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2 Download: 0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에 관한 연구

Title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에 관한 연구
Authors
장지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Children's books are paid significant attention by the field related to childhood education, as they are good instruments to children in many aspects. The busiest aspect of the overall book publishing market in Korea is currently children's book publishing. It proves that children's books are published in large quantities.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children's books, the evaluation about qualitative phase of them became an important matter concerning with the movement to revive elementary school libraries. Book review is a mean that provides qualitative evalu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plays a role as selection tools for librarie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media providing reviews on children's books, evaluated whether the reviews in the media were useful as selection tools of current books, and a desirable model for the book review media that would reform the existing problems was suggested. The book reviews, which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daily newspapers, children's 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analyzed individually based on the items suggested in the theoretical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view media, which were available for selection tools, among the current media were recommended. Also, among on the recommended media, the parts to be desired in the process of playing roles as selection tools of current books were pointed out, and a direction for improvement was suggested, and then a model with desirable factors was presented. The medium selected as study subjects were ten daily newspapers, four children's newspapers, and nine magazines. As for the study method, individual reviews were first analyzed by dividing physical aspects and content aspects. The measured items with respect to physical aspects were reviewer's names and jobs, the length of the review, titles, authors, imprints, collation,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ISBN. The items evaluated regarding the content aspect were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content summaries, themes, genres, styles of writing, illustrations, accuracy, organization, scopes and subjective evaluation items including recommendation for the reader's age and grade, comparisons with other books containing similar themes, comparisons with books by the same author, guidance for potential audience to particular books, potential use in helping curriculum or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evaluation marks or active recommendations, critical opinions of reviewers, and etc. The result focusing on the above evaluation item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daily newspapers, all newspapers provided a similar level of information in bibliographic information item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t bibliographic informations were the title, author's name, publishing company, and price. In the content analysis, it was revealed the item occupying the most part of the entire content was summary. There was little attention paid to content information such as themes, genres, styles of writing, illustrations, accuracy, scopes, and organization. Few subjective evaluation items were discussed in reviews of preceding study. Second, in the case of children's newspapers,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t bibliographic informations were as the title, author's name, publishing company, and price. Content analysis suggested that the summary occupied the largest part of entire content. It seems that other content information such as themes, genres, styles of writing, illustrations, accuracy, scopes, and organization was not introduced with consistency but rather, the level of introduction varied according to the cases. Subjective evaluation items were rarely treated here, too. Third, in case of magazines, it was found that they described each item pretty substantially, compared to daily newspapers and children's newspapers. Though there were a lot of deviations among each on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s were most accurately and consistently described. Content informa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 items were not written in all reviews, but once they were described, it was substantial. Fourth, when comparing the ten daily newspapers, four children's newspapers, and nine magazines, daily newspapers and children's newspapers revealed similar merits and shortcomings. Also, they had more value in supplementary roles rather than selection tools.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magazines collectively, but compared to daily newspapers and children's newspapers, a few could be recommended, which had high values available for selection tools. The weak points of magazines were the shortage of currency and quantitative poor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desirable element for making children's book review media as selection tool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elements suggested in bibliographic information such as the title, author's name, illustrator's name, translator's name, publishing company's name, book size, the number of page, ISBN, price, and etc. should be printed first before the body of review is related. Second, elements dealt with in the content analysis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reviews. Summary has to be described to make people understand the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theme, genre, style of writing, and illustrations should be mentioned in detail with clear expressions. In particular, informational books including reference books must be described to make readers understand accuracy, scope, and organization of the books. Third, subjective evaluation elements should make librarians, who are in charge of selecting books, predict appropriate age, recommendation, and potential use of books after reading the reviews. Also, by providing various books with the same theme and several books written by the same author, they should let readers understand what kind of books they are without actually reading them. The efforts to make up for the above suggestions are needed, so that the current children's book review media can properly play a role as a selection tool. Above all, at this point in time, it is necessary to publish review media made in the view of libraries and librarians. ;어린이 도서는 교과 교육과 인간성 발달 및 교양 교육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장서 구성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서평은 책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기능과 함께 도서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도서관을 운영하는 사서나 사서 교사가 도서 선정 도구로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어린이 도서의 양적 팽창과 사서의 시간적 제한성을 고려할 때, 선정 도구로서 서평의 역할은 중요하다. 따라서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가 지니는 선정 도구로서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일은 어린이 도서로 장서를 구성하는 도서관에 기초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과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에 대한 서평을 제공하는 각종 매체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러한 매체에 수록된 서평이 선정 도구로 적합한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정 도구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서평 매체를 규명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적절한 서평 매체로서의 역할을 증진하기 위해서 기존의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내용분석이다. 먼저,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서는 선정 도구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서평과 서평 매체가 지녀야 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그러한 요소들을 토대로 하여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가 지니는 선정 도구로서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도서를 서평하는 매체인 일간지 10종, 어린이 신문 4종, 잡지 9종에서 수록하고 있는 공통 서평을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 도구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서평 매체 6종을 선택하여 심층적인 내용 분석을 하였다. 선정 도구로 이용할 수 있는 우리나라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에 수록된 서평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발견한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지 정보 항목인 서명, 저자명, 삽화가명, 번역자명, 출판사, 출판일, 페이지, 판형, 가격, ISBN 등의 완전한 서지 정보를 기재하는 서평 매체는 하나도 없었다. 둘째, 설명적 논평 항목과 평가적 논평 항목에 대한 기술의 정도를 보면 설명적 논평 항목의 세부 요소들에 대한 서술이 더 많았다. 특히 개요와 주제에 관한 서술이 서평의 중심적인 부분이었고,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서술이나 문체와 삽화에 관한 서술은 피상적이고 인상적인 묘사에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지식책을 서평할 때 정확성과 범위, 구성에 대한 기술은 책 자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나 출판사의 보도 자료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평가적 논평 항목의 세부 요소 중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것은 해당 서평 도서에 대한 적극적인 추천과 서평자의 주관적인 견해, 적절한 독자의 연령이나 학년에 대한 안내였다. 대부분의 서평에서 논평은 주로 도서의 좋은 점을 기술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의 매체에 수록하는 서평이 선정위원회의 심사를 거친 것이기 때문에 호의적인 기술이 될 경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비슷한 주제나 동일한 주제의 다른 책과의 비교, 같은 저자와 삽화가의 다른 작품과의 비교에 대한 항목의 기술은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해당 도서의 소장 여부를 결정하는데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없었다. 교과과정과 연관된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서평이 주제와 연관 지어서 특정한 용도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안내는 받을 수 있었다. 대부분의 도서 서평에서 유사점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고, 서평의 기술이 명시적이기보다는 암시적이고, 서평자의 개인적 인상에 근거한 논평이 많았다. 넷째, 서평이 주로 도서의 내용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였기 때문에 개체로서의 책이라는 외형적인 특성에 대한 주의를 소홀히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다섯째, 서평 도서의 양이 부족한 것은 논외로 하고 서평의 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하나의 서평 매체만을 선정 도구로 이용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서평의 분석을 통하여 발견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서평과 서평 매체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독자를 사서로 생각하는 어린이 도서 전문 서평 매체의 발행이 요구된다. 현재의 국내 서평 매체의 일차적인 독자는 일반인, 독서교육 전문가, 교사 등으로 이러한 서평은 해당 매체의 주요 독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도서관의 장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평 매체가 필요하다. 또한 서평의 절대적인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서평 게재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전문 서평 매체가 발행되어야 한다. 둘째, 서평 매체의 주요 서평자는 어린이 문학 관련 연구자, 아동문학가, 어린이 도서 출판 관계자 등인데, 도서관의 관점에서 어린이 도서를 평가할 수 있는 교육 받은 서평자가 필요하다. 셋째, 서평의 서지 정보 항목을 모두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연구 대상이었던 서평 매체에서 제공하는 서지 정보는 서명, 저자명, 출판사, 가격을 주로 제공하였는데, 이러한 서지 정보도 중요하지만, 삽화가, 번역자 등에 대한 정보도 해당 도서를 평가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라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서지 정보를 모두 기재하는가의 여부는 개별 서평자의 책임이라기보다 해당 서평 매체의 편집자의 책임이기 때문에 식견 있고 유능한 편집자가 필요하다. 넷째, 설명적 논평 항목의 요소들은 대부분의 서평 매체가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하지만, 가장 소홀히 하는 정보는 삽화, 문체에 관한 내용이고, 지식책의 경우에는 거의 정확한 서술을 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서평 내용 기술에서 대체로 출판사의 보도 자료에 많이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지양해야 할 이며, 암시적인 기술보다는 명시적 서술이 요구된다. 다섯째, 평가적 논평 항목의 요소들은 서평을 읽고 해당 도서의 구입을 결정해야 하는 사서의 입장에서 중요하다. 동일한 주제의 다른 책과의 비교, 같은 저자나 삽화가의 작품과 비교, 흥미나 관심을 가질 특정한 독자에 대한 안내 등의 항목을 통해서 기존에 소장하고 있는 도서와 비교하여 구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특정한 교과목이나 특정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도움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평가적 논평 항목을 정확하게 기술하기 위해서는 서평자가 어린이 도서 전반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교과과정에 대한 이해, 어린이에 대한 지식과 이해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실적으로 이러한 자질을 개인이 모두 갖추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교과과정의 주제 분석을 포함한 주제명 표목표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국내 서평 매체의 특성 중의 하나는 해당 매체에 게재된 서평을 찾아 볼 수 있는 색인의 부재이다. 매호 발행하는 서평의 양이 적기 때문에 매번 개별 서평 매체에서 색인을 첨부할 필요는 없더라도 연간 색인을 발행한다면 서평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개별 서평 매체에서 연간 색인의 발행이 어렵다면 대안으로 어린이 도서 서평의 전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어린이 도서 서평 색인지(가칭)'를 발행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서평 색인지를 통해서 전체 어린이 도서 서평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서평 색인지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 도서와 출판에 관한 다양한 방법의 심층적인 연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아직까지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선정 도구가 없는 국내 상황에서 서평 색인지는 초등학교 도서관의 장서 개발을 도와줄 수 있는 선정 기준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 서평에 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를 찾았고, 발견한 서평 매체 중에서 선정 도구로 이용하기에 적절한 서평 매체가 무엇인지 내용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어린이 도서 출판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더불어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열람실의 장서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선정 도구로서 서평 매체의 역할도 증가하고 있다.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에 대한 연구는 서평 매체 자체뿐만 아니라 서평하는 도서에 대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이 방향의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평 매체를 분석 평가하는 작업은 일과성의 연구로 그치지 않고 정기적으로 반복하여 그 결과를 서평 매체의 질적인 개선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