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8 Download: 0

韓國木造建築의 造形性을 통한 陶瓷表現 연구

Title
韓國木造建築의 造形性을 통한 陶瓷表現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ermic Expression in the Korea's Wooden Construction through Formation
Authors
李承姸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Keywords
한국목조건축조형성도자표현기둥공포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어느 시기, 어느 나라든 그들만의 전통을 갖게 마련이다. 그러나 전통은 그들이 갖고 있는 역량에 의해 계승, 발전되기도 하지만 외부문화의 침투로 한 낱 지난날의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한국의 전통은 독특한 역사에 의해 분명한 맥을 잇지 못하고 외래문화와의 혼용 속에서 그 본질을 잃어 가고 있다. 따라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실천으로 전통을 재인식하는 의식의 전환점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의식의 전환은 조형 예술가들에게 있어서도 무엇보다 중요한 점이다. 왜냐하면 조형 예술의 표현에 담겨진 의식은 그 사회 전체의 의식을 반영 할뿐아니라 그들의 의식을 주도해 가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조형 예술가들의 어떠한 표현도 표현되는 순간 역사적인 것이 된다는 점에 동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민족적 조형의식과 고유한 문화의식의 회복에 눈을 돌려 한국의 확고한 미적 체계를 세계속에 정립하는 것이 우리 조형 예술가들의 분명한 과제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본인은 이 연구를 통해 현대 세계속에서 한국의 것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가를 찾는 시작점을 제시하는데 작은 힘이 되어 보고자 한다. 본인은 한국의 많은 조형물속에서 목조건축의 기둥과 공포대의 조형성과 그들이 이루어 진 조립식 구조에 관심을 갖고 이를 현대 조형예술의 흐름에 맞추어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목조건축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기둥과 공포대의 조형성과 특징, 그들을 이루고 있는 구조적 측면을 고찰하여 그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이것을 작품으로 표현하는데 있어 건축은 수리에 의해 이루어진 조형물이라는 특징을 기하학적이고 정확히 맞추어지는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석고틀을 이용한 泥裝注入式 成形方法을 취하였다. 요업개발 자기토를 이장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소지용 안료를 부분적으로 혼합하여 단청에서의 아름다움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석유가마와 가스가마에서 초벌하여, 투명유, 백색 matt 유 유약용 안료를 혼합한 유약을 담금법과 분무법으로 시유하여 가스가마에서 재벌하였다. 본인은 이 연구를 통해 현대 조형예술속에 확고히 정립 될 수 있는 한국의 고유한 미적 가치가 무한하다는 점을 인식하였고, 그것을 보다 빠르게 이루어 내기 위해 조형예술가들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하며, 그 일부에 참여 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미를 갖는다.;In any time and any country there may be original tradition Such a tradition having a tendency to develop and be handed down by its power and capacity, it is somtimes simply regarded as an inheritance when it ceased its existence for the invasion of foreign culture. In this sence, Korean traditions may be said to lose its originality through her peculiar history to the extent that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are deprived as foreign cultures are introduced indiscreetly Thus, a turning point of our consciousness is imperatively required to rerecognize our tradition with the aid of positive and spontaneous actions. Such a concious switchover is required from the plastic artists more than anyone else. It is because the consciousness in expressing the plastic arts not only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the whole society but also leads it. Additionally, it is generally agreed that any expression made by the plastic artists has a tendency to become a historical moment as soon as it is made. Therefore, the clear task for the Korean plastic artists is to establish firmly our aesthetic system in the world fine arts by paying our attention to the recovery of our national plastic consciousness and its original cultural consciousness. With such a problem in mind, this study tries to reveal what can be regarded as Korean by the world and to exploit how they should be developed and handed down so that it Hay be used beneficially in the near future. To do so, the study focuses on the formation and its assembling structure of pillars and Kongpodaes (an assembling part in the assembled construction) of the wooden construction in order to express them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plastic arts. Accordingly,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oden constructions are reviewed and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illars and Kongpodaes are examined to assume their theoretical grounds. In expressing them in works, a sort of the clay-decorative-pouring-in formation method is used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 that construction is the shape set up by a mathematical principle, in the form which is geometric and matched correctly. By using the ceramic industrial ceramic clay as the clay decorative and adding some pigment for foundation partially to the clay, the intentional beauty of a picture of many colours and designs can be felt indirectly. It is put to the undercoat in a oil stove and gas stove and then to the second undercoat in the gas stove with glaze constituting of transparent oil, white matt oil, and glazing pigment being glazed experimentally by the methods of immersing and atomizing.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Korea's traditionally original and aesthetic values which can be established clearly in the modern plastic arts are unlimited. And, to realize it rapidly more efforts are required from the Korean plastic artists more than ever; in this sense, the participation in this efforts has a great mea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