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Documentary寫眞의 發展過程과 韓國의 記錄寫眞
- Title
- Documentary寫眞의 發展過程과 韓國의 記錄寫眞
- Authors
- 金慶愛
- Issue Date
- 1976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Keywords
- Documentary; 다큐멘터리사진; 사진; 기록사진; 신문방송학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사진은 발명된 이래로 끊임없이 인간의 일상생활과 활동을 기록하는 도구로서 그 역할을 해왔다.
이 논문의 목적은 현실세계를 기록할 뿐 아니라, 가장 보편적인 언어로서 현실세계를 해석하고 논평을 가하는 Documentary 사진을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발달과정을 통해서 그 시대와 국가에서의 Documentary 사진의 역할과 그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토대위에서 한국의 기록사진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에서의 Documentary 사진의 문제점을 알아본다는 것이다.
Documentary 사진이란 작가가 확고한 입장을 가지고 현실세계에 대해 해석을 가하고 진실을 기록하여 전달하므로서 수용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현대적 의미의 Documentary는 1930年代 美國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그 以前의 "충실한 목격자"로서 현실의 사건과 사물을 기록했던 사진도 소박한 의미의 Documentary 사진으로 현대의 Documentary 발생을 위한 기초로 볼 수 있다.
Daguerre이 1839年 Daguerreotype를 발명한 직후부터 유럽의 많은 사진가들은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를 여행하면서 풍물, 인물, 건축등과 알프스, 히말라야등의 산악풍경을 촬영했다.
사진술이 발달함에따라 화재, 건축작업현황을 촬영했고 전쟁이 발발하자 전쟁의 실상을 촬영했다.
영국의 Roger Fenton은 Crimia전쟁을, 미국의 Mthew Brady는 남북전쟁을 기록했고 그후 많은 사진가들이 1차대전과 2차대전, 한국전쟁등을 기록하여 전쟁의 참상을 전했다.
한편 Thomeon, Atget등의 Documentary사진가들은 자신의 주위환경을 기록했으며 Louise Hine과 Jacob A. Riie 등은 자신들의 사회문제를 사진으로 고발하여 개혁케했다.
1930 年代 미국경제공황 中 농촌을 구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Farm Security Adiministration 은 농촌실정을 사진으로 기록하여 도시인들에게 농촌의 참상을 알려주므로서 여론을 환기시켜 농촌안정정책을 강력히 추진할 수 있었다.
1차대전이 끝난 후 Graphic Journalism이 크게 발달했다. 독일에서는 Ullstein 통신사를 중심으로 Reportage 사진이 발달했으며 Nazis 독일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온 독일의 사진가들에 의해 미국은 Life Look 등의 사진잡지가 크게 성장했다.
특히 Life 는 Marget Bourke-White, Eugene Smith, Alfred Eisenstaed, D.D.Duncan.Carl Mydane 등의 우수한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Photo Essay 형태의 Documentary 사진을 확립했다.
사회가 복잡화함에 따라 사진의 내용도 복잡하게 되고 表現이나 形式도 다양해셔 1950 年代의 Robert Frank, Diane Arbus 등의 젊은 Documentary 작가들은 Hine, Riis, F.S.A 의 작가 등과같이 사회개혁자로서 사회현실을 기록하기를 거부하고 극히 주관적인 카메라 눈으로 자기주장을 强烈하게 表現하려했다.
1960 年대의 Documentary 사진가들은 자신의 생활 속에서 기본적인 진실을 발견하여 인생의 내면을 나타내려하여 사진은 극히 개인적인 표현수단으로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젊은 사진가들에 의한 Documentary 는 하나의 새로운 흐름일 뿐으로 사진이 발명된 이래 Documentary 사진가의 대상이 되어왔던 여행, 산악, 사건, 전쟁, 주변풍물사진, 그리고 사회개혁자로서의 Documentary 사진은 고전적인 형태로 현재에도 다시금 평가될 뿐 아니라 여전히 현대의 사진가들에 의해서 계속 제작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초기에는 외국인 여행가, 선교사등에 의해 인물, 풍물사진이 기록되었고 그 이후에는 대부분 신문사진기자들에 의해서 8·15해방, 여순반란사건, 6·25 동란, 4·19혁명, 월남에서의 한국군의 전투상황등이 기록되어 발표되었다.
6·25사변 중에는 신문기자 이외에, 일반작가들도 총군하여 활약했으나 대부분의 일반작가들은 회화風의 살롱사진에만 열중하여 Documentary 사진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었다.
기성작가들의 作書 태도와는 달리 일간신문의 사진기자들은 보도사진전과 보도사진연감을 통해 그해의 중요사건을 정리하고 있고 몇몇 대학생 아마추어 그룹과 월간잡지 화보사진가들이 그들의 작품을 통해서 현실을 보고, 기록하고, 나아가 논평을 가하려 했다.
예부터, 現實을 描寫하고 현실을 通해서 그 속에 숨어있는 貞實을 描寫하는 것이 作家들이 추구해온 작업이라면, 한국작가들도 현실세계의 진실을 기록하여 전할 수 있는 Documentary 사진의 가능성을 모색하기위해서는 정치적, 경제적, 법률적인 여건이 마련되어야하나 무엇보다도 작가들이 Documentary 사진에 대한 깊은 인식이 요청된다.;Photography has constantly served as an instrument to record all the daily lives and events of the human beings since it was invent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rvey historically about the documentary photography and to investigate the role and effect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 of it and in the light of this ground, to survey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present problems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Korea.
The documentary photography is served to interpret the real aspects of life vividly and to have an effect on the public variously.
Documentary photography, in a modern sense, was produced in America in 1930's however, the photography prior to 1930's which recorded the events of real things as a "faithful witness" can be considered as documentary photography in a simple sense that it gave the way to a modern documentary photography.
Shortly after 1839, when Diguerre invented the daguerreotype, many European photographers took various photos of distant, exotic, science placed, people and historic relics, travelling Middle East, Africa and Asia.
As the photography technique developed, they took some photo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fire breaking, working for construction, and even the actual stated of wars.
Roger Fenton of England photographed about the Crimian War, Methew Brady of America, about the Civil War and after that many photographers revealed the vivid states of wars by taking affairs of the First World War,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The documentary photographers like Thomson and Atget, took many pictures of the environments of themselves, Louise Hine and Jacob A. Riis brought their indictment against the society by picturing many social problems and situations.
The Farm Security Administration,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relieving the farm village during the 1930's economic crisis made the urban people exactly know the real states of the farm land and by doing so, the regulations to stabilize the farm economy strongly.
After the first World War, graphic Journalism developed in an amazing variety of forms.
Several German weekly illustrated papers and monthly magazines in the late 1920's took leading parts of developing the style of photo reportage.
Such picture magazines as Life and Liil, were at a great sensation by the photographers who fled from his own country because of the oppression of the Nazis.
Especially, Life established the documentary photography of essay type through the photographers such as Margaret Bourke-White, Eugene Smith, Alfred Eisenstaedt, D.D.Duncan and Carl Mydans.
As the society became more complicated, the objects of the photos naturally became complicated, accordingly both the expressions and forms of them became various.
Young documentary photographers of 1950's like Robert Frank and Diane Arbus tried to set out not to reform the world but merely to know and reflect it with their objective ideas, unlike Hine, Riis and F.S.A. photographers who tried to innovate the society.
The documentary photographers of the 1960's discovered the basic truth in the lives of their own. The young photographers turned their lenses away from the tumultuous world about them and attempted to document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events.
Such documentary photo of the young photographers, as one stream of the history of photography and as an renovator of the society now evaluated again as a classical form and are constantly made by modern photographers.
While, in Korea at first, the photographs and missionaries. After that, mainly by the photojournalists in newspaper field the pictures were shown about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evolt in Yosu and Sunchon area in 1948, the Korean War, April Students Revolution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soldiers in Vietnam.
During the Korean War, in addition to the photojournalists many other professional photographers participated in the war and took many photos, however, most of them were interested only in salon photos and were devoid of the knowledge about the documentary photographs.
Contrary to the professional photographers, those of the daily newspapers collected and arranged the important photos of every year through the news photographs and some amateur student photographers and those of monthly magazines tried to comment on the various groups of society by their works.
The purpose of the photographers is to pursue the truth in the reality by describing by real world. Therefore the Korean photographers should make na effort to develop the documentary photography which can record the true aspect of the real world.
In Korea, the proper conditions of political, economical and legitimate field, and first of all the right acknowledgement of the documentary photographs should be established among them, in order to pursu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documentary photography.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