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동양적 자연관에 의한 인간표현 연구

Title
동양적 자연관에 의한 인간표현 연구
Other Titles
Human expression in terms of the oriental view of nature
Authors
이유미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Keywords
동양자연관인간표현동양사상조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ature is the eternal object and subject which human being perceives. The perception of nature has been transformed differently by the region, culture and times respectively in the Orient and the West, and accordingly the form of man has been expressed various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expressing the form of human being who has the internal power of life in the light of oriental view of nature. The content of this rose·arch presented the theory on the nature and Ki(the life force) theoretically, and in the former the conception of the nature and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being and the universe are studied, and in the latter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fundamental life immanent in human being are researched. In the content and the method of expression, the original nature of man through the oriental view of nature and the express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it are searched, the analysis of works is made based up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tent and the way of expression with 7 pieces of works taken herewith.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together with the expression and analysis of works is the way of this study. As the objects of analysis, 7 pieces of works are shown. The internal power of life of the man comes from Ki which the universe including human being has in the organic nature, and makes human being and the nature connected. The man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nature, and it is approached whereby the essence of life of human being to be rooted in the mental freedom and nature with the attitude close to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living such a life. The content of expressions is the picture of human being harmonizing with each other together with the heaven and the earth based o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establishing the order of lives in the stream of nature, and through the mental freedom and imagination the picture has been searched The method of expression is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form of human as the internal power of life of man, and the works establish the internal time and space based on the imagination to compose the small world reflecting the oriental view of life, and the materials used paper, earth, wood was chosen intui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heaven, earth and human being. As for the arrangement of works, through the hanging way, especially the reverse hanging way, the meaning of gravity is reviewed. The result from visualizing the form of human by the oriental view of nature is the following. From the characteristic viewpoint of shape, the crouching pose of man takes the form of the egg brooding the life, and in this form of human the flowing image originated in Ki is expressed into the quality of the surface to give the feeling of power of life. The original and circular time and space by the concept for time and space i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is implied with showing the original look of nature and human sharing life as the reverse form of humans standing upright. A work made into the plural forms of human also expresses that the heaven, the earth and human are different, but they share the same origin. The works in this study contain the possibility of the space utilization and establishment by the open arrangement like this. Also in materials, by making use of paper, wood and terra cotta agreeable in expressing characteristics of heaven, earth and human symbolize. the essence of matter is approached and the visual state of the heaven, the earth and human is expressed. The clay is effective in expressing the details of life stream in Ki, and terra cotta is proper to express the power of life and stability which the earth holds. The lightness of paper material itself can give a visual effect to decrease the physical weight and volume of works, and the effect of enlargement of works in space as well as active utilization of space is accomplished by the expression of the heaven in visual state accordingly. In the expression on the subject that the heaven and the eart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uman, the consecutive visual enlargement has been accomplis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form characteristic quality which wood materials hold. This research is visualizing the eternal and internal power of life that the heaven, the earth and human being have into the form of man. It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for nature is just for human, and it comes from the oriental thought that the harmony of human and nature is to approach the nature of human. The result is that the internal life of human and the heaven and the earth are realized to be one, and human and nature have the same origin in the internal life.;자연은 인간에게 영원한 인식의 대상이며 주제이다. 자연에 대한 인식은 동양과 서양에서 지역, 문화,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르게 변모해 왔으며 이에 따른 인간의 모습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적 자연관에 의거하여 내재적 생명력을 지닌 인간 형상을 표현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에서 자연과 기에 관한 이론을 제시하였고, 자연에서는 자연의 개념과 인간과 천지만물의 본성에 관해서, 그리고 기에서는 하늘과 당 그리고 인간에 내재된 근원적 생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표현내용 및 방법에서는 동양적 자연관을 통한 인간의 본성과 그에 따른 표현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작품 분석에서는 표현된 작품 일곱 점을 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배경 및 표현 내용과 방범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동양의 자연관에 관한 문헌 조사와 작품표현 및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 대상의 작품으로는 테라코타 한 점, 나무 두 점, 종이 네 점으로 모두 일곱 점을 제시하였다. 인간의 내재적 생명력은, 유기체적인 자연 속에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만물이 지닌 기에 의한 것이며 인간과 자연을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인간은 자연의 순리에 따라 살아가며, 그런 삶의 모습 속에서 인간의 본성에 근접하려는, 자세로 작업에 임하여 정신의 자유로움과 자연 속에 내재된 인간의 생명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표현내용은 동양적 자연관을 토대로 하늘과 땅과 더불어 인간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자연의 흐름 속에서 삶의 질서를 같이하는 인간의 모습이다. 표현방법은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의 내재적 생명력을 인간의 형상으로 표현 하였으며, 작품들이 동양적 자연관을 반영하는 하나의 작은 세계를 이루도록 내재적 시간과 공간을 조성하여, 하늘·땅·인간의 상징적 특성에 따라 종이·흙· 나무의 재료를 직관적으로 선택하였으며, 작품의 배치에 있어서는 매다는 작업, 특히 거꾸로 매다는 작업을 통하여 중력 및 의미를 재고하였다. 동양적 자연관에 의한 인간의 모습을 가시적으로 표현함으로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형태적인 면에서 인간의 웅크린 자세는 생명을 품고 있는 알의 모습으로 형상화하였으며, 이런 인간의 형상 속에서 내재적 생명력을 느끼게 하기 위해 기의 유동적인 흐름의 이미지를 드러내기 위하여 표면 질감으로 처리를 하였다. 자연과 인간이 생명을 공유하는 본연의 모습을 거꾸로 직립한 인간의 형상으로 나타내어 동양적 자연관에서의 시간과 공간의 개념인 원형적(原形的)이며 순환적(循環的)인 시공간을 암시하였다. 또한 하나의 작품이 복수의 인간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늘과 땅과 인간이 서로 다르지만 그 근원을 같이한다는 것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들은 이처럼 그 배치의 개방성으로 인해 공간 활용의 적극성을 요하였다. 재료에 있어서도 하늘과 인간, 땅이 상징하는 표현특성에 따라 종이나 나무, 테라코타로 물질 본성에 접근하여 가시적인 상태의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을 표현했다. 기의 생명적 흐름을 동양화에서의 기운생동의 표현으로 나타내기에는 점토가 효과적이며, 테라코타는 땅이 지니는 생명력과 안정감을 표현하기에 적절하였다. 종이재료 자체의 가벼움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작품의 물리적 무게감이나 양괴감이 감소하는 효과를 줄 수 있었으며,이로 인해 가시적인 상태의 하늘을 표현하여 공간의 활용이 능동적이며 공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얻었다. 하늘과 땅이 인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주제의 표현에서는 나무재료가 지닌 형태상의 특징을 살려 수직적 방향으로 연속적인 시각확장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하늘과 땅과 인간이 지닌 무한한 내재적 생명력을 인간의 형상으로 가시화한 것이다. 이는 자연의 이해가 곧 인간의 이해이며, 인간과 자연의 조화는 인간 본성에의 접근이라는 동양적 사고에서 비롯되며, 그 결과 인간에 내재된 생명과 하늘과 땅이 하나라는 동질성을 깨닫고, 인간과 자연이 내재적 생명을 공통의 근원으로 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