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미-
dc.creator이승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0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according to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re is the purpose to examine the relations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determined by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1) How is maternal social support determined by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2) How is parenting efficacy determined by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3) How is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determined by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2. How are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related? 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2)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the aspiration of children's attainment?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ocial support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The subjects were 156 mothers of high socioeconomic status and 156 mothers of low socioeconomic status who have 4-5 years old children in daycare centers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of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including the inquires about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were used. 'The Scale of Social Support' by Ji Won Park(1985) was used to investigate maternal social support and 'The Scale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by Hyung Sung Choi and Ok Bun Chung(2001) was used to measure parenting efficacy. Also the inquires which was originated from Jin Suk Oh(1979) and Byung Sun Kwak(1982) were used to examine the mothers' aspiration of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that were set for their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Chi-square to examine if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according to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nd ANOVA, Scheffe,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al interpretation a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according to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In maternal social suppor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ntity of social support, but in physic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estimative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was directly related to the efficacy of overall child rearing, communication, and teaching skill. Also in the mothers' aspiration of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personality versus intellectual attainment that is set for their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others of high socioeconomic status had the high aspirations of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intellectual attainm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was significant. Mothers who evaluate they have high social support had high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s who evaluate the efficacy of overall child rearing, and teaching skill high had the high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level. Mothers who had the high efficacy of communication aspired for high occupations for their children. Mothers who had high parenting efficacy cared more about personality attainment than intellectual attainment. But mothers who had high the efficacy of teaching skill care more about intellectual attainment. Mothers had the more physical, informative, emotional, and estimative support, had higher aspiration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level. Also mothers who had the more emotional, and estimative support, had higher aspiration for their children's occupation. And mothers who had high emotional support, and estimative support hope that their children have high personality attainment, mothers who had high physical support hope that their children had high intellectual attainment. In conclusion, socioeconomic status affect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and those were related to each other. So if you are to help mother's in child rearing, you must consider the relation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and intervene radically. Namely you must supply social support that is suitable to mother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So a mother's rearing difficulty is relieved and parenting efficacy is promoted. That is radical method to influence mother's positive child rearing.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그리고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가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는 어떠한가? 1)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2)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떠한가? 3)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머니의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는 서로 어떤 관계 가 있는가?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 중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인 가정의 어머니 156명과 '하'인 가정의 어머니 156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머니들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묻는 질문을 포함하여 어머니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를 묻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어머니 사회적 지지에 대한 문항은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의 반수를 무선 채택하여 사용하였고, 양육효능감에 대한 문항은 최형성, 정옥분(2001)의 '어머니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과정에서 요인분석 결과 요인 부하량이 .50이하인 문항을 모두 삭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자녀에 대한 성취 기대 중에서 학력과 직업에 대한 기대를 묻는 질문은 오진숙(1979)과 곽병선(1982)이 사용한 문항 중 연구 목적에 맞는 문항을 선택하고 하위답변을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와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 분석(ANOVA), Scheffe 검증, t-test와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머니들은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그리고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있었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사회적 지지 인원의 수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어머니들은 낮은 어머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적 지지, 특히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를 높게 인식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어머니들은 양육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전반적인 양육능력, 의사소통 능력과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효능감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자녀의 학력과 진학에 대한 기대와 인성-지적 성취에 대한 기대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어머니일수록 자녀 학력과 직업에 대한 기대가 높았으며 자녀의 지적 성취에 대해 더 많이 기대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의 관계에서는 서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들은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지할수록 양육효능감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 학력과 직업에 대한 기대의 관계에서는 양육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전반적인 양육 능력, 그리고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대졸 이하보다 대학원졸의 학력을 기대하고 있었으며,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지위가 높은 고위관리자 및 자본가 등의 직업을 기대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인성-지적 성취에 대한 기대의 관계에서는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대체로 자녀에게 지적인 성취에 비해 인성 성취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하였으나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효능감에서는 효능감이 높을수록 지적 성취 기대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자녀 학력에 대한 기대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인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그리고 평가적 지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에게 대졸 이하보다 대학원졸의 학력을 기대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자녀 직업에 대한 기대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에게 높은 지위의 직업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에게 지적 성취에 비해 인성 성취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하며, 물질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에게 지적 성취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회·경제적 지위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및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주며, 이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어머니들의 양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면 이러한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의 관계를 고려하여 근본적으로 개입하여야 할 것이다. 즉 어머니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적절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 어머니가 양육에서 겪는 어려움을 덜어 준다면 양육에서의 효능감을 높이고 자녀에게 적절한 기대 수준을 유지하게 하여 긍정적인 양육 행동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8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 5 1.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 5 2.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 9 3.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 12 B.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의 관계 = 18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 18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 21 3.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 23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도구 = 27 C. 연구절차 = 35 D. 자료분석 = 39 Ⅳ. 결과 및 해석 = 40 A.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 40 1.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 40 2.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 41 3.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 43 B.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의 관계 = 50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 50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 51 3.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 55 Ⅴ. 논의 및 결론 = 58 A. 논의 = 58 B. 결론 및 제언 = 70 참고문헌 = 74 부록 = 84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97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및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