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6 Download: 0

김혜선의 '미궁(迷宮)' for String Quartet 분석 연구

Title
김혜선의 '미궁(迷宮)' for String Quartet 분석 연구
Authors
김혜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 음악의 새로운 조류인 무조음악을 작곡하려는 노력은 여러 작곡가들을 통해 보 여진다. 조성의 탈피나 음열 조직에 대한 음재료의 활용은 모두 새로운 것을 추구하여 독립성을 지니기 원하는 작곡가들의 부단한 시도의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또한 20세기 음악은 새로운 음악 어법과 악기의 다양한 주법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기 악곡에서 두드러졌으며 현악기의 타악적 사용, bowing과 음색의 다양화 등 현악기의 많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0세기 음악사에서 대담하고 혁신적인 변화의 하나인 무조성은 제2비엔나 악파에 의해 체계화되고 발전되어 Arnord Schoenberg(1874-1951)에 의해 12음 음악(Twelve-tone Music)이 창안되었다. 이것은 많은 현대 작곡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어 20세기 무조 음악이 한층 더 발전되었다. 본 논문은 12음 기법으로 작곡된 본인의 "미궁(迷宮)" for String Quartet을 분석한 것이다. "미궁(迷宮)"은 12음 기법을 바탕으로 원형, 역행, 전위, 역행전위의 기본구 조를 사용하고, 여기에 대위법적 모방진행과 다양한 Dynamic 및 리듬패턴을 활용하여, 12음 음악의 기본적인 구조와 음렬의 활용 및 변형, 발전을 일견해보며 나아가 자유로 운 12음 활용, 음악적 소재와 다양한 표현방법 등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음악에서 새롭 고 다양한 시도들이 어떠한 음향적 효과와 구조적 색채감을 지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Many musicians have tried to make a composition of an atonal music, which has been a new tendency in the 20th century. The deviation of composition and usage of various sources of Serial Music could be a result from a composer's constant exertion to attempt a new trend and achieve the independency. In addition, they have made an effort of the creative syntax and the diverse execution. These efforts were prominent specially in the instrumental music. They exhibited the fresh possibilities in the strings such as the percussive technique on the strings, the bowing, and the different timbre. The atonal music, one of the innovative and bold changes in the history of music in the 20th century, was developed and systematized by the 2nd Vienna school. Furthermore, it had inspired Arnorld Schoenberg(1874-1951) to originate the Twelve-tone Music. It has make an impressive influence upon the many modern musicians and provoked another advance in the 20th century atonal music itself. I analyzed my composition, "Migung(Labyrinth) for String Quartet", based upon the Twelve-tone Music. "Migung(Labyrinth)" focuses on sound effect, Based on Twelve-tone system, it uses contrapuntal canonic progressions, sensitive Dynamics and various rhythmic patterns as it emphasis interval relations on chords. I examined the basic structure, the usage of serial tones, the trans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Twelve-tone Music, and inquired into the liberal application of the Twelve tones, various musical sources and the artistic presentations. Finally, I tried to assay the acoustic effects and the structural coloring resulting from the aggressive trials in the Modern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