총 42개관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이용자 설문은 경기도 공공도서관 중 9개관을 선정해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공공도서관 및 문화 프로그램 이용자와 관련된 일반사항, 문화·교육 프로그램 현황, 공간구성 현황과 공간구성 향후 방향의 총 4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도면분석은 9개 공공도서관의 최근 5년간 변화내용을 바탕으로 초기 도면과 현재 도면을 비교·분석하여 변화내용과 변화요인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운영자와 이용자 설문분석 결과와 도면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해 보고, 이것을 도면분석을 실시했던 도서관 중 7개관에 적용하여 보았다. 운영자 및 이용자 설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이용자들의 도서관 주 이용 목적은 자료의 열람 및 대출과 일반열람실 이용이었으며, 이러한 목적에 맞게 일반열람실, 종합자료실, 어린이열람실 순으로 도서관 시설이 주로 이용되고 있었다. 둘째, 최근 1년간 경기도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한 문화·교육 프로그램 이용자 수는 1개관 당 평균 중앙관 10,979명, 분관 4,876명이었고, 운영 프로그램의 수는 평균 중앙관 16개, 분관 8.3개로 나타나 두 항목 모두 중앙관이 분관보다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 이용 대상은 주로 어린이와 주부였고, 운영 프로그램의 내용은 독서교육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프로그램 형태는 강의실 강좌가 많았다. 또한 도서관의 문화·교육 관련 보유시설에 대해서는 대체로 시설규모가 적으나 활용도가 높으므로, 새로운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높았다. 셋째, 조사된 42개 공공도서관 중 35개관이 지난 5년동안 내부시설 배치와 공간에 변화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주로 공간을 신설하거나 확충, 대체, 통합하는 방법 등으로 내부시설을 변화시켜 이용하였다. 특히, 변화 내용 중 대부분 도서관이 전자정보실을 신설하였고, 일반열람실을 축소해 부족한 공간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영자와 이용자 모두 도서관에서 이용자가 주체인 활동관련 공간들이 늘어나길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도서관 시설에 있어서 이러한 운영자와 이용자들의 요구가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문화·교육 기능 수행을 위한 중요 요소로 꼽고 있으므로 이런 운영자와 이용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간에 있어서도 강의실, 시청각실, 회의실처럼 단일 목적의 시설보다는 다목적 공간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그리고 도서관 시설과 공간에 있어서 실별 구성이 복잡하다는 의견과 안내시설의 적절성, 청소상태 등을 중요한 요인으로 보는 설문결과는 동선과 환경적 요인들을 고려한 공간구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도면분석을 통해 얻은 공간구성의 변화양상은 아래와 같다. 첫째, 문화·교육 공간에 있어서 각 도서관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문화·교육 기능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문화교실, 전자정보실, 컴퓨터교육실, 어학실과 같은 다양한 문화·교육 시설들이 신설되었다. 둘째, 열람 및 기타공간의 경우 컴퓨터의 보급과 정보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자정보실, 멀티미디어실, 전산실 등과 같은 시설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자료실이 폐가제에서 개가제로 바뀜에 따라 관리자공간이 이용자공간에 코너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어린이열람실에 대한 공간비중이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공간구성에 대한 일정한 기준의 미비로 인하여 동일한 용도의 공간에 있어서 도서관별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조사와 도면분석을 바탕으로 제안된 계획안은 공간에 대한 일반적 사항과 각 기능공간별 제안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제안사항으로 건물의 층구성과 주요층의 공간구성, 오픈플랜에 대한 개념, 그리고 각 실의 환경에 대한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 기능공간별 제안사항은 문화·교육 공간, 자료·열람공간, 직원공간, 입구와 홀 그리고 이동문고 부분이 포함된 기타 공간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중에서 문화·교육 공간을 집회 및 강의실, 시청각실, 전시실로 나누었다. 강의실과 시청각실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 전시실은 별도의 독립된 실을 두기보다는 홀이나 로비를 이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도면분석이 이루어진 9개관 중 7개관에 대해 공간구성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공간구성 계획안을 적용하였다. 도서관을 둘러싼 환경변화로 인해 새로운 공간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열람실을 용도 변경하여 부족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서 각 기능공간이 수직·수평으로 혼합된 형태의 복잡한 공간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각 자료실이 종합자료실로 통합 운영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독립된 형태로 각각 다른 층에 위치하거나 동떨어진 공간배치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공간변화로 인해 관내 시설의 인지도가 떨어지고 불필요한 동선의 유발과 소음문제를 야기시켜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관리자 공간이 이용자 중심공간에 배치되는 사례도 많았다. 따라서 각 공간 기능별 특성과 소음, 동선, 환경적 요인들을 고려하고, 각 도서관의 이용자 활동행태를 고려해 현 상황에서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irection of the spatial design for a public library, to reestablish the concept for the function and space of a public library and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for cultural-educational programs and spaces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Korea. The research methods for the study are research on theoretical data from the related article, questionnaire survey, plan analysis and interview for the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 and spatial design of a public library is analyzed through a study on theoretical data from the related article. And a new spatial design of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is considered through a study for mixed-use facilities. Second, the pattern of user's behavior, the cultural-educational program, and the spatial design for a public library are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Third, the plan analysis for the causes and contents of changing of library spaces is performed, comparing between the initial plan and present plan on the basis of changing of library spaces during the last 5 years. Finally, a new direction of the spatial design for a public library is proposed based on the conclusion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plan analysis. And a new spatial design is applied to libraries performed plan analysis. The conclusion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purpose of users is the reading or circulation of materials, and the use of a reading room. And the library facilities are frequently used in order of a reading room, a material room, and a children's reading room. Second, the average number of cultural-educational program users during the last 1 year is 10,979 persons per a central library and 4,876 persons per a branch library. The average number of cultural-educational programs is 16 programs per a central library and 8.3 programs per a branch library. And the cultural-educational program users are mostly housewives and children. Third, there have been several changings of library spaces during the last 5 years to 35 libraries among 42 investigated libraries. Especially the changing of library spaces is mostly a new establishment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room and the supplement of spaces through the reduction of a reading room. Fourth, Both librarians and library users expects that the rooms activated by library users as a main body are increased. Therefore, this request of librarians and library users should be reflected into the planning of library facilities in future. The conclusions for the pla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ilities such as cultural classroom, electronic information educational room, computer educational room, and language room, etc. are newly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satisfying with user's information needs. Second, in case of the reading spaces and the others, it is remarkably showed that the facilities like as electronic information room, multi-media room, and system room, etc. are establish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s the changing from closed access system to open access system, the operating space is located in the space of library users in the form of the corner. The general proposal of whole spaces and respective proposal of the functional space for the spatial design are included into a new spatial design based on the conclusion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plan analysis. First, to general proposal of whole spaces for the spatial design, mainly used facilities should be located on lower level. And open plan which can make design by areas based on the function should be introduced as the means for enhancing flexibility and cognition of space. Second, divided by cultural-educational service space, material and reading space, librarian space, entrance, hall, etc., respective proposal of the functional space for the spatial design is organized. Finally, the present problems of libraries performed plan analysis are pointed out. And a new spatial design is applied to libraries performed plan analysis. In conclusion, the spatial design for a public library must be planned flexibly. And the spatial design must be planned o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educational programs and essential library services, the consideration for performing services and applying materials, and the convenience for using a libr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범위와 방법 = 3 C. 선행연구 = 4 Ⅱ.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성 = 10 A. 공공도서관 기능 = 10 B. 공공도서관 공간 = 15 Ⅲ. 공공도서관 문화·교육 프로그램 및 공간현황 분석 = 24 A. 분석대상 및 방법 = 24 B. 설문분석 = 27 C. 도면분석 = 61 Ⅳ.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제안 = 85 A. 공간구성에 대한 제안 = 85 B. 공간구성 제안 적용 = 91 Ⅴ. 결론 = 106 참고문헌 = 111 부록 = 114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23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공공도서관의 문화,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