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4 Download: 0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의 사회 인지 기능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Title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의 사회 인지 기능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Authors
강진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의 질적 결함은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데 가장 큰 장해 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이러한 결함들을 사회 인지적 차원인 마음이론(theory of mind) 결함으로 이해하고자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사회 인지란 자신과 다른 사람을 인식하고 자신과 다른 사람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회를 이해하는 것으로 사람과 사람을 둘러싼 일들에 대한 지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인지 능력이 일반인에게는 자연스럽게 발달하지만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에게는 아동기로부터 특정한 결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따라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에게 사회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음악치료의 중재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 10명을 통제집단 5명과 실험집단 5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 5명에게 총 12회기에 걸친 음악치료를 실시하였으며, 각 치료 회기는 40분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은 모두 서울시에 있는 M 그룹 홈(자폐성 발달장애 전문 기관)에서 생활하는 20세에서 35세의 성인 자폐성 발달인 들이며, 모두 아동기 때에 전문의료기관으로부터 자폐성 장애를 진단 받은 바 있다. 음악치료의 실시는 M 그룹 홈의 교실에서 실시되었다. 음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사회성숙도 검사, 마음 일기 능력-ToM과제를 실험 전후에 실시하여 그 검사결과를 Nonparametric 검증 중에서 Mann-Whitney 검증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인지기능의 변화를 발전하기 위하여 음악의 크기와 빠르기를 회기별로 분석하여 질적 보고하였으며, 그러한 발전이 마음 읽기 과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각 회기마다 각 사례별 음악적 반응의 변화를 통하여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실헙자와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사회인지 기능 발전의 변화를 질적 보고하였다.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를 위한 음악치료 중재 효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감소된 자폐증 평정척도의 수치를 보였다. 둘째,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회 성숙도 검사영역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가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의 사회인지 기능의 발전에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그룹 안에서의 상호작용에 향상을 보였으며, 음악적 표현능력과 마음 읽기 수행과제에서도 전반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가 사회적 상호작용 발전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까지 연구 발표되지 않은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에게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도입되어 사회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 그러한 변화가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음악치료 중재 프로그램은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과 치료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을 음악치료 적용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는 접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s an important method to help improve the ability of social recognition for adults with autism. In this study ten underdeveloped adults with autism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s: the ten were divied into two groups - the controlled and the experiment group-each of 5 persons. Music therapy was giver to the experiment group at 12 times for each 40 minutes. CARS, the Korean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and ToM-test were carried out for both the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Then it was verified by the Mann-Whitney method. The study not only analyzed the volume and the tempo of the musical reaction at every session, but also observed how the musical effects reacted the proboem of reading min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group giver to e music therapy showed less amount of autism reaction than the controlled group. Secon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increasing tendency of social maturity than the controlled group. This result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mutual connection of the group. Thir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not only the better mutual reaction than the other group. but also the bette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musically and to read the minds. This results mean the music therapy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the mutual reaction in the society. Therefore, the music therapy proved to be a very helpful treatment to improve the ability to recognize social reaction of the adults with aut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