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어머니의 年齡, 敎育 및 子女 性構成이 性役割 區分態度와 男兒尊重態度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年齡, 敎育 및 子女 性構成이 性役割 區分態度와 男兒尊重態度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MOTHER'S AGE, EDUCATION AND CHILD SEX COMPOSTION ON THEIR SEX ROLE SEGREGATION AND SON PREFERENCE ATTITUDES
Authors
車珍姬.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어머니성역할남아존중태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의 目的은 質問紙를 使用한 調査方法에 의하여 (1)어머니의 年齡, 敎育水準, 그리고 子女性構成예 따라 어머니의 학령전과 국민학교 6학년 男兒 및 女兒에 對한 性役割區分理想態度가 어떻게 다른지, (2)어머니의 학령전과 국민학교 6학년 男兒 및 女兒에 對한 性役割區分理想態度를 보이는 役割領域은 어떤 것인지, 그리고 (3)어머니의 性役割區分理想態度와 어머니의 男兒尊重態度間의 함수관계는 어떤 型態를 이루는지에 關하여 究明하고자 한다. 本 硏究의 對象으로는 서울市에 居住하고 있으며 2名이상의 子女를 가진 120命의 婦人이었다. 對象者는 年齡(2)×敎育水準(2)×子女性 構咸(3)=12의 집단으로 나뉘어 졌으며 한 집단마다 10名씩 配定되어 조건에 해당되는 婦人을 任意標集하였다. 對象者 한·사람마다 從屬變因들인 7개의 尺度("학령전" 아동의 役割重要度, "학령전" 아동에 대한 性役割區分理想尺度, "국민학교 6학년" 아등의 役割重要度, " 6학년" 아동에 대한 性役割區分理想尺度, 男兒要求尺度, Thurstone型 男兒尊重尺度 및 Coombs 男兒尊重尺度)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本 硏究의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年齡, 敎育水準, 그리고 子女性構成이 그들의 性役割區分理想熊度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豫言1, 豫言2 및 豫言3으로 알아보았다. 豫言1 50代 어머니가 20代 어머니보다 性役割區分을 많이 할것이다. 豫言들과 일치된 結果를 얻었다. 즉 어머니의 性役割區分態度에는 世代差들 보여, 50代 어머니는 20代 어머니에 비해 "학령전" 아동이나 "국민학교 6학년" 아동에서 모두 性役割區分態度가 높았다. 豫言2 敎育水準이 낮은 어머니가 敎育水準이 높은 어머니보다 性役割區分理想態度가 높을 것이다. 敎育을 많이 받은 어머니가 敎育을 적게 받은 어머니에 比해 性役割區分態度에서 다르지 않음이 밝혀졌다. 즉 어머니의 敎育水準이 그의 子女性役割區分態度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豫言3 50代의 敎育水準이 낮은 어머니들이 性役割區分理想態度가 가장 높고, 20代 敎育水準이 높은 어머니들이 性役割區分理想態度가 가장 낮을 것인다. 20代 敎育水準이 낮은 어머니(M=18.37>와 50代의 敎育水準이 낮은 어머니(M=24.27)에는 큰 점수차가 보이나 이것은 단순히 年齡效果라고 볼 수 있다. 豫言4 子女를 混成(아들과 딸 모두)으로 가진 어머니가 子女를 全男(아들만), 全女(딸만)로 가진 어머니보다 性役割區分을 가장 많인 하며, 子女를 全女로 가진 어머니는 性役割區分이 겼가장 낮을 것이다. 豫言과는 정반대의 結果를 얻었다. 混成집단의 어머니가 아들, 딸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性役割區分을 가장 많이 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의외로 全男집단의 어머니들이 性役割區分을 가장 많이 하는 것을 블 수 있다(表9 참조). 全女집단의 어머니들의 性役割區分理想態度는 全男집단의 어머니보다는 적고, 混成집단보다는는 중간이었다(그림3 참조). 2. "학령전" 및 "국민학교 6학년"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의의있는 性役割區分態度를 보이는 行動領域에 관해 알아보았다. 全般的으로 어머니들은 남자아이가 장래에 대한 야심 갖기, 친구사이에서 리더되기, 결심한 일 달성하기, 제사참여, 그리고 모험심과 같은 행동에 대해서 바람직하다고 보고있다. 반면에 여자아이가 얌전함, 꼼꼼함, 자기용모에 관심을 갖는 것, 수줍음, 단정한 옷차림, 어린 동생 돌보기, 자기방 치우기 그리고 부모에게 순종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본다. 그러나 모든 어머니가 다 그렇게 보는 것은 아니다. 자기방 치우기와 같은 행동은 방치우는 일은 여자의 役割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나, 자기방을 자기가 치운다는 것은 독립심과 통할 수 있으므로 男子아이에게 바람직하다고 보는 어머니도 있다. 또한 여자아이가 장래 야심 갖기와 같은 行動은 50代 全男집단의 어머니들은 가장 반대를 보이나 20代 全女집단의 어머니들은 女子아이도 그와같은 態度를 갖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보고있다. 50代 어머니는 2O代 어머니에 비해 男子아이는 진취적이고 경쟁심이 있고, 자기주장적이어야 한다고 보는 반면에 女子아이는 순종적이고, 貞淑해야 한다는 傳統的연 性役割區分態度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부록 表26, 27참조). 3. 어머니의 性役割區分理想態度와 男兒尊重態度간의 關係를 알아보기 위하여 豫言5와 豫言6을 하였다. 豫言5 어머니의 性役割區分理想態度와 男兒要求 및 기타 다른 男兒尊重尺度간에 正的 相關關係가 있을 것이다. 이 豫言이 結果에서 어머니의 性役割區分理想態度와 男兒尊重態度와는 "학령젼" 아동을 대상으로 했을 경우 r=.28의 相關關係를 얻었으나 "국민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의의있는 結果를 얻지 못했타(表2l 참조). 豫言6 어머니의 性役割區分理想態度와 男兒要求, 男兒尊重尺度간에 正的 相關關係가 있을 것이다. 이 豫言의 結果는 함수관계가 y=1.2x+101.9인 직선적인 요소(一次趨勢)만 의의가 있었다 (그림 4 참조).;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ther's age, education, and child : sex composition on her sex-role segregation attitu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segregation attitude and son preference attitude. An incidental sample of 120 mothers was obtained in 12 groups formed by intersections of age (25 to 30 year-olds vs. 50 to 60 year-olds), education (colledge graduate or abone vs. under gunior high school), and sex composition of children (all-son, mixed, alldaughter). There were an equal number of 10 subjects in each group. Each subject was given a gest-ionnaire containing, among others, 2 scales of sex-role segregation, 3 scales of son preference, and 2 scales of role-importance. There was a segnificant effect of mother's age : the older mother showed a higher sex role segregation for both the children of preschool age and the 6th graders than the younger mothers. Mothers education level had no effect on mother's sex role segregation attitude whatsoever. A significant effect of children's sex composition showed that mothers with sons onl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ex role segregation attitude, while mothers with children of mixed sex composition showed the lowest level of sex role segregation attitude. Behaviors item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above observed effects were identified. There was an overal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ex role segregation attitude and their son preference attitude (r=.29) confirming and earlier finding. Son preference attitude was a function of sex role segregation attitude by the equation, y=1.2x+ 101.9.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