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아진-
dc.creator이아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06-
dc.description.abstractDrug abuse of young people firstly needs prevention because it may create a serious social problem. Young people are easy to expose them to drug than adult people becaus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nfluence, and may be quickly poisoned at continuous abuse to suffer from recurrence often. Young people, who abuse or rely upon drug, are difficult to recover health so that a lot of efforts and expenses are required to let them adapt to the society normally again. First of all, a preventive action is required before young people make use of drug. Social welfare centers at each community as well as young people related consultants and organizations had drug prevention programs to make use of them effectively and selectively depending upon situation of each organization. However, almost no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s were used to apply to common students who were forced to spend a lot of time at schools. In the nation, continuous and systematic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s were not used yet to apply to the students at schools even if school based approaches were more demanded. A lot of programs developed by precedent researches were not in force at schools. School based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was the most suitable to common young people: Therefore, the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at schools needed to be studied in detail. This study made use of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life skill training for young people at schools to examine educational effects. In the program, instructors did not giv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young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y themselves to experience and change cognition and attitude on the drugs and to make affirmative atmosphere of a group of that age. The object was sixteen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3rd year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at school. The program was used one time every week for two months from March 2004 to May 2004. The study examined knowledge and attitude on drug, problem solving technology within a group of that age and self-assertion behaviour, etc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made use of not only subjective observation of individual support of the author but also the questionnaires of the program of students to inspec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find the use in schoo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improved knowledge of drugs significantly. The students raised the score of knowledge of drugs after the program than the drugs before the program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gram made the students improve knowledge of drugs affirmatively. Secondly, after the program, the students improved the attitude on drug abuse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the score of the attitude on drug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chang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 attitude on drug abuse examined how much unacceptable thought on drugs the students had: In other words, the students increased unacceptable attitude on drug abuse significant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students regarded drugs like alcohol and tobacco as unacceptable thing. Thirdly, the study examined how much not only self-assertion behaviour but also problem solving attitude changed to have close relation with drug abuse behaviou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much likely to have influence upon high level of self-assertion behaviour as well as problem solving ability that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d. In conclusion, the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common young people needed to use at school CA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ere the program could be actually used. And, a group of that age needed to use to get the effects of drug abuse prevention at schools. ;청소년들이 보이는 다양한 문제들 중에서 사회적인 문제로 발전할 수 있는 약물남용문제는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성인에 비하여 청소년들은 심리·사회적인 영향으로 인해 약물에 쉽게 노출되며 지속적으로 약물을 남용할 경우 중독단계로 넘어가는 기간이 빠르고 재발률이 높다. 약물남용이나 의존 상태에 빠진 청소년들을 치료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아서 이들을 다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약물을 접하기 이전에 예방활동을 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지역사회사회복지관, 청소년 관련 상담기관 및 단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약물예방 프로그램들의 효과성은 계속 보고 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프로그램보다는 각 기관의 상황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정작,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의 일반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이렇다할 약물예방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학교를 기반으로 한 접근이 점차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학교청소년 대상의 연속적이고 체계적인 약물남용예방프로그램은 실시되지 않고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들이 산재해 있으나, 학교현장에서 정착되지는 않고 있다. 일반청소년들에게는 학교를 중심으로 약물예방교육을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전달방식이라면, 학교 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약물예방교육을 실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의 일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생활기술훈련을 바탕으로 구성한 약물남용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진행자에 의해서 지식과 정보가 전달되는 것보다 청소년들의 자율적인 참여와 경험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과정 속에서 약물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스스로 변화시키고, 긍정적인 또래집단의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학교 내의 약물남용예방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밝힌 16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4년 3월부터 5월까지 2개월 동안 매주 1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약물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또래집단 내에서 문제해결기술과 자기주장 행동을 사전, 사후 비교하였고, 본 연구자의 개별성원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과 학생들의 프로그램 평가 설문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통하여 학교 내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약물에 대한 지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사전의 약물에 대한 지식보다 사후의 약물에 대한 지식점수가 증가하였으며, 통계결과상 이러한 차이가 유의미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약물에 대한 지식이 긍정적으로 향상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결과 약물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전의 약물에 대한 태도점수보다 사후의 약물에 대한 태도점수가 증가하였고, 통계결과 이러한 변화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약물에 대한 태도는 학생이 약물에 대한 비수용적인 생각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은 학생들이 약물에 대한 비수용적인 태도가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본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인해서 술, 담배와 같은 약물을 비수용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약물사용행동과 높은 관련이 있는 자기주장행동과 문제해결태도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았는데, 본 프로그램에서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원들의 기존에 가지고 있는 높은 수준의 자기주장행동과 문제해결력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겠다. 또한 일반청소년들에게는 보다 장기적인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약물예방프로그램이 학교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학교 CA, 방과 후 활동 등의 접근을 선택하여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주며, 약물예방활동에 또래집단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학교 내에서의 약물예방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4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5 D. 본 연구의 한계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청소년의 약물남용 = 8 1. 청소년의 약물남용의 개념 및 특징 = 8 2. 청소년 약물남용 과정 = 10 3. 청소년들의 약물남용 실태 = 12 4. 청소년들의 약물사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3 B. 약물남용예방프로그램 = 14 1. 약물예방의 개념 = 14 2. 약물남용예방프로그램의 모델 = 16 Ⅲ. 연구설계 = 24 A. 연구 모형 = 24 B. 연구대상 및 표집 = 25 C. 연구방법 = 25 D. 측정도구 = 26 Ⅳ. 결과분석 방법 = 27 Ⅴ. 프로그램의 구성 = 28 A. 프로그램의 목적 = 28 B. 실시방법 = 29 C. 프로그램 내용 = 30 D. 프로그램 실시 = 35 1. 집단구성원의 특징 = 35 2. 프로그램 개입과정 = 37 Ⅵ. 프로그램 결과분석 = 50 1. 사전사후 검사 = 50 2. 개별사례 분석 = 53 3. 프로그램 평가서를 활용한 결과분석 = 64 Ⅶ. 결론 및 제언 = 68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0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생활기술훈련에 입각한 약물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