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현-
dc.creator이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4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01-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research the present status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teachers of the secondary schools is examined statistically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ing and to vitalize principals' and teachers' leadership. Through literature survey four lower factors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re identified by vision, teaching improvement, teaching support, and teaching evaluation. And the leadership of teachers is composed of vision, professional virtue, professional competence, and empowerment. Questionnaires are given to 470 teachers of 15 secondary schools including 7 high schools in the Gyung-gi Province and analyzed by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Hypotheses are tested statistically in the significancy level of α=.05.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1)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s service experiences as a principal and elder principals are perceived to have higher instructional leadership. 2)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analyzed to be 3.14 in the Likert 5 point scale which means normal. In view of lower level factors, vision has the highest point of 3.25, and teaching improvement shows the lowest point of 3.05. 3) Male teachers perceived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more positively than female teach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lower factors of teaching improvement, teaching support, and teaching evaluation. Artistic and physical teachers are more positive than teachers in other professional groups. 4)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analyzed to be 3.64 which is relatively positive. The result for vision is the highest(3.86), professional virtue(3.84) is the second. Professional competence(3.53), and empowerment(3.39) follow it. 5) Male teachers perceive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a little more positively than female teachers. Artistic and physical teachers are more positive than teachers in other professional groups. 6)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closely related with that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7)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including the lower level factors. Especially the more professionally competitive the teachers get, the more positively they perceive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 more actively does the principal endeavor to improve teaching, the better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become. 8) Among the lower level factors, teaching improvement influences most on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but is not so much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mmary, the teachers perceive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relatively positive, while they evaluate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normal. And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and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Teaching improvement of principal's lower level factors i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is not so much statistically explanatory. Suggestions from these statistical analyses are as follows. 1) Some objective measure for principals and teachers to evaluate their own instructional leadership should be developed. 2) Teachers should endeavor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techniques as professionals of classroom education. 3) Considering that the discretional right of artistic and physical teachers influences positively to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more discretional right should be given to teachers in other educational groups. 4) Considering that more burdens of female teachers on housekeeping and child-care, and less chances for promotion and self improvement influence negatively to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female teachers should be cared well in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including educational conditions, various supports, and flexible chances for self improvement. 5) Lower level factors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are found to be less explanatory to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is should be clarified through the further researches. 6) Since the teacher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ir classes, future researches should be focused to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Study on the Principal's and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founded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지도성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학교의 개선과 교수학습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지도성이 활성화 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의 교장과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하여 탐색을 하고 둘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장의 특성에 따라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의 특성에 따라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3) 교사의 개인 특성에 따라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차이가 있는가? 4)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낮게 인식하는 교사집단과 높게 인식하는 교사집단간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5)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지도성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6)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사대상으로 경기도 내 중등학교 15개 학교(중학교 8, 고등학교 7)의 교사 470명을 무선 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윈도우용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 1번, 2번, 3번은 독립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하였고, 연구문제 4번은 독립 t-검증으로 연구문제 5번은 Pearson 적률상관으로 연구문제 6번은 중다회귀분석의 단계투입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가설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경력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2∼3년인 교장들보다 4년 이상인 교장들의 수업지도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연령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56∼60세 사이의 교장들보다 61세 이상인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가 인식한 교장의 수업지도성의 전반적인 경향을 보면 Likert 5점 척도에서 3.14로 나타나 "보통이다"에 해당하는 점수를 보이고 있다.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하위요인별로 보면 비전제시가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인식을 보인 하위요인은 수업개선이었다. 셋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여교사보다 남교사가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요인 중에서는 비전제시를 제외한 수업지원, 수업개선 그리고 수업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공계열별로 보면 인문·자연계열 교사보다 예체능계열 교사가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하위요인 네 가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교사 스스로 인식한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보면 3.64로, "보통이다"와 "대체로 그렇다"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수업지도성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비전제시와 도덕적 품성이 가장 높았으며 전문적 능력, 권한부여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여교사보다 남교사의 인식 수준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요인들 중 전문적 능력과 권한부여에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전공계열 별로는 예체능계열 교사가 인문·자연계열 교사보다 수업지도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으며, 세부적으로도 전문적 능력, 도덕적 품성, 그리고 권한부여 요인에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낮게 인식하는 교사집단과 높게 인식하는 교사집단간 교사의 수업지도성 하위요인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지도성 네 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낮게 인식하는 교사집단보다 높게 인식하는 교사집단의 인식 수준이 크게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곱째,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지도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전체적으로 교장의 수업지도성의 하위 4개 요인과 교사의 수업지도성 하위 4개 요인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상관이 가장 높은 교사의 수업지도성 하위요인은 전문적 능력이었고, 가장 낮은 상관에 보인 하위요인은 도덕적 품성이었다. 또한,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교장의 수업지도성 하위요인은 수업개선이었으며 가장 낮은 상관을 보인 하위요인은 비전제시였다. 여덟째,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수업지도성 하위요인을 종속요인으로, 교장의 수업지도성 하위요인들을 독립요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하위요인은 수업개선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교사들은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보통 정도로 인식하여 높지 않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자신의 수업지도성은 비교적 보통이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지도성은 정적상관을 가진 것으로 드러나 상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장의 수업지도성 하위 요인 중 수업개선이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영향력은 주지만 설명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나 교장이 자신의 수업지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수량화 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측정도구를 통하여 교사들과 교장은 자신의 수업지도성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더 발전하려는 자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사들은 교실 수업의 전문가로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더 향상시키려는 꾸준한 자기 연찬의 노력을 하여야 하겠다. 셋째, 예체능 계열 교사들이 인식한 자신의 수업지도성이 인문·자연계열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지도성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는 상대적으로 예체능 교사들에게 수업, 교과서의 재구성 등에 대한 재량권이 더 많이 주어진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인문·자연계열 교사들에게도 더 많은 재량권이 부여되어야 하겠다. 넷째, 남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수업지도성이 여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수업지도성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는 여교사가 상대적으로 가정과 육아에 대한 부담을 더 많이 안고 있어 승진과 자기 연찬의 기회가 적기 때문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여교사가 대다수인 우리의 교육환경에서 여교사를 배려한 교육여건 조성, 다양한 인적· 물적 지원, 자기 연수의 기회를 융통성 있게 주어야 하겠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하위요인의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는데, 차후 연구에서는 이 원인을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이제까지의 수업지도성 연구는 주로 교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거나 아니면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사와 교장의 지각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학생들의 교수·학습 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사람은 실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라고 볼 때 차후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교육지도성 = 6 1. 교육 지도성의 중요성 = 7 2. 교육 지도성의 역할 = 9 B. 교장의 수업지도성 = 10 1. 학교장의 역할변화 = 10 2. 수업지도성의 개념 = 15 3. 수업지도성 행위 구성 요인 = 18 C. 교사의 수업지도성 = 35 1. 수업지도성과 변혁적 지도성 = 35 2. 교사의 수업지도성 = 36 3. 교사의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 = 37 가.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요인 = 38 나. 교사의 수업지도성의 하위요인 = 42 D. 수업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48 1. 상황특성과 수업지도성 = 48 2. 수업조직과 수업지도성 = 48 3. 학교풍토와 수업지도성 = 49 E. 선행연구 분석 = 50 Ⅲ. 연구방법 = 55 A. 조사대상 = 55 B. 조사도구 = 55 C. 자료의 처리 = 58 Ⅳ. 연구결과 = 60 A. 교장의 개인특성별 수업지도성 = 60 1. 교장의 성별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 60 2. 교장의 근무 경력별 수업지도성 = 61 3. 교장의 연령에 따른 교장 수업지도성 = 62 B. 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 63 1. 교사 성별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 64 2. 학교급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 65 3. 교사 직급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 66 4. 교직경력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 67 5. 최종학력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 69 6. 출신대학 계열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 70 7. 전공계열에 따른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 71 C. 교사의 특성에 따른 수업지도성 차이 = 73 1 . 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 = 74 2. 학교급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 = 75 3. 직급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 = 76 4.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 = 77 5. 최종학력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 = 79 6. 출신대학계열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 = 80 7. 전공계열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 = 81 D.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 차이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인식의 차이 = 82 E.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지도성과의 상관관계 = 86 F.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미치는 영향 = 87 Ⅴ. 결론 및 논의 = 90 A. 결론 = 90 B. 논의 = 92 C. 제언 = 96 참고문헌 = 98 부록 = 103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37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사의 인식에 기초한 교장과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