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幼稚園 敎育課程에 關한 硏究

Title
幼稚園 敎育課程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l Preschool Curriculum
Authors
金學英.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유치원교육과정PreschoolCurriculum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iable purpose of education, contents of education, and method of education at the preschool level. This study accepts as the theorerical core, the Bruner's famous dictum that "any subject can be taught effectively in some intellectually. Nonest form to any child at any stage of development." The study is organized along the following components : 1. I investigated the idea of John Dewey, Froebel, Montessori, who influenced the preschool curriculum in general. 2. I explor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iaget's theory of intellectural development, and Bruner's Process of Education. 3. I analysed the preschool curriculum esta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 1969 and a sample of four kindegarten curriculum presently used in term. of background, Units, Purpose of Units, daily programs.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points are made : First ; The purpose of preschool education as professed in the MOE curriculum is : To help the children grow into a capable member of Korean nation, living a happy life with healthy body and sound mind. The curriculum is organized along 5 areas of Health, Social studies, Science, language, and Art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life situations. As the teaching method, spontaneous thinking and discovery is emphasized. Second ; The preschool curriculum is largely based on Dewey's idea of education, in that it caters for the interests and needs of children and their adjustments to social life. In the content and method, the ideas of Froebel and Montessori is also evident in that they consist of achivities, and work. Therefore, it can be social that the curriculum i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Dewey, Froebel and Montessori. Third ; The units of preschool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to child's life. They are organized along four seasons, monthly events, and community settings. Fourth ; In the daily program the "play periods" are interwoven. The conversation hours are planned for the talk about what the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lay period. But in reality, since the children are usually in capable of explaining their experiences teachers generally "indoctrinate" the knowledge items to be memoriz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future of preschool education : 1. Keeping the Dewey's idea of "life-education," the preschool curriculum needs to be oriented more toward the Bruner's "structure of knowledge" concept. 2. The content of preschool education needs to comprise more general experiences for such cognitive skills, as classification, seriation, reality testing, space, number etc. in order to stabilize the children's cognitive structure. 3. It is urgently needed to prepare the learning materials for such general experiences. 4. Further studies need to be made to systematize the preschool curriculum along the line outlined in this study.;本 硏究는 人間初期敎育을 擔當하는 幼稚園敎育이 어린이의 成長·發達에 바람직한 效果를 주기 위하여, 어떠한 敎育目標, 敎育內容, 敎育方法이 보다 最善의 것 인가를 探索하기 위해서 試圖되었다. 本 硏究를 이끈 核心理論은 브루너의 "그 發達段階에 알맞은 知的 표현으로, 具體的인 資料를 使用하여 가르친다면 어떤 어린이에게도 가르칠 수 있다"는 주장이다. 本 硏究에서 硏究하고자 하는 問題는 具體的으로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유치원 敎育課程에 影響을 주고 있는 사람으로 프뢰벨, 몬테소리, 듀이의 敎育思想을 考察한다. 2. 새로윤 敎育課程에 動向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아제의 精神發達理論과 브루너의 「敎育의 過程」을 소개하였다. 3. 우리나라 유치원 敎育課程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교부제정 유치원 敎育課程을 分析하고, 유치원 교사들이 參考로 하기 위하여 출판된 유치원 敎育課程中 4가지를 選定하여 각각의 理論的背景, 單元, 單元目標 하루프로그램, 談話內容을 分析하였다. 이 硏究結果로 다음과 같은 점들이 確認되었다. 첫째, 우리나라 문교부제정 유치원 敎育課程은 "건강한 身體와 健全한 精神으로 幸福하게 生活할 수 있도록 하여 有能한 韓國國民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目的을 두고 있으며, 敎育課程 組織에 있어서는 生活을 중심으로 한 綜合的인 것으로 健康, 社會, 自然, 言語, 藝能等 5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있고, 이를 指導함에 있어서는 스스로 생각하고 發見해 내므로서 사물을 客觀的으로 判斷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를 위해 출판된 유치원 敎育課程은 어린이 興味와 要求를 中心으로 社會生活에 適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 듀이의 敎育思想을 밑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敎育의 過程에 있어서는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理論인 活動, 놀이, 께임, 작업등을 수단으로 하고 있어, 우리니라의 유치원 敎育課程은 듀이, 프뢰벨, 몬테소리의 敎育思想의 현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치원 敎育課程의 單元은 어린이의 生活과 密接하게 關聯 되어있는 4계절의 特徵, 달마다의 행사, 우리의 이웃에 대한 單元들로 構成되고 있다. 넷째, 유치원 敎育課程에서는 자유놀이시간과 담화시간이 相互 關聯되어, 자유놀이를 통하여 어린이들의 直接 經驗한 것을 그 날의 單元에 따라 연관시켜 보는 시간으로 담화시간을 定하고 있으나, 실제의 담화시간은 어른들이 알고 있는 知識을 아직 어리기 때문에 모르는 어린이에게 어른나름 대로의 가르침을 통하여 注入式으로 敎育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以上의 硏究結果 앞으로 우리나라 유치원 敎育課程은 1) 현재의 듀이敎育思想인 生活中心의 敎育을 강조함과 더불어 브루너의 知識의 構造를 통하여 어린이의 思考過程을 중요시하는 構造中心 또는 學問中心의 敎育課程으로 그 方向이 轉換될 必要가 있으며 2) 유치원 敎育內容은 一般的인 經驗, 즉 分類, 關係, 實在, 因果率, 空間, 數等 어린이의 精神構造를 연습할 수 있는 것으로 장차 어떤 事態에서도 一般的으로 適用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며, 3) 그러므로 유치원은 항상 一般的인 經驗을 할 수 있는 具體的인 資料를 準備해 주어야 하고, 4) 유치원 敎師는 어린이를 가르칠때 知識의 構造내지 相互關聯性을 강조함으로서 이 단계 어린이의 특징인 直觀的인 思考를 促進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며, 5) 앞으로 유치원 어린이에게 經驗시킬 수 있는 構造를 밝혀 體系化하고 그 體系에 맞는 學習內容을 組織하는 일에 대한 硏究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