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1 Download: 0

민화를 응용한 도자 조형 연구

Title
민화를 응용한 도자 조형 연구
Authors
윤경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olk painting is the visible expression of human life-style, philosophy, national emotion, and thoughts through formative senses of aesthetics. The things shared by contemporary folks of an ag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ents and forms appropriate to them. Since the time and personal names of the produced pictures are not specified, conducting a historical study on folk paintings is very difficult to manage. However, rich and witty imaginations can be easily appreciated in folk paintings, since they have their own free world in the arrangement of the pictures. Though there are few extent materials related to folk paintings, the author was determined to research into different aspects of the ceramics modeling that are formative and creative which meet the requests of this age. This study was aimed in investigating the theories of folk paintings while researching the academic concepts and types of each artist as well as the procedures of formation and changes of folk paintings.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as petroglyphs produced in the prehistoric age, folk painting had been a background of life and a symbol of Korean spirit throughout the New Stone age, Three Dynasty age, and Joseon Dynasty age. Especial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of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ir composition, line, and color; their characteristics may be in concert with the designing of this present age. The artistic works expressing the images of folk paintings were searched in pictures, ceramic arts, and the results were used as a basis of the formative modeling process. In the formation process, both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new structural present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folk paintings along with the background of new formation of spaces, freedom of lines, and splendid colors. Understanding the folk paintings as simple and plain pictures drawn according to practical desires of the public, the author tried to produce ceramic models equipped with both the beauty and functions. Production techniques employed in the process include the plate formation method for ceramic wall paintings, the coiling method for free shape production, loose infusion formative method using gyps frames for the repeat process, and the pressurized formation for method for the multiple production of same shapes. Super white clay was used as a base earth because of its excellent white color. Also, Sein earth which brings out iron flowers when plasticized in deoxidated flares and high-temperature-use brown ground-mass earth which brings out pottery colors were used in the production when plasticized in deoxidated flares. In decoration techniques, the make-up method is primarily employed in order to express the colors of folk paintings. The inlaying and engraving methods for the stress of lines, and the embossed carving method for the expression of three dimensions were also employed. To represent the tints of colorized ceramic earth, the 1:1 mixture of water and transparent oils was applied through spraying or brushing. The vessels used in everyday life were glazed by dipping. The ceramic wall paintings produced through the casting method were processed without oil glazing. The first plasticization was conducted in a ceramic-flame gas kiln of 1.5㎥ at the closing temperature of 900℃ for eight hours. The second plasticization was conducted either through nonoxidation flame in a ceramic-flame gas kilns of 1.5m3 and 0.5m3 at the temperature of 1,250℃ for 10 hours or through oxidation-flames in a ceramic-flame gas kiln of 1.5m3 at the temperature of 1,250℃ for 8 hours. The production of various ceramic models were made possible by combining the symbolism of various subjects of folk paintings with the aesthetic inclinations of the author. The composition of folk paintings give a foundation on which different space arrangements could be executed on the clay. The author believes that new ceramics modeling will emerge when the senses or thoughts of generous-minded artists are matched with a variety of colors of folk paintings. ;21세기는 정보통신과 교통의 발달로 세계화, 지역화의 양상이 뚜렷해지면서 문화의 동질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민족의 고유성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 관습, 언어나 사상 등은 시대 조류 변화에 관계없이 유지 발전되어 문화를 창조ㆍ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 시대의 국가 경쟁력은 새로운 기술 습득과 기술 개발의 노력 못지않게 생활 속에 살아 움직이는 우리 문화의 정신적 근원과 바탕을 찾아 적재적소에 접목 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근원을 우리의 전통문화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민화는 생활양식과 철학, 민족 정서의 사상을 미의식적 조형 감각을 통해 가시적으로 표출한 것이다. 한 시대의 생활 조건을 같이하는 민중에 의해서 공감하고 있던 사실들이 그들의 기호에 맞는 내용과 형식으로 그려진다. 회화사에서 연대와 작가의 이름을 쓰지 않는 민화는 미술사적 연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민화를 보면 풍부하면서도 재치가 넘치는 상상력을 느낄 수 있으며, 그 배치에 있어서 틀에 박히지 않은 자유로운 세계를 담고 있다. 또 다양한 색을 통해서 그들만의 조형세계를 보여준다. 민화의 미술사적 자료가 부족하지만 현존하고 있는 자료들을 통해 시대에 부응할 만한 조형성과 독창성을 지닌 도자 조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민화의 이론적 고찰을 하는데 있어서 연구한 학자별로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형성 및 변천 과정을 정리해 보았다. 민화는 선사시대의 암각화에 최초로 등장하여 삼국시대,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과 함께한 삶의 배경이자 정신의 상징이다. 특히 조선의 민화 속에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은 크게 구도, 선, 색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현대적인 디자인 감각에 잘 어울리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민화의 이미지를 표현한 현대적 작품들을 통해서 민화의 구도적 특징이나 선, 색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본 연구의 작품 조형과정에 참고하였다. 조형과정에서는 민화가 가지고 있는 공간구성의 탈형식화, 선의 자유로움, 화려한 색채를 바탕으로 민화의 사실적 표현과 새로운 구성적 표현을 함께 시도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제작 방법으로는 도자 벽화를 위한 판 성형기법과 자유로운 형태를 만들기 위한 코일링기법, 반복 제작을 위한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기법, 동일한 형태를 만들기 위한 가압성형방법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백색도가 뛰어난 슈퍼 화이트 슬립을 사용하였고 환원염 소성시 철분 꽃이 피는 세인토, 환원염 소성시 옹기색을 보여주는 고온용 갈색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다. 장식 기법에 있어서는 민화의 색채 표현을 위한 색화장토로 분장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선의 강조를 위한 상감기법과 음각 기법, 입체적 표현을 위한 부조기법을 사용하였다. 유약은 색화장토의 발색을 위해 투명유와 물을 1:1로 혼합하여 스프레이로 분무 시유하거나 붓질 시유하였다. 실생활에 쓰이는 용기는 담금 시유하였다. 캐스팅 기법의 도자 벽화는 무유 처리하였다.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마침온도 900℃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을 하였다. 2차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 가마로 마침온도 1250℃로 8시간 산화염 소성을 하고 1.5㎥ 도염식 가스 가마와 0.5㎥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로 10시간 2차 환원염 소성하였다. 민화가 가지고 있는 여러 화제들의 상징성은 연구자의 미적 심성과 결합하여 다양한 도자 조형물 제작을 가능케 하였다. 민화의 구도는 점토 안에서의 다양한 공간 구성의 활용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시점의 다원화는 대상물의 특징을 새롭게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역원근법적 표현은 획일화되지 않는 자유로운 사고를 갖게 한다. 또 동시적 표현과 사물의 상호 비례 관계 무시는 작가의 뚜렷한 개성을 보여줄 수 있다. 민화의 선을 통해 보여줄 수 있는 것은 대상에 대한 너그러운 작가의 감각이나 마음상태이다. 마치 자연 속에 존재하는 물체처럼 너그럽고 둥글둥글하며 힘이 넘친 표현을 가능케 한다 민화의 화려한 오색(赤, 靑, 黃, 黑, 白)을 위주로 색의 다채로운 변화는 도자 조형물의 색상표현에 있어서 다양한 빛깔을 응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