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언진-
dc.creator박언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4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47-
dc.description.abstract임상 간호사는 건강관리제공자 중 가장 큰 집단이지만 교대근무와 초과근무, 간호 질 향상을 위한 개인능력향상 및 고객만족을 위한 병원요구도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만성피로에 시달리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만성피로는 수면장애, 스트레스 증가, 우울을 유발하여 자신의 건강은 물론 업무수행능력과 환자의 안전에도 위협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임상 간호사는 근무 내내 피로하고 근무 시 피로해결 방법이 없다고 하는데(김영희 와 조수현, 2002), 수지요법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단기간 내에 효과 측정이 가능하므로 근무 시 활용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수지 요법을 임상 간호사에게 적용하여 피로에 미치는 효과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허락한 실험군 13명과 대조군 13명으로 외생변수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동일한 근무환경, 근무경력, 근무형태에 따라 짝짓기로 선정하였고, 실험처치로 실험군에게만 근무 전 3040분간 수지 뜸을 3장씩 뜬 후 근무시간동안 압봉을 붙이게 하는 것으로 총 12회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4년 4월 15일부터 5월 4일까지 3주간이었으며 근무 전·후에 걸쳐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피로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주관적 피로정도로 주관적 피로자각증상 조사표와 시각적상사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생리적 피로정도는 피로도 측정기(Digital Flicker DF-1, Sibata, Japan)를 통해 측정하였고, 또 혈압계(CE0050, Welch Allyn Tycos, USA)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AS 8.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주관적 피로정도와 CFF, 혈압 및 맥박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t-test 와 Chi-squared tes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 실험 전·후 피로의 차이는 t-test, paired t-test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두 집단 간의 실험 전·후 피로의 비교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확인하였다. 일반적 특성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지요법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수지요법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피로자각증상(p=.360),시각적상사척도 (p=.977)와 CFF(p=.431),혈압(수축기 혈압: p=.911, 이완기 혈압: p=.921), 맥박(p=.067)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수지 요법 전·후로 두 집단 간의 피로자각증상의 변화를 비교한 결 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4. 수지 요법 전·후로 두 집단 간의 시각적 상사척도(VAS) 값의 변화 를 비교한 결과 근무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 5. 수지 요법 전·후로 두 집단 간의 CFF 값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근무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 6. 수지 요법 전·후로 두 집단 간의 혈압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근무 전 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수축기 혈압: p=.913, 이완기 혈압: p=.431). 7. 수지 요법 전·후로 두 집단 간의 맥박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근무 전 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42). 8. 일반적 특성 중 근무경력(p=.001)과 교통수단(p=.004)은 CFF에 영향을 미치고(F=18.87,R²=72.0%),VAS에영향((F=6.992,R²=48.8%)을미치 는요인은근무경력(p=.010)과힘든근무형태(p=.005)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피로자각증상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피로에 대한 시각적 상사척도와 생리적 피로를 나타내는 CFF 값에서도 근무전후에 따라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수지요법이 임상간호사의 피로 감소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중재법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수지요법이 임상간호사의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보다 많은 간호사들을 포함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다른 건강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동일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수지요법과 다른 보완·대체 중재방법을 함께 병행하여 피로의 변화를 극대화하는 가능성을 검증해봄으로서 다양한 간호중재법 개발이 요구된다. 그리고 수지요법의 효과를 규명한 검증자료들이 축적되면, 향후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리를 위해 수지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이 요구된다.;Clinical nurses form the largest group among healthcare practitioner groups, but they suffer from continued chronic fatigue due to working in shift, overtime work, requirements for personal development for higher nursing quality and increasing demands of the hospital for customer satisfaction. Such a chronic fatigue may disturb sleeping, increase stress level or cause depression only to threaten nurses' health as well as their job performance and patients' safety. Hence, it is essential to make them relieved of fatigue through a proper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ly the Hand therapy to clinical nurses and thereby, confirm its effects on nurses' fatigue. For this study, the nurses working for emergency unit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were sampled after they had been brief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the survey. 26 nurses thus sampled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venly in terms of same working environment, career length, working shift to control influence upon the confounding variables. The experimental group nurses were subjected to moxa cautery for 30~40 minutes before work, and then, pressure pellets were attached to the fingers during work. Such a therapy was applied to the test group 12 times in total. The data were collected for 3 weeks from April 15, to May 4, 2004 by measuring both groups' perception of fatigue level before and after work. For this study, a subjective fatigue was used a subjective fatigue symptom index table and visual analogue scale, while a physiological fatigue used fatigue measuring instrument, the blood pressure gauge was used to measure both groups' CFF, blood pressure and pul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8.1 program, and the homogeneity of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ive fatigue levels, CFF, blood pressure and pulses were tested by t-test and Chi-squared test.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fatigu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were tested by t-test, paired t-test and the comparisons of fatigu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in the course of time were test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influence of fatigue by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were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comparing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before the Hand therapy, there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fore the Hand therapy. 2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bjective fatigue symptom(p=.360), visual analogue scale(p=.977), critical flicker- fusion frequency(p=.431),bloodpressure(systolic blood pressure, p=.911 ;diastolic blood pressure,p=.921)and pulses(p=.067) between two groups before the Hand therapy. 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bjective fatigue symptoms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Hand therapy, there was fou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01). 4.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VAS valu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Hand therapy, there wa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work(p=.000) 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FF valu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Hand therapy, there wa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work(p=000). 6.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lood pressur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Hand therapy,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work(systolic blood pressure: p=.913, diastolic blood pressure: p=.431). 7.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ulses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Hand therapy,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work(p=.142). 8.Amongthedemographicvariables,career(p=.001)andtraffic transportation means(p=.004)affectedCFF(F=18.87,R²=72.0%),while career(p=.010) and hardworkingshift(p=.005)affected VAS(F=6.992, R²=48.8%). In conclusion, the Hand therapy wa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relieving clinical nurses of fatigue. However,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Hand therapy on relief of clinical nurses' fatigue, it is required of future studies to use a larger sample and thereby, test the therapy in combination with other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interventions to develop a variety of therapies to relieve clinical nurse of fatigu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rogram whereby the Hand therapy may well be applied to manage clinical nurses' healthcare or life sty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2 C. 용어정의 = 3 Ⅱ. 문헌고찰 = 4 A. 임상간호사와 피로 = 4 B. 수지요법 = 12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설계 = 21 B. 연구대상 = 22 C. 연구도구 = 22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24 E. 자료 분석 방법 = 26 F. 윤리적 고려 = 2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7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피로 변수의 동질성 검증 = 27 B. 수지요법이 연구대상자의 피로에 미치는 효과 = 32 C. 일반적 특성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 43 D. 연구의 제한점 = 45 Ⅴ. 결론 및 제언 = 46 A. 결론 = 46 B. 제언 = 48 참고문헌 = 49 부록 = 57 부록 1. 연구자 참여 동의서 = 57 부록 2. 설문지 = 58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08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지요법이 임상간호사의 피로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