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國民學校 衣生活 學習에 關한 硏究

Title
國民學校 衣生活 學習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partment of clothings in the elementary schools
Authors
李義淵.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의생활학습학교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국민학교는 의무적인 학교교육의 첫시작으로 중, 고등학교 교육과 서로 일관성있게 연결되어야 하므로 그 중요성은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학교 「실과」과목에 있는 의생활 학습내용의 분석및 학습실태 조사를 통하여 현행 국민학교 의생활 학습의 문제점을 파악하며, 중학교 「가정」과목에 있는 의생활 학습과외 연관을 봄으로서. 중학교 교과서에 연결시키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제시 하고저 함이다. 연구내용은 1945년 이후 국민학교 가정과 교육의 변천과정및 목표 지도내용에 관한 조사와, 국민학교 의생활 학습내용의 분석및 학습 실태조사와, 중학교 의생활 학습내용과의 연관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교과서의 내용분석과 설문지 조사이다. 교과서 내용분석은 첫째, 국민학교 「실과」과목중 의생활 학습 내용의 분량과 시간수에 관한 분석이며, 둘째 국민학교 의생활 학습내용과 학년목표를 연관시켜 분석한 것이며, 세째 국민학교와 중학교의 의생활 학습내용과 연관시켜 단원별 내용및 분량 용어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설문지 조사는. 국민학교 교사 200명과 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의 인적상황및 의생활 학습지도상태와 학생들의 의생활 학습 내용의 이용상태를 알아본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국민학교 「실과」에 있는 의생활 학습내용의 분량은 「실과」 중 가정과 영역에 속하는 내용분량의 25.3%로 평균분량인 25%에 가깝다. 1시간당 의생활 학습내용의 지도분량은 1.5페이지 정도며, 지도 시간수는 4, 5, 6학년 각각 10시간 정도였다. 2. 국민학교 의생활 학습내용은 학습목표를 달성할수 있도록 되어 있었으며, 몇가지 문제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4학년의 "나의 옷차림은 철에 어울리는가?"의 표내용은 6학년 과정을 배운 후에 적합한 내용이다. 둘째, 4학년의 바느질 학습에 바느질의 시작과 끝맺기의 내용이 빠져있다. 세째, 6학년의 "옷감이름, 섬유종류, 짜임새"에 대한 표는 중학교 3학년 과정을 배운 후에 적합한 내용이다. 네째, 6학년에 있는 "인조견"은 과거용어로 현재는 "레이온"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학성 섬유"는 잘못 표기된 것으로 "합성섬유"나 "인조섬유"로 표기되어야 한다. 3. 국민학교의 의생활 학습지도에 있어서 60%의 교사가 실습을 하고 있으며, 실습정도는 교과서 내용의 50%미만이었다. 실습지도를 하지 않는 이유는 학교의 시설부족과 실습시간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실생활에 도움을 주기위해. 남·여학생에게 똑같이 실습지도를 하고 있었으며, 남자교사도 본인이 학습지도를 하고 있었다. 4. 국민학교 교사들이 지적한 의생활 학습지도외 문제점은, 학생들이 준비를 제대로 못해오는 것과 교과서의 내용이 학생수준에 맞지 않고 시대에 뒤떨어졌다는것이며, 남자교사는 실습지도 능력의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5. 국민학교 학생들은 의생활 학습내용을 생활에서 이용하고 있으나, 푸새 다림질, 재봉틀사용은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걸레만들기와 다림질하기에 있어서는 남·여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의 이용도가 높았다. 특별히, 남학생도 의생활 실습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실습내용을 생활에서 이용하고 있었다. 6. 국민학교와 중학교 의생활 단원내용은 그 주제가 같으며, 진행순서가 같아서 국민하교 4학년과 중학교1학년, 국민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 국민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의 단원내용이 서로 연관되었다. 7. 국민학교 의생활 학습내용이 중학교 의생활 학습내용에 연결될 때에 문제되는 내용은 첫째, 국민학교 5학년의 "얼룩빼기" 내용이며, 이것은 중학교 1학년 내용보다 범위가 넓고 자세하다. 둘째, 국민학교 5학년의 의복수선 내용중 "얇아진곳 고치기"는 중학교 1학년의 내용과 방법과 수준에 있어서 같은것이었다.;As the Elementary school course is the begining of compulsory education, it must be connec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courses consistently, and we must attach importance to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nts of clothing part in elementary practical course and research of condition of study,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present study of clothing part in elementary schools, and through the method of grasping the connection with subject of Home economics used in middle school, and to show the problems in connecting it with middle school text book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the courses of changes, purposes and contents of teaching in elementary education of Home economics since 1945 and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clothing part of middle school wit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tudy contents of clothing part and research of situation of study.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contents of textbooks and Questionaire.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first, to analysis of the quantities of the contents and classes of clothing part in practical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to analysis of contents and purpose of each grade of clothing part in elementary schools, third, to analysis and contrast about the contents of units and pages and terms connected with the contents of clothing part in subjects of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s. Questio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to the 200 teachers and 350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and investigated the teachers' human traces and situation of teaching of clothing pare and situation of students' making use of the contents of clothing part.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 1. The pages of clothing part in elementary schools textbook are 25.3% of Home Economics and that is near the average. The pages of clothing part are 1.5 page per one hour. The time of to teach clothing part are 10 hour in 4, 5, 6 grade. 2. The contents of clothing part in elementary schools are to achieve the purpose of grade, but some problems are next : First, "Is my attire suitable for seasons in First, the contents of table "Is my attire suitable for the Seasons" in 4 grade course are fit after to study the 6 grade course. Second, the contents of sewing in 4 grade course are omitted the contents of to start and finish sewing. Third, the table of "Name of cloth, sort of fiber, and the make of cloth" is wuitable after to study the 3 grade course in middle school course. Forth, the term of "Injo Kun" in 6 grade course is old term and that is now used in "Rayon". And so, the term of "Chemical fiber" is not correct, and that is written "Synthetic fiber" or "Manmade fiber". 3. 60% of teachers were teached by lecture and practice in the direction of clothing practice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degree of practice was below 50%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The reasons why they don't direct the practice are because of the lack of institution and time for practice. They directed clothing practice same for both girls and boys, because of to help in daily life. The man teachers also directed clothing practice by themselves. 4. The problem of teaching the clothing part were; first, the student didn't to prepare the clothing practice, second, the contents of textbook was not suitable for the student level and out of times, third, man teachers said they didn't have ability to direct clothing practice. 5. Th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used the contents of clothing practice in daily life. To starch on the cloth, to remove spots, to handle sewing machine were less used for both girls and boys. Boys used less than girs, in making mop and ironing. Specially, boys also feel the necessities of the study about clothing and used it in daily life. 6. Total contents of units of clothing part,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course are same in the progress and in its subjects. The stages are connected each other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course. 7. There were some problems as the contents of clothing part in elementary school course were connected with those of in middle school course. First, the contents of "To remove Stains" in elementary schools course were more wide and detail than middle schools course. Second, the contents of "To repair thin cloth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course were same in level and method with that of middle schools cour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