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創意性과 道德性 發達水準과의 關係에 關한 硏究

Title
創意性과 道德性 發達水準과의 關係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Creativity and Morality Development Level
Authors
徐麗源.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창의성도덕성발달수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which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ic powers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morality which concerns with establishing the right view of value and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moral education. Creativity in this study chose the intellectual traits theory while morality development chose the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which defines the moral judgement ability. 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What is the real state of morality development levels of Korean 12 or 14 years-old pre-adults compared with Kohlberg's morality development stages? Second;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s between an individual's creativity level and his morality development level? With which factor does morality development level have the highest correlationship among all those creativity factors? Third;What kind of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morality development and school achievement or intelligence? Three hypothes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ere as follows; Hypothesis 1;There might b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level and morality development level. The degrees of correlationships between morality development level and each factor of creativity might be different. Hypothesis 2;School Achievement level may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morality development level. Hypothesis 3;As a secondly hypothesis, intelligence level may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morality development level. The samp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first - grade of a middle school;70 girls for hypothesis 1 and 102 for hypothesis 2 and 3. Measurement tools were the intelligence test, school achievement records, score of moral subject, standardized creativity test and the tool produced by Kohlberg to measure morality development level. Here the collected data show that morality development level of these sample subjects ranges on from 2nd to 4th stage according to Kohlberg's 6 stages. To test the above 3 hypotheses, they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groups by means of creativity score, school achievement and intelligence. The M and S.D of morality development level were drawn out. And the difference of the M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through t - test to know whether it is significant or no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igh creativity group shows that its morality development level proves to be more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compared with low group. Among all those creativity factors, morality development level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elaboration, and flexibility and originality has correlation at the .05 level. 2. High school achievement shows its morality development level proves to be more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compared with that of low group. 3. High intelligence group shows that its morality development level proves to be more signifiant at the .001 level compared with that of low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moral education, educational subjects and methods that can consider and develop the creativity should be made in the near future. Furtherm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reativity development level should be studied much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need to be clarified. For that purpose, research for developing the tools that can measure morality development level more adequately and more collectively. Moral education should lead the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for the moral problems. And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for more tangible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made connected with curriculums.;本 硏究는 道德敎育의 計劃과 實踐 및 올바른 價値觀 確立을 爲한 道德性과 國家發展의 重要原動力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創意性과의 關係를 밝히려는 것이다. 本 硏究에서의 創意性은 知的特性의 立場을 따랐고, 道德性發達은 道德的判斷能力을 規定하는 관점인 認知發達的인 立場에서 다루었다. 本 硏究에서 解決하고자 하는 問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만12~14歲 背少年의 道德性發達水準은 Kohlberg의 道德性發達水準에 비추어 어떤 實態에 있는가? 둘째, 한 個人의 創意性水準은 그의 道德性發達水準과 어떤 關係가 있는가? 이와 關聯하여 道德性發達水準은 創意性 여러 要因中 어느 要因과 가장 높은 相關이 있는가? 세째, 學業咸績은 道德性發潼水準과 어떤 關係가 있는가? 네째, 知能은 道德性發達水準과 어떤 關係가 있는가? 위의 問題는 具體的으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假說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解決하고자 하였다. 假說1 : 創意性水準은 道德性發達水準과 正的인 關係가 있을 것이다. 또한 創意性 各 要因과 道德性發達水準과의 相關의 程度는 다를 것이다. 假說2 : 學業成績水準은 道德性發達水準과 正的인 關係가 있을 것이다. 假說3 : 부차적인 假說로 知能水準은 道德性發達水準과 正的인 關係가 있을 것이다. 위의 假說을 檢證하기 爲하여 서울시내 여자중학교 1학년(만12~14세) 102명을 硏究對業으로 하였고, 假說1을 檢證하기 爲해서는 創意性外의 變因(I.Q, 학업성적, 도덕과점수)를 기초로 創意性上下集團을 t검증으로 同質化하여 各 集團別로 35名씩 도합 70名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測定道具 및 測定은 鄭元植, 李榮德이 제작한 標準化 創意性檢査(中高等孝校用)를 集團的으로 實施하여 그 結果를 創意性點數로 하였다. Kohlberg의 두 종류의 道德性發達水準測定道具(두 가지 딜레머 狀況)를 提示하고, 몇가지 質問으로 그 反應을, 측정의 타당성을 爲해 본연구자를 포함한 敎育心理學울 專攻하는 大學院生 세명이 意見의 統一을 보아 內容分析함으로써 道德性發達水準을 測定했다. 測定의 基準은 Kohlberg의 道德性發達6段階였으며 道德性發達點數는 한 個人이 두 딜레머 이야기에서 얻은 道德性發達段階점수를 平均하여 계산하였다. 學生의 知能점수로는 이미 學校에서 實施했던 능력개발사간 일반지능검사(중학생용)의 結果를 活用하였으며, 學業成績 및 道德科點數는 75學年度 1學期末成績을 利用하였다. 수집된 자료애 의하면 연구대상들의 도덕성발달의 평균수준은 Kohlberg의 6단계에 비추어 2-4단계에 걸쳐 있다. (N=102, M=3.27, SD=1.18), Kohlberg의 자료에도 만13세의 靑少年들의 道德性發達水準은 2~4단계에 걸쳐 있으므로 本 硏究의 對象의 道德性發達水準은 Kohlberg가 調査한 結果와 一致한다. 위의 세假說을 檢證키 위해 創意性點數, 學業成績, 知能指數에 의거해 거의 같은 人員으로 각각 上下集團으로 나누어 道德性發達水準의 평균치와 S.D를 내었으며, 두 集團間의 平均의 差를 t검증으로 意義있는 差인가를 알아보았다. 假說 檢證의 結果 創意性水準別, 學業成績水準別, 知能水準別, 上下集團間에는 道德性發達水準에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差가 있음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첫째, 창의성점수가 높온 集團이 낮은 集團보다 道德性發達水準의 단계가 약1단계 높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差는 .001水準에서 의의있다. 또한 創意性을 要因別로 볼때 適德性發達水準은 精巧性과 가장 상관이 높고, 融通性과 獨創性은 P<.05수준에서 상관이 있다. 組織性은 .02<P<.05수준에서 負的 相關이 있다. 둘째, 學業成績이 높은 集團이 낮은 집단보다 약 1.4단계 도덕성 발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차는 .001수준에서 의의있다. 또한 創意性이 높고 學業成績이 높은 集團이 創意性이 낮고 學業成績이 낮은 集團보다 약1.8단계 道德性發達水準이 높게 나왔다. ( .001수준) 세째, 知能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도덕성 발달수준이 약1.1단계 높은 것으로 나왔다. ( .001수준). 創意性이 높고 知能이 높은 集團이 둘다 낮은 集團보다 道德性發達水準에 있어 약1.8단계 높게 나왔는데 이 差는 의의있는 差다. ( .001수준) 위의 결과로써 창의성-학업성적, 창의성-재능이 다 같이 道德性發達水準에 作用한다는 것을 示唆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세 가지 要因中 어느 것이 더 重要하게 道德性發達水準에 作用하는지는 이 硏究로서는 밝힐 수 없었다. 이 硏究의 結果 創意性과 道德性發達水準과의 關係가 매우 正的인 것으로 밝혀진 것은 創意性敎育과 道德敎育을 同時에 重要視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실정으로 매우 다행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도덕교육을 計劃하고 실천하는 데 있어서 創意性을 고려하고 개발할 수 있는 敎育內容과 敎育方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硏究를 爲하여 몇 가지 問題를 提議할 수 있다. 첫째, 道德性發達水準과 創意性이 높은 正的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原因이 무엇인가 밝히는 硏究가 必要하며, 道德性發達에 영향을 주는 要因을 더욱 탐색하고 그 要因들의 相對的 重要性을 밝힐 必要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道德性發澾水準을 보다 타당성있게, 집단적으로 測定할 수 있는 測定道具開發에 對한 硏究가 시급하다. 둘째, 앞으로의 道德敎育은 道德問題事態에 對한 學生들의 創意性을 啓發하는 方向으로 나가야 하며, 그러기 爲해서는 보다 具體的인 敎育方法에 對한 硏究가 교과과정과 관련하여 장차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