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7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3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0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348-
dc.description.abstract자연의 일부로 살아가는 인간은 자연의 조화롭고 오묘한 법칙 속에서 미를 발견하고, 체험한 미를 표현해 왔다. 인간은 아주 오래전부터 미의 소재나 원리를 자연에서 찾았고 자연을 통해서 표현해 왔으므로 인간에게 있어서 자연이 주는 파동은 고귀한 예술적 생명의 모체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자연을 표현하여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고자 했다. 본 연구자는 미적 대상인 광범위한 자연중에서 '나무'라는 소재를 택하여 개성적 조형관에 의해 새로운 형태를 표현하였다 시각적으로 비추어지는 자연을 조형화하여 자유로운 나무의 곡선과 여러가지 색감의 회화적 감각으로 자연의 이미지를 공감할 수 있는 형태를 추구하였다. 자연을 소재로 한 행위는 선사시대부터이겠지만,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자연을 탐구하면서 체험한 감정들이 예술이라는 형식으로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16, 17세기 에 이르러 풍경화의 영역이 성립되면서부터, 자연은 예술의 관심에 대상으로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인간이 창조하는 모든 예술의 근원이며 자연을 토대로 표현된 예술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거친 또 하나의 창조된 자연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자연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나무의 생태적 구조 및 특징을 고찰하였다. 나무의 뿌리, 줄기, 잎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 및 변형 그리고 다시 재구성하여 디자인하였다. 표현방법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안료로 나타낸 색감과 텍스츄어와 붓터치를 이용한 반점의 모양, 자유로운 선으로 나타낸 나무의 조형, 그리고 그 안에서 나타내 주는 생동감있는 동세로 회화적인 표현을 하였다. 나무 조형성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나무를 소재로한 기존 작품들의 사례를 고찰하기도 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 성형 방법은 코일링 및 판성형, 압축성형으로 다양하게 하였고, 표현 가능성과 스케일(scale)의 확대 그리고 소성시 안정성의 효과를 위해 소성후 여러 piece를 접합하여 하나의 조형물을 이루게 하였다. 표현 방법으로는 나무의 이미지를 부각시켜주기 위해 태토 자체에 여러 가지 안료(Black M700, Brown M130, Green M55, Blue M1350, Pink D-3000, Yellow M120)를 착색시킨 색점토와 텍스츄어로 회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해 주었다. 태토는 청자토를 중심으로 하여 태토 자체의 색깔과 색점토가 서로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시유는 각 작품 형태와 특징에따라 무유로 처리하거나 투명유를 얇게 분무시유하여 자연스러운 태토색을 나타내 주었다. 부분적으로 베이지 색유와 흑유의 담금시유로 변화를 주기도 하였다. 소성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0.5㎥ 가마에서 850℃까지 1차소성한 뒤 산화소성으로 마침온도는 1,250℃로 산화소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제작 과정을 통하여 조형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었고 회화적인 표현 방법으로 현대 물질 문명 사회의 환경 속에서 자연에 대한 친화감을 도모하고 자연의 상징성을 표현하는 뜻깊은 연구 과정이 되었다. 또한, 자연을 표현하기 위하여 소재로 택한 나무는 본 연구자의 내적 세계 표현을 위한 형태로 적절한 대상이었고, 무궁무진한 상상력을 표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나무를 회화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시도해 본 색점토를 이용한 표현 방법은 창조적인 조형 작업 연구에 큰 도움이 되었다.;Living life through a part of nature, man not only discovers beauty through the harmonious, profound principle of nature, but also expresses what he has experienced from it. From the past, man has sought the subject matter fundamental principles of beauty through nature. In fact, the wave of the natural panorama is the matrix of precious, artistic life to m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describe artistic value while depicting such human spirit. I have chosen the "tree" as the main subject within the wide range of nature in which aesthetic objects can be found limitlessly, in an attempt to express a new form of formativeness, based on an individual view of formativeness. And to pursue a form that is not limited by plasticizing the simple nature which is visually reflected, but approaching more substantial characteristics. Even though nature has been depicted from the prehistorical age, the historical changes and flow have been depicted in the form of arts, For example, landscape paintings have been creat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when nature stood out in relief as artistic concern and henceforth, nature has been the source of all art created by man. Thus, one can conclude that art that is expressed and based on nature, can be another artistic world created by man, which has passed the internal world of man. In the study, in order to depict natural images, the ecological structure and feature of trees were studied. With the root, stem, leaf of a tree being partly magnified, transformed, recomposed, designe, to various forms of beauty, and shade that can only be felt from the forms of the tree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Additionally, keeping in mind a need to study formativeness, some cases of the existing works involving trees as a subject matter were reviewed. In work production, various methods of modeling were utilized such as coiling, printing, and compressing modeling. For the extention of expressional potentia, scale, and effect of stability when shaping with several pieces crafted after shaping, a formative structure was created. As an expressional method, in order for the image of a tree to stand out in relief, a pictorial atmosphere was presented by the means of colored clay dyed by various pigments(Brown M130, Green M55, Blue M1350, Pink D-3000, Yellow M120, which were imported by Hyundai Chemicals). The material for the work centered on celaden green clay was harmonized with its own color and the colors of the clay dyed by pigments. Enameling was done or processed by enameling transparent color, which was thinly sprayed so that natural colors of clay could appear; changes were attempted by quenching with beige color (combination of felspar, limestone, silica, Kaolinite, zink) and black color (combination of felspar, silica, limestone, and manganese). Firing was done first in a kiln of 0.5㎥ with a temperature of 850℃ and then in 1250℃. Production procedures have contributed visual extension and promoted familiarity with natur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nature is losing no interest among people, and thereby it is deemed that the present study has been a meaningful process of study through which the symbolicity of nature has been depicted. Furthermore the tree, which was selected by this researcher to depict the internal world, has been an appropriate subject, and has provided an endless source of imagination. In conclusion, the expressional method of utilizing dyed clay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tree through a pictoral means has been extremely informative in the research of creative and formative works of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자연과 예술 = 4 B. 자연을 소재로한 회화의 양상 = 6 Ⅲ. 나무의 조형적 연구 = 11 A. 나무(樹木)의 특징 및 조형적 구조 = 11 B. 나무를 소재로 한 작품 경향 = 15 Ⅳ. 작품제작 및 해석 = 26 A. 작품제작 과정 = 26 B. 디자인 과정 및 작품해석 = 28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59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654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자 표현-
dc.subject나무-
dc.subject조형성-
dc.subject이미지-
dc.subject도예-
dc.title나무의 조형성을 통한 도자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RACH OF FORMATIVE CERAMIC EXPRESSION THROUGH TREES-
dc.format.pageviii, 63 p. : 삽도(일부채색).-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