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6 Download: 0

1870년대 독일 문화투쟁에 대한 연구

Title
1870년대 독일 문화투쟁에 대한 연구
Authors
이주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view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Kulturkampf with relation to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of the German society. the Kulturkampf is a historical event which was enforced in 1870s, especially actively in Prussia. The German Empire was established by Prussia in 1871. But because Austria was not included in the unification, the German Catholic group fell to a minority in the German State. The German nationalists and liberalists wanted to realize their ideologies through the new Empire and considered the traditional Catholic legacy or culture in German society as products of old age which would be serious obstacles against the unification of German society. After the German Unification, the Catholic Centre Party had a political power to a considerable extent. Bismarck worried that the Centre Party could concentrate the opposition group against the German Empire. In this regard, he concluded that repression policies to the Catholic Church were necessary in order to weaken the political power of the Centre Party. In 1871, Bismarck planned and enforced the Kulturkampf, the repression policies against German Catholics in all social areas. To acquire social supports to the policies, he intended to politically use German Protestants' desire for the social and cultural unification. Because the liberalists believed that Bismarck could realize the liberalism in the new Empire, they united actively their efforts for the Kulturkampf. But Bismarck planed just to take advantage of National Liberals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weakening the Centre Party's power. This difference between their intentions to the Kulturkampf became more prominent as Bismarck's policies against German Catholics changed to be moderate. Through the Kulturkampf, Bismarck planned to reorganize the relation of function and responsibility between the Church and State in all social areas. Besides, he wanted to control the Catholic Church's core part by enforcing several repressive laws so as to retrain the Catholic Church's traditional rights. But in spite of a series of strong legal system, the repression of Catholic power could not continue coherently. That resulted from pre-modernity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financial problems. In addition, the German Empire faced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Catholic repression policies, because the Centre Party's political power grew steadily and the government confronted continuous resistance by Catholic citizens. In such situations, the Great Depression began in 1873. Bismarck pushed the expansion of indirect tax and the introduction of trade protectionism,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mpire's finance and maintaining its economic base. As a result, he revealed opposite attitude against the liberalists who had been his political partners during the former times. After all, Bismarck attracted the German Conservative Party and the Centre Party in place of National Liberals into his supportive group. And by making use of the German middle class who feared a possibility of revolution, he could pass the Anti-Socialist Law of 1878 and the protective tariff of 1879. Because Bismarck wanted to maintain the cooperative relation with the Centre Party, he intended to escap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the Kulturkampf. As a result, the repression of Catholic power was ended actually in 1879. During the period of the Kulturkampf, Bismarck achieved his political purpose. He restrained Catholic group by using National Liberals, and reinforced th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State to establish foundations of the unified modern State. On the other hand, German Catholics became a more united community and concentrated to be an influential political group with the Centre Party. But they had to transfer the substantial part of their traditional authorities to the State. In addition, the Kulturkampf made the conflicts and differences between German Catholics and Protestants become more deteriorated. In this regard, the social and cultural unification could not be achieved. Eventually, in aspects of the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State, the Kulturkampf provided an opportunity to enable the German Empire to establish foundations of the modern State. But it can be said that the Kulturkampf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unification process of the German society and culture involved in complicated racial and religious matters. ;본 논문의 목적은 1870년대 독일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문화투쟁의 성격과 의미를, 당시 독일 사회의 문화, 정치, 경제 등 여러 상황과 관련하여 평가해 보는 데 있다. 1871년 프로이센에 의하여 오스트리아가 배제된 통일제국이 탄생하자, 독일 가톨릭 세력은 제국 내에서 소수집단으로 전락하였다. 독일 민족주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은 통일제국을 통하여 자신들의 염원을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독일 내의 가톨릭적 요소들을 독일사회의 통합에 방해가 되는 구시대적 산물로 치부하였다. 독일 통일 이후 중앙당의 정치세력이 커지자 비스마르크는 제국의 반대세력들이 중앙당을 중심으로 결집할 것을 우려하였으며, 반대 세력인 중앙당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지지기반인 가톨릭교회에 대한 억압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당시 프로테스탄트를 중심으로 한 독일 국민들의 사회문화적 통일에 대한 염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여, 사회 각 분야에 걸쳐 가톨릭을 차별하는 문화투쟁을 1871년부터 전개하였다. 자유주의자들은 비스마르크가 자유주의 사상을 실현시켜 줄 것으로 믿고 문화투쟁에 적극 동조한 반면, 비스마르크는 중앙당의 세력 약화를 위한 정치적인 목적으로 국민자유당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문화투쟁의 의도에 대한 이들간의 차이는, 이후 가톨릭에 대한 비스마르크의 정책이 온건하게 변화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비스마르크는 문화투쟁을 통하여 사회 전반에서 교회와 국가간의 역할과 책임 관계를 명확하게 재정립하는 한편, 여러 억압적 법률을 통하여 가톨릭교회의 중추적 부문까지도 제어하여 교회의 전통적인 기득권을 강력하게 제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련의 강력한 법률 체계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제도상의 전근대성과 재정적 한계점 등으로 말미암아, 가톨릭 세력을 억제하기 위한 문화투쟁은 일관성 있게 지속되지 못하였다. 또한 정치적으로 중앙당의 세력이 꾸준히 확장되고 사회적으로도 가톨릭 시민들의 계속되는 저항에 직면하게 됨에 따라, 독일 제국은 전면적인 가톨릭 억압정책을 지속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1873년 대불황이 시작되자, 비스마르크는 제국의 재정 개선과 경제적 기반 유지를 위하여 간접세의 확대와 보호무역주의의 도입을 추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그동안 정치적인 협력자였던 자유주의자들과 대립하게 되었다. 결국 비스마르크는 국민자유당을 대신하여 독일 보수당과 중앙당을 자신의 지지 세력으로 끌어들이는 한편 사회주의 혁명을 두려워하던 독일시민계급을 이용함으로써, 사회주의 탄압법(1878년)과 보호관세 법안(1879년)을 통과시킬 수 있었다. 비스마르크는 중앙당과의 협조적 관계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문화투쟁의 책임에서 벗어나고자 하였으며, 결국 문화투쟁은 1879년에 이르러 사실상 종결되었다. 문화투쟁의 기간 동안 비스마르크는 국민자유당을 이용하여 가톨릭 세력을 견제하고자 한 자신의 정치적 의도를 달성하였으며, 독일 사회에서 국가의 역할과 권한을 제고시켜 통일 근대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가톨릭측은 더욱 단합된 공동체를 구성하여 독일 제국 내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세력으로 결집하였으나, 교회의 전통적인 권한 가운데 상당 부분을 국가에게 넘겨주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억압정책으로 인하여 이후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간의 갈등과 불화가 더욱 악화되었는바, 비스마르크가 문화투쟁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사회·문화적 통합은 달성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투쟁은 국가 제도적 측면에서 독일제국이 근대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는 계기를 마련토록 하였으나, 민족·종교 문제가 얽힌 독일 사회, 문화적 통합 과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