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관한 연구

Title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은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로 소아암 아동의 생존 기간이 길어지면서 암과 치료자체에 대한 신체적 문제 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후유증 문제 또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소아암이 만성질환의 개념으로써 이제 생존의 문제를 넘어서, 치료 이후 사회로의 재적응 문제로 부각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동안 소아암 아동의 적응에 대한 연구들이 상당수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소아암 아동의 위축과 우울, 불안, 공격성, 사회적 미성숙 등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문제행동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소아암 아동의 적응에 대한 문제에 초점을 둔 병리 관점으로, 실제 아동기 이후 청소년기, 성인기 대인관계의 목적을 달성하고 사회 환경과 성공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아암 아동의 발달적, 긍정적 적응력, 즉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social competence)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요인, 질병관련 요인, 부모양육행동 요인, 또래관계 요인의 영향력을 밝혀봄으로써, 소아암 아동의 이후 청소년기 및 성인기 사회로의 적응 및 사회적 역량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소아암 아동의 적응에 대한 긍정적 시각제공과 함께 암 경험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적응문제들을 다루는데 책임이 있는 핵심적인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사업실천(Black, 1989; Siegel 1990; Shields et al. 1995; Cwikel & Behar, 1999)의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설정하였다. 1.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은 어떠한 수준인가? 2.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요인에 따라 어떠한가? 3.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은 질병관련 특성요인에 따라 어떠한가? 4. 소아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5. 소아암 아동이 지각한 또래관계와 아동의 사회적 역량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6.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예측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종합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아동과 전국 소아암 쉼터를 이용하는 10세-16세의 소아암 아동과 어머니 각각 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사회적 역량척도, 부모양육행동 척도, 또래관계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단순적률 상관관계,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수준은 전체 사회적 역량이 평균 3.23으로 중간정도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하위요인별로 사교성이 평균 3.44점, 유능성이 평균 3.34점, 주도성이 평균 3.10점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역량 수준을 살펴보면, 전체 사회적 역량의 경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10세-13세 연령의 아동이, 중학교에 재학 중이며, 아버지가 직업이 있고, 어머니가 주부일 때, 경제적 소득이 높을 때, 사회적 역량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질병특성 요인과 사회적 역량 수준의 관계에 있어, 질병특성 요인은 사회적 역량 중 유능성과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사회적 역량은 백혈병일 경우, 진단 후 경과기간이 2개월-6개월일 경우, 치료중일 경우, 신체적 손상정도가 일시적일 경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소아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의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는 친밀감 및 합리성, 통제, 과잉보호에서 아버지의 양육행동 수준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아버지는 방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 수준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학령기 아동과의 관계에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녀의 일상생활에 보다 많이 관여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주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섯째, 소아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은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와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제 및 방임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친밀감 및 합리성만이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소아암 아동이 지각한 또래관계를 살펴보면, 소아암 아동은 또래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친밀, 우의의 긍정적 요소들은 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여학생이, 처벌 및 주도권은 남학생이 높게 지각하였다. 또한 학업을 중단한 아동들이 또래관계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이는 학업을 중단한 소아암 아동이 전체의 25.4%에 이른다는 조사결과를 생각할 때, 주목할 부분이다. 일곱째, 소아암 아동이 지각한 또래관계와 아동의 사회적 역량의 상관관계는, 소아암 아동이 지각한 또래관계 중 처벌 및 주도권이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어 친밀과 사회적 지지를 지각할수록 높은 사회적 역량과 관련있었다. 여덟째,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을 설명하는 예측요인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방임과 또래관계의 처벌 및 주도권이 아동의 전체 사회적 역량 및 하위 요인인 주도성, 유능성, 사교성에 공통적인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관계의 사회적 지지는 유능성을,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친밀감 및 합리성은 사교성을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통제변수 중 가족소득수준이 사회적 역량 전체 및 하위요인들을 모두 설명해주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진단경과는 유능성만을 설명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방임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은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치료과정을 함께 겪어오는 동안 지나치게 불안해지고 과잉간섭하게 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보다 다소 방임적인 태도, 즉 아동의 자율성을 확보해주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아동의 사회적 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또래관계에 있어 의사를 결정하고 주도권을 행사한다고 소아암 아동 자신이 지각할 때 아동의 사회적 역량은 높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 수준에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질병특성 요인보다 부모양육행동 요인과 또래관계 요인에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결과는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이 소아암 아동 개인에게 초점이 맞추어지기보다 소아암 아동을 둘러싼 가족체계 및 또래관계 체계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질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따라서 연구결과에 따라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아암 아동의 부모양육행동에 대한 개입 및 실천적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결과 소아암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에는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은 어머니로부터 친밀감 및 합리성, 통제, 과잉보호를 높이 지각하는 반면, 아버지에게는 방임을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다소 방임적인 양육태도가 소아암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보다 덜 과잉보호하고, 보다 방임적일 때 높은 사회적 역량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대한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아암 자녀의 보호 및 양육의 기능은 거의 전적으로 어머니에 의해 수행되고 있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빈번하다는 이유로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대한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덜 중시해왔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과 과잉보호가 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력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아동의 양육에 참여를 가능케하는 부모양육기술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또래관계의 양적 질적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소아암 아동은 감염 및 면역기능 약화의 문제로 치료기간 동안은 또래관계 및 외부활동이 극히 제한되어진다. 이에 또래들과의 다양한 사회관계를 통해 아동기 사회성이라는 발달과업을 성취해야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회자체가 차단되어지기 마련이다. 소아암 아동이 또래관계 내에서 주도적일수록, 친밀감과 지지를 느낄수록 사회적 역량이 높아진다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이 치료과정 내에서도 또래관계를 경험할 수 있는 의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셋째, 효과적인 의료사회사업적 실천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소아암 아동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의 장은 주로 소아암 치료가 이루어지는 병원이며, 소아암 아동은 2-3년간의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치료를 받는 동안 지속적인 의료사회복지사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해마다 증가하는 소아암 아동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전담 사회복지사의 확보가 요구된다. 또한 소아암 아동을 위한 전문적인 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과 개발된 프로그램의 보급을 위한 보수교육 과정의 개설도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작업 또한 소아암 아동의 궁극적인 사회적응을 위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소아암 아동에 대한 정책적인 치료비 부담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예측요인을 밝히는 과정에서 가족소득 수준, 즉 경제적 수준이 여전히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아암 아동의 가족이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한 이중적인 부담을 갖지 않도록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s survival of cancer children has increased, there has been a important recognition not only of physical problems but also psychosocial problems of late effect. This means that pediatric cancer was turned social adjustment concept after medical treatment as chronic disease more than only concept of survival of life. There are many studies on adjustment of cancer children. But these studies focus on psychosocial pathological behavior like withdrawal, depression, anxiety, aggressiveness and social immaturity. And there are a little studies focusing on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social competence has strength perfective of cancer children's growth to accomplish interpersonal purpose after childhood and to interact successfully with social environment.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social competence level of cancer children and difference of their social competence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disease related factors, parenting behavior factors and peer relationship factors. This study gives us basic data for improving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and positive perspective of cancer children's adjustment. Besides this work gives us implication of a core profession in the provision of cancer service responsible for dealing with the psychosocial sequelae associated with the cancer experience. For the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level of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2. What is the difference of social competence level of cancer children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3. What is the difference of social competence level of cancer children according to disease related factors? 4. What is the relation with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5. What is the relation with peer relationship and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6. What is predictive factor to explain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7 cancer children who ranged in age from 13 years to 18years. To test research questions social competence inventory,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and peer relationship inventory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11.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1.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was showed 3.23 mean. 2.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is as follows. Girls showed higher degree than boys in the social competence. When father's career is office manager, the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is higher degree than any other variable among careers. The more family inome, the higher degree of social competence.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enting behavior between father and mother. In the case of intimacy and rationality, control, cancer children were perceived that mother has higher degree than father has. On the other hand, cancer children perceived father let his cancer children do as they likes. 4.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and father's parenting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ntimacy and rationality, overprotect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nly intimacy and rationality. 5. Through correlations, the peer relationship factors affecting social competence are as follows; social support, punishment and leadership, intimacy. 6.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the social competence are as follows. noninterference amo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punishment and leadership among peer relationship, and economical level among control variables were accepted as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the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The findings above have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in social work practice. 1.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was explained well by parenting behavior factors and peer relationship factors rather other factors. This result suggests that effectiv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social competence of cancer children should include a focus on the entire family system and peer system as well as cancer children alone. This provides a concrete basis for necessity and importance of family intervention and social worker's ro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 up with programs for parenting skill and peer relationship programs. 2.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for the effective practice of medical social projects. And it is necessary that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of family therapy programs and that a maintenance curriculum should be opened for the distribution of programs developed in that way so that the expertise of medical social welfare workers may be enhanced and cancer children may be positively adjusted to society. 3. It is necessary to complete economic supporting systems for cancer children fami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