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애덕-
dc.creator이애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7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0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formities in the lower extremities among dance majors and other major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various types of dance majors and deformities in order to raise stability of the body through systematic dance movements and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dance movement analyses which can help to prevent bone structure deformities and body injuries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120 students of E-Womans University who have been studying dance for more than 10 years; among these dance majors, 32 majored in Korean dance, 31 in ballet and 30 in modern dance. Also 27 students with majors other than dance who do not excercise regularly were selected. Each subject had her lower extremities measured and pelvis and feet X-Rrayed at a designated S radiology department. The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ancing majors and other majors. And for the comparison among the various dance majors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non-dance majors the One-way ANOVA was used. Pearson-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lower extremities deformities of each major and among various dance major groups. The results from the statistic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es showed abl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dance majors and other majors, the dance majors had longer left/right pelvic than other majors(t=2.34, p<.05). The analyses showed no notabl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dance majors and other majors, but the dance majors had wider left/right iliac than other majors(t=.40, p>.05). And the dance majors had bigger figures in anterior superior(AS)/ posterior inferior(PI) deformities, and internal(IN)/external(EX) deformities compared to other majors(t=1.50, p>.05)(t=.22, p>.05)(t=.27, p>.05)(t=.52, p>.05). In other words, the unbalance in all pelvic bones was bigger among the dance majors. In Q-angle, the dance majors showed bigger displacement than other majors(t=-.03, p>.05), while genu valgum, the other majors showed bigger displacement than dance majors(t=.41, p>.05), and both groups belonged to the abnormal category. In hallux valgus, the dance majors showed bigger figures(t=1.68, p>.05), with both groups categorized as abnormal, while both groups belonged to the normal category with other majors showing bigger figures in foot arch(t=-1.16, p>.05). But thes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notable differences. Secondly, the comparison analysis results among the Korean dance, ballet, modern dance majors and other majors were not statistically notable. However, in the left/right pelvic length, the highest figures were found among the Korean dance majors, followed by modern dance, ballet and other majors(F=2.11, p>.05). while in the left/right iliac width, it was in the order of modern dance, ballet, other majors and Korean dance majors(F=.18, p>.05). In the AS deformities, the Korean dance majors came first, followed by the modern dance, ballet and non-dancing majors(F=1.19, p>.05). In the PI deformities, the Korean dance majors came first, followed by the modern dance, non-dancing majors and ballet(F=1.12, p>.05), while in the IN deformities the Korean dance majors came first, followed by the modern dance, ballet and non-dancing majors(F=.13, p>.05). For the EX, it was the ballet majors first, and then in the order of the modern dance majors, non-dancing majors and Korean dance majors(F=.67, p>.05).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notable. In Q-angle, the modern dance majors came first, followed by the Korean dance, non-dancing majors and ballet(F=.95, p>.05). In genu valgum, the modern dance majors showed bigger average than the ballet majors, non-dance majors, while the Korean dance had smaller average figures(F=2.51, p=.06). In the average angle of hallux valgus, the modern dance majors showed bigger average than the ballet majors, Korean dance majors, while the ballet majors and non-dance majors had smaller average figures(F=2.52, p>.05). The ballet majors had a bigger average foot arch angle than the non-dance majors, while the modern dance and Korean dance majors showed smaller figures than the non-dance majors(F=1.46, p>.05). But thes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notable differences. Thirdly, on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elements that contributed to the lower extremities deformities in various groups, a statistically notable correlation between the figures of iliac width difference and hallux valgus(r=.34, p<.05), genu valgum and Q-angle(r=.36, p<.05) was found in the Korean dance major group. Among the modern dance majors, on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elements that contributed to the lower extremities deformities, statistically notabl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genu valgum difference and the Q-angle(r=.43, p<.01), Q-angle and hallux valgus (r=-.40, p<.01). There was no notable correlation between the lower extremities deformity among the ballet majors and non-dance majors. However, after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elements that contributed to the lower extremities deformity among dance majors, statistically a notabl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Q-angle and genu valgum(r=.29, p=.005), iliac width and genu valgum(r=.25, p=.02) and also between Q-angle and hallux valgus(r=-.24, p<.05). In dancing, pelvis and lower extremities are important tools that communicate the dancer's expressions and movements. But without scientific knowledge, repetition of incorrect movements can be the cause of stress on the parts of the body which can eventually lead to deformities of bones and tissues, resulting in various physical disorder. Therefore, various scientific theories of dance need to be established and applied to dancing in the field, and a systematic education of the body needs to be given in elementary schools where children go through many changes in their born structure. In addition, all the dance teachers need to emphasize precise movements in dance education based on kinetics and prevent and discover any bone disfigurement or displacement through regular physical checkups or simple examinations of the physical state.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appropriate equipments and systematic support are urgently needed. Also, further studies in movement programs to rectify displaced body parts through correct movement analyses are to be continued. ;본 연구는 무용 경험 유무에 따른 하지의 변형을 파악하고 무용 유형별 하지 변형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근골격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관절 변형과 상해를 예방하는데 있어, 체계적인 무용 동작연습이나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10년 이상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E-여대의 무용 전공자 중 한국무용 전공자 32명, 발레 전공자 31명, 현대무용 전공자 30명과 무용을 한 경험이 없고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일반인 27명, 총 120명으로 구성하였다. 각 대상자는 Q각, 외반슬을 측정한 후 지정된 S 방사선과에서 x-ray(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로 골반 및 족부를 촬영하였다. 무용 경험 유무가 하지변형(골반, Q각, 외반슬, 무지 외반, 발아치)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고 무용의 유형은 하지변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무용 경험 유무및 무용 유형별 하지변형 변수간 상관관계가 있는지 적률(Pearson product moment)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좌ㆍ우 골반 길이의 차이는 무용 전공자가 일반인에 비해 평균값 1.5mm로 컸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좌ㆍ우 장골 너비의 차이는 무용 전공자가 평균값 0.44mm로 일반인보다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첫째, 무용 경험 유무에 따른 하지변형의 비교로 무용 전공자와 일반인의 비교분석 결과, 좌ㆍ우 골반 길이의 차이는 무용 전공자가 일반인에 비해 컸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4, p<.05). 좌ㆍ우 장골 너비의 차이는 무용 전공자가 일반인에 비해 컸고(t=0.40, p>.05) 전상방 변위와 후하방 변위, 내방 변위와 외방 변위는 무용 전공자가 일반인에 비해 평균값이 컸으나(t=1.50, p>.05)(t=.22, p>.05)(t=.27, p>.05)(t=.52, p>.05)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Q각은 무용 전공자가 일반인보다 약간 더 컸으며(t=-.03, p>.05) 두 전공 모두 비정상 범위에 속해 있었다. 외반슬은 일반인이 무용 전공자보다 변위가 컸으나 (t=.41, p>.05) 두 전공 모두 정상범위 내에 속해 있었다. 무지외반은 무용전공자가 일반인 보다 더 컸으며(t=1.68, p>.05) 두 전공 모두 비정상 범위에 속해 있었고, 발아치는 일반인에게서 약간 더 컸고(t=-1.16, p>.05) 두 전공 모두 정상범위 내에 속해 있었다. 그러므로 무용 경험 유무에 따른 하지변형은 골반 길이의 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무용 유형에 따른 하지 변형의 비교분석 결과, 좌ㆍ우 골반 길이의 차는 한국무용 전공자의 골반 길이의 변위범위가 가장 컸으며 이어 현대무용 전공자, 발레 전공자, 일반인의 순으로 컸으며(F=2.11, p>.05) 좌ㆍ우 장골 너비의 차는 현대무용 전공자의 변위가 가장 컸으며 이어 발레 전공자, 일반인, 한국무용 순으로 컸다(F=0.18, p>.05). 전상방 변위는 한국무용 전공자, 현대무용 전공자, 발레 전공자, 일반인의 순으로 컸으며(F=1.19, p>.05) 후하방 변위는 한국무용 전공자, 현대무용 전공자, 일반인, 발레 전공자의 순으로 컸다(F=1.12, p>.05). 내방 변위는 한국무용 전공자, 현대무용 전공자, 발레 전공자, 일반인의 순으로 컸으며(F=.13, p>.05) 외방 변위는 발레 전공자가 가장 컸고 이어 현대무용 전공자, 일반인, 한국무용 전공자의 순으로 컸으나(F=.67, p>.05)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Q각의 평균각도는 현대무용 전공자가 가장 컸으며 한국무용 전공자, 일반인, 발레 전공자 순으로 컸고(F=.95, p>.05), 외반슬은 현대무용 전공자가 가장 컸으며 발레 전공자, 일반인, 한국무용 전공자순으로 컸다(F=2.51, p=.06). 무지외반의 평균각도는 현대무용 전공자, 발레 전공자, 한국무용 전공자, 일반인 순으로 컸고(F=2.52, p=.06) 발아치의 평균각도는 발레 전공자, 일반인, 현대무용 전공자, 한국무용 전공자순으로 컸다(F=1.46, p>.05). 그러므로 무용 유형에 따른 하지변형은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일반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무용 경험 유무 및 무용 유형별 하지변형 변수 간 상관관계 결과, 무용 전공자간 하지변형의 관계는 장골너비의 차와 외반슬(r=.25,p=.02), Q각과 외반슬(r=.29,p=.005) Q각과 무지외반(r=-.24, p<.05)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국무용 전공자의 하지변형간의 관계는 장골 너비의 차이와 무지외반(r=.34, p=.05), 외반슬과 Q각의 관계(r=.36, p<.05)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현대무용 전공자의 하지변형간의 관계는, Q각과 외반슬(r=.43, p<.01), Q각과 무지외반(r=-.40, p<.01)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발레 전공자의 하지변형간 상관관계와 일반인의 하지변형간 상관관계는 없었다. 무용에 있어서 골반과 하지는 올바른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곳이다. 그러나 과학적 지식 없이 바르지 않은 동작의 반복은 신체 부위에 스트레스가 작용하여 골격 및 연부조직에 변화를 초래하여 많은 장애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다각적인 무용과학 이론의 정립으로 실제적인 현장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골격의 변화가 쉽게 일어나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신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무용 교사들은 과학적이고 정확한 움직임을 학생들에게 강조하여 골격 변형을 사전에 예방해야 하며, 올바른 동작분석을 통해 변형부분을 교정하는 동작프로그램의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하겠다. 나아가 간단한 신체점검이나 규칙적인 검사로 사전에 변형을 예방하고 발견하는 제도적인 장치와 시설의 개발이 시급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무용에 있어서 하지의 중요성 = 7 B. 하지의 골격 구조 및 변형 = 9 C. 무용에 따른 하지의 변형 = 26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대상 = 32 B. 연구절차 = 33 C. 측정방법 = 34 D. 자료분석 = 40 Ⅳ. 결과 및 논의 = 41 A. 결과 = 41 B. 논의 = 61 Ⅴ. 결론 및 제언 = 73 A. 결론 = 73 B. 제언 = 75 참고문헌 = 76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21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용 전공에 따른 하지 변형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체육학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