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여성의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분야 소기업 창업과 기업활동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의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분야 소기업 창업과 기업활동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정화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기술의 확산과 지식기반경제로의 변화 과정에서 정보기술이 여성을 경제적으로 세력화시키는데 큰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망은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분석이라기보다는 정보기술의 특성만을 가지고 여성의 상황이 나아지리라는 낙관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창업을 하고 기업활동을 함으로써 경제적 지위향상을 도모하고 있는 여성 기업인들의 경험을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동기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정보기술에 관련된 소기업을 창업하고 운영하는 여성기업 소유주들의 창업동기와 창업 자원 확보 과정을 살펴본 후, 창업동기와 여성들이 가진 자원을 기준으로 하여 여성기업의 생존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정보기술 관련 분야에서 소기업 창업을 한 여성들은 어떤 창업동기를 가지고 창업을 하며 그들의 창업동기는 성별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다음에 창업자원 자체가 성별화 되어 있는 상황 속에서 여성들은 창업에 필요한 인적, 재정적 자원을 어떻게 획득하며, 그들이 확보한 창업자원은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를 보았다. 특히 이들이 창업자원으로 사용한 정보기술은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업동기와 획득한 창업자원이 이후 여성 기업의 생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정보기술 관련 분야 여성 기업 생존력의 한계와 가능성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위해서 선정한 연구대상은 인터넷 산업 분야에서 소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여성기업주들이다. 이들의 기업경영활동의 경험을 보기 위하여 심층면접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차별적인 노동시장에서 자신의 주변화된 지위를 극복하고 경력을 계속해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창업을 선택했다. 이들은 창업의 일차적인 동기로 경제적 필요성보다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일을 하고 싶었거나, 육아 등의 가사책임으로 인해 집에서 일을 할 수 있는 소호창업이 자신의 상황에 적합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들이 경제적 필요성을 제시하지 않은 이유는 경제적 필요성이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여성들에게는 자신이 원하는 일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 자체가 돈을 버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들은 기존의 노동시장이 여성인 자신이 일을 하기에 얼마나 불리한지를 경험했고 잘 알고 있었다. 직무배치, 승진, 임금 차별의 문제와 출산 및 육아에 여지를 주지 않는 유연성 없는 풀타임제의 노동시간, 그리고 모성보호와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여성에게 가정 내의 모든 책임을 맡기는 가부장적인 인식구조 등 이 모든 상황은 기혼 여성이든 미혼 여성이든 원하는 만큼 일을 할 수 없게 만들었다. 따라서 여성들에게 창업은 자신의 경력을 계속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필요 못지않게 혹은 그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창업동기를 가진 여성들은 사업에 필요한 인적, 재정적 자원을 획득하기 위하여 친밀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비용절감전략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정보기술 사용과 창업보육센터 이용은 비용절감 전략의 측면에서나 정보 획득 네트워크 형성 등에 유리한 점이 되었다. 둘째, 발달된 정보기술로 인해 여성들은 예전보다 창업에 좀더 쉽게 도전을 할 수 있었다. 경제 체제의 변화로 인해 새로운 시장이 많이 출현했으며 틈새시장을 이용한 창업시장이 열렸다. 새로운 시장을 찾은 여성들은 자신이 확보한 정보기술력과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서 창업을 할 수 있었다. 정보기술을 이용한 창업은 절차가 좀더 간편해졌고 비용도 적게 들일 수 있다는 점은 창업자금이 적은 여성들에게 유리한 지점이 되었다. 원한다면 집에서도 창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창업의 가능성이 예전보다 더 넓어졌다. 그래서 좀더 많은 여성들이 전통적인 산업분야에서 벗어나 새로운 창업 분야에 도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것이지 이것만으로 창업의 성공과 기업을 유지 발전시킨다고 할 수는 없다. 셋째, 창업주가 어떤 창업목표와 창업자원을 가지고 있느냐는 여성기업의 생존력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기업활동을 중단한 여성들은 자신의 경력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에서 창업을 준비하고 기업활동을 했다기보다는 육아나 가사책임을 함께 하면서 사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 하나만 보고 사업을 시작했기 때문에 이중노동으로 힘들거나 육아 등 가사 책임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되면 기업활동을 그만두었다. 또한 정보기술력이 낮고 시장진입이 용이한 사업분야를 선택했는데, 그러한 분야는 시장 성장에 한계가 있거나 과열 경쟁되기 쉬워 살아남기 더 어려웠다. 또한 집에서 사업을 하게 됨으로써 주변에서 사업이 아니라 단순한 부업으로 인식을 하게 되었고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의 일에 대한 존중감을 떨어뜨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재택 사업의 특성상 집에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기도 힘들며, 정부의 지원 정책에서도 소외되었다. 또한 여성 소호 사업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부족과 여성사업자에 대한 낮은 신뢰도로 인하여 재정적 자원의 확보도 어려웠다. 이러한 창업목표의 특성과 자원동원력의 한계로 인하여 여성들은 기업활동 중단을 선택했다. 넷째, 기업활동을 계속 유지 성장시키고 있는 여성들은 자신의 일에 대한 강한 비전을 가지고 창업을 준비, 계획했다. 창업을 하기 전에 사업에 필요한 기술력을 갖추기 위한 준비기간을 가졌으며, 친인척 등의 사적인 네트워크를 적절히 활용하고 협조를 받았다. 성차별적인 대출관행으로 인해 금융기관을 이용하기 어려웠던 여성들은 다양한 비용절감 전략을 이용했다. 비용절감 전략 중 하나였던 창업보육센터는 기업활동에 필요한 정보와 정부의 지원자금을 얻는데도 유리했을 뿐 아니라, 재택 사업과 비슷한 비용으로 집 밖에서 창업을 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육아와 집안일에서 벗어나 사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고,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여성들의 일차적인 창업동기가 일을 계속함으로써 사회적인 지위를 얻고 성취감을 느끼고 싶다는 점이었던 만큼 감정적 지지는 다른 자원 못지않게 중요했다. 주위 사람들에게 기업활동을 하는 여성으로 인정을 받는 것은 여성들에게 굉장한 성취감과 자존감을 줄 수 있으며, 창업을 성공시키고 기업활동을 지속하는데 중요한 자원이 된다. 사업가로서의 자부심과 자기 사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기업의 생존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기업의 생존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여성들에게 확고한 직업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성별감수성 훈련과 직업의식향상교육이 필요하다. 기업경영 분야는 다른 분야보다 더 여성이 소수인 분야이며, 여성기업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더 고양시킬 필요가 있다. 여성기업인이기 때문에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성취동기를 개발시키고 직업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이 정보기술 분야에서 창업에 성공하고 기업을 성장시켜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여성 정보기술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창업이든 노동력으로서든 일부 업종에 몰려있는 현 상황을 극복하고 좀더 다양한 분야에 여성들이 전문가로서 일을 하고, 훈련을 쌓은 여성들이 그 경험을 자원으로 삼아 창업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현재의 일회적인 창업세미나나 기술교육보다는 좀더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여성기술인 및 기업인을 육성시킬 수 있는 지원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의 성구분 없는 지원은 남녀간의 차이를 좁히기보다는 오히려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지적이 있다. 그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창업과정에 대한 지원, 경영 및 회계 관리, 영업, 마케팅, 법률상담, 자금 지원까지 전반적으로 지원을 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다양한 정보기술 분야에서 많은 여성기업인들이 나올 수 있도록 육성하는 것은 이제까지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지던 기술분야와 경영분야에서 여성의 참여를 늘려서 성고정관념을 깨고 여남평등하게 할 수 있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여성의 정보기술 기업활동은 남성중심적인 기술분야와 경제체제에 도전하여 두 분야에서의 성별분업과 권력관계에 도전하는 일이 될 것이다. ;The sprea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knowledge based economy, there existed a viewpoint that IT would be a great tool that would help women be empowered economically. However, such a viewpoint was mostly a positive observation that was made by simply accepting that IT's characteristics would improve women's situations, instead of an analysis based on actual cases. Thus this study starts off with a motive for the need of gender analyses of businesswomen's (with sustainable economic status) experiences that commenced IT-related enterprises and are active in the business.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motives of the women IT business owners and their process of attaining resources for founding the enterprise, and to analyze, based on their motives and resources, the business's survival. First, I researched the women who opened enterprises in the IT-related area; what their motives are for starting a business, and what meaning there is, gender-perspective. Then I researched how the women attain the resources (human, monetary) needed for opening their businesses in a situation where the resources are gender-specific, in other words, divided, and what characteristics the resources have. I focused especially on what characteristics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based on the resources they acquired. Lastly, I researched how the motives and the resources influence the survival of their entities, and the limitation and potential of the IT-related women-owned business's survival. For this research, the main research target is women business-owners who run small businesses in the Internet industry. To observe the experiences in their business management activities, one used 'in-depth interviewing' as a research method. Such were discovered through this research. First, women chose founding their own businesses to overcome their status in the sexually discriminating working market, and to continue and develop their careers. As the primary motive, they either wanted to work more autonomously and independently (instead of economic need), or thought that starting small-enterprises because of their housework responsibilities were suitable in exiting gender structure. The reason they didn't present 'economic need' as their main motive was not because 'economic need' wasn't important, but more so that it is meaningful to the women that they could work on whatever they like. They already have experienced how the existing labor market forces were unfair for women to work in. The problems of arrangement, promotions, unfair pay and inelastic fulltime work that don't support childbirth and raising children, and the problems of motherhood and childcare policies and turning responsibility of such tasks entirely to women (patriarch-based); all of these situations disabled married or non-married women from working as much as they want. Therefore starting their own businesses to maintain and develop their careers has more meaning than simply 'economic need'. The women with such business-starting motives used friendly networks and strategies of reducing cost to obtain human and monetary resources. In this process, using IT and business-starting centers became an advantage, in both aspects of reducing cost strategy or forming information obtaining networks. Second, it became easier for women to face the challenge of starting their own businesse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T. Because of the change in the economic system, many new markets appeared and new niche markets opened. Women who found new markets, with their IT and networks they obtained were able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The process of starting businesses using IT became more convenient and the possibility of reducing costs became an advantage to women who had less start-up funds. If they wanted, it was possible to start even in their homes, so the possibilities of starting businesses became broader. Therefore it is thought to have become a steppingstone for women to escape from traditional industries and to challenge themselves in new areas. However, this shows that the possibilities were presented; this alone cannot retain the success and moreover,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enterprise. Third, the goal and resources of the founder of the business became a deciding factor in influencing the survival of the businesswomen owned enterprises. The women who stopped working only saw the one advantage of the simultaneous possibility of running their business while caring for their children or fulfilling their housework responsibilities, and when thought the latter seemed more important or they found the simultaneous work strenuous, they simply stopped their businesses. They also chose business areas with low IT skills and relatively easier-to-penetrate-markets, but these areas have a limitation in their development, or tend to be overtly competitive so it was more difficult for them to survive. Also, running their businesses at home raised the understanding that the businesses were subsidiary, and this became a factor that lowered their deference for their work. Characteristically of the work-at-home-business, since one is held at home during work, it is more difficult to attain needed information and they were also neglected from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Also, the lack of social understanding of businesswomen and lack of trust, obtaining monetary support became difficult. From such characteristics of start-up goals and limitations of resources, many women chose to stop their business activities. Fourth, the women who maintained and developed their businesses had strong visions for their work and planned and scheduled the founding of their businesses. Before start-up, they had a preparing period to acquire the needed skills for the enterprise, and adequately used their personal networks while accepting support. Those who were unable to use banks because of their sexually discriminating loan policy, used many cost-reducing strategies. One of the strategies was using the start-up centers, which became an advantage for getting information and support funds from the government for the business, and offered a chance for them to be recognized socially and to start their businesses outdoors with similar costs of 'at-home enterprises' which allowed them to focus on the business (and away from the children and the household tasks). As much as women's primary start-up motive was obtaining social status and feeling accomplishment, emotional support was just as important. Being recognized as a businesswoman from people becomes an important resource in continuing their business and for them to feel accomplishment and pride at the same time. The pride and satisfaction as a business women increases the survivability of the business itself. Therefore, one can infer that there should be more supplementary ideas to increase the survivability of the women-owned businesses. First, there is a need for gender-sensitive training and work-awareness education that will plant the very idea of work-consciousness. Business management is an area where women are the minority and there is a need to raise their social awareness. To encourage them to overcome difficulties as businesswomen, there should be training to develop their achievement motives and to strengthen their work-consciousness. Second, for women to be successful in the IT area and to develop their businesse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level of women's IT education quality. We must help them overcome the current situation of women grouped in start-ups or human resources, encourage them to work in various areas as professionals and women with such training experience to consider them as resources and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Third, there needs a supporting system that can raise women technicians and business people with long-term visions, rather than one-time start-up seminars or technology sessions. There's criticism that non gender-divided support strengthens, not narr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n and women. To narrow the distance,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support that can support the overall training, start-up supports, business management and accounting, operating, marketing, law-related counseling, and monetary supports. Raising many businesswomen in the various IT area holds meaning in that the technology related areas and business areas are not considered men's areas anymore and would encourage all fairness between men and women, while breaking the fixed notion at the same time. Women's business activities in the IT area will be a challenge made to the male-dominated technology field and economic system, and also a challenge to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and power-relations in both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