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과학 관련 활동 분석

Title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과학 관련 활동 분석
Authors
박용순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general trend of scien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y determining the content and the method which are two elements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above purpose, the detail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rend of activities concerning science education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1-1. How is the tendency in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1-2. What is the difference of science education up to daily life subjects? 1-3. What is the difference of science education up to activity types? 2. What is the trend of scientific research process concerning science education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2-1. How is the tendency in the scientific research process? 2-2.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scientific research process up to daily life subjects? 2-3.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scientific research process up to activity typ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55 activities concerning science including contents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among 12 volumes of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pu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6TH CURRICULUM FOR KINDERGARTEN(2000)'. As for the t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standard of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hich were developed by National Research Council(U.S.A.) in 1996 is modified and used. For studying science research process, the elements of research ability suggested by Kyung-min, Lee(2000) are us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ientific activities in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are summed to 355, which takes 28.4% of al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distribution tendency of scientific concept in science education, life science shows the highest frequency, physical science and technology, earth and space science, and then environmental science in order. Researching trend to the subordinate concepts, the properties of living materials included life science,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and materials show higher frequency. On the other hand, resource type in environmental science, environmental change in earth and space science, light and magnetism in physical science show lower frequency. Researching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up to life subjects, animals, earth and environment, and season show higher frequency in order, but special days, family and neighborhood, homeland and foreign country show lower frequency. The results have relations with the contents of small subjects which are managed up to life subjects. The tendency of activities types up to scientific concept makes too much of science territory and story-telling activity which is caused that science education is effectively performed in science territory and story-telling activity. Second, the number of study process included in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is 1,506 and each activity has 4.24 study process in average. The tendency of research process reveals communicating, predicting and observing in order. On the other hand, classifying and measuring show lower frequency. Also there are 33 cases which have no factor of study process and take 9.3% in all science activity. In tendency of study process up to life subject, the results are that life subject which has many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shows higher frequency of study process in proportion. In tendency of study process up to activity types, the each lower level of 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predicting and communicating makes too much in territory of science, story-telling activity, outdoor activity, playing with water and sand. This results from the fact of free-choice activity and group activity which have many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서 과학 관련 활동의 경향을 과학교육의 두 가지 요소인 내용(과학적 개념)과 탐구 과정(과학적 기술)으로 나누어 분석해 봄으로서 유아과학교육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과학 관련 활동의 내용 경향은 어떠한가? 1-1. 과학교육 내용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1-2. 과학교육 내용은 생활주제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1-3. 과학교육 내용은 활동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과학 관련 활동의 과학적 탐구 과정 경향은 어떠한가? 2-1. 과학적 탐구 과정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2-2. 과학적 탐구 과정은 생활주제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2-3. 과학적 탐구 과정은 활동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교육부(2000)에서 발행한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총 12권 중 생활 주제별 활동 지도 자료 10권에 포함된 과학 관련 활동 355개이다. 과학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는 미국의 National Research Council에서 1996년 개발한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의 과학내용 기준을 연구자가 수정하여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과학 내용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탐구 과정을 분석하는 도구는 이경민(2000)이 제시한 탐구 능력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과학 관련 활동은 총 355개로 총 활동수의 28.4%를 차지하였다. 과학교육에 포함된 과학적 개념의 분포 경향을 알아본 결과 생명 과학이 35.5%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물상 과학 27.7%, 과학과 기술 21.1%, 지구 및 우주 과학 10.9%, 환경 과학 4.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범주별로 경향을 살펴보면, 생명 과학에 포함된 생물의 특징, 과학과 기술 범주의 과학과 기술에 대한 이해, 물상 과학의 하위 범주인 물체와 물질의 성질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환경 과학의 하위 범주인 자원의 종류, 지구 및 우주 과학의 하위 범주인 환경의 변화, 물상 과학의 하위 범주인 빛, 자기는 매우 낮은 빈도를 보였다. 과학교육 내용을 생활주제별로 살펴보면, 동물 21.9%, 지구와 환경 18.9%, 계절 15.3%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특별한 날들, 가족과 이웃,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에서는 낮은 빈도를 보였다. 이를 다시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물상 과학은 전 생활주제에 대체로 고루 분포하고 있으나, 생명 과학은 동물에 매우 치중되어 있었고, 지구 및 우주 과학은 지구와 환경에, 과학과 기술은 도구와 기계, 교통 기관에 매우 치중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환경 과학은 지구와 환경에 매우 편중된 빈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생활주제별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소주제의 내용과 관련이 있었다. 과학적 개념에 따른 활동유형별 경향은 과학 영역이 22.3%, 이야기나누기 활동 11.3%로 편중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과학 영역은 물체의 속성을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제공되고, 소집단 또는 개별 활동을 통해 조사, 관찰, 기록, 비교, 분석해 볼 수 있는 곳이다. 반면에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주변 사물이나 현상 등에 대한 유아의 지식과 흥미의 범위를 넓혀 줄 수 있으나 자칫하면 지식을 전달하는 활동이 되기 쉬우므로 유아들이 직접 관찰하고 탐구 과정을 경험해 볼 수 있는 실험 등의 활동이 많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는 달리 음률 영역과 목공놀이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었다. 음률 영역이나 목공놀이 영역은 소리나 물체와 물질의 성질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나, 전체 활동유형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과학교육 관련 활동에 포함된 탐구 과정은 총 1506개로서 한 활동당 평균 4.24개의 탐구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 과정의 전체적인 경향은 토의하기, 예측하기, 관찰하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분류(비교)하기, 측정하기는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탐구 과정의 구성 요소가 하나도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33개나 포함되어 있어 전체 과학 관련 활동의 9.3%를 차지하였다. 생활주제별 탐구 과정의 경향에서는 동물이 20.3%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지구와 환경, 건강한 몸과 마음, 계절, 도구와 기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특별한 날들, 가족과 이웃,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에서는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즉, 과학교육 내용이 많이 분포된 생활주제에서 그와 비례하여 많은 탐구 과정의 빈도를 보였다. 각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관찰하기는 동물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분류하기는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가족과 이웃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측정하기는 동물, 건강한 몸과 마음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예측하기는 지구와 환경, 동물, 건강한 몸과 마음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토의하기는 동물, 지구와 환경에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탐구 과정이 활동유형별로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지 살펴본 결과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측하기, 토의하기의 각 하위 범주는 과학 영역과 이야기나누기 활동, 실외활동, 물·모래놀이 영역에 많이 편중되어 있었다. 이는 과학교육 관련 활동이 많이 포함된 자유선택활동과 대·소집단 활동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과학교육 관련 활동이 매우 적었던 음률 영역, 역할놀이 영역, 언어 영역, 동화·동시·동극에서는 마찬가지로 매우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