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自我受容과 自己 實現性의 관계 및 이에 관련된 변인에 관한 硏究

Title
自我受容과 自己 實現性의 관계 및 이에 관련된 변인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and Self-Actualization
Authors
金敬玉 .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자아수용자기 실현성변인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는 청소년 학생들의 건강하고 바람직한 성장을 촉진 시켜줄 心理的 변인이 무엇인가를 찾아 내고자 자아수용과 자기實現性간의 상관계수를 算出하여, 自我受容이 自己實現化에 얼마나 큰 影響을 끼는가를 알아내며, 환경要因들은 또 어떻게 自我受容과 自己實現化에 作用하는가를 밝혀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 究明하고자 하는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自我受容 정도가 높은 학생은 自己實測性 수준도 높은가? 2. 학생들의 가정환경변인들은 自我受容정도에 영향을 끼치는가? 3.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自己實現性水準에 영향을 끼치는가? 4. 연령과 性差에 따라 학생들의 自己實現性水準도 달라지는가? 이를 위해서 서울시내 인문고등학교학생 186명을 선정, 이들에게 自己實現檢査(김재은, 이광자), 자아수용검사(Combs의 자아수용검사와 정원식의 自我槪念檢査중 자아수용척도만을 합쳐 재 편집하였음), 가정환경진단검사(정원식)를 실시하여 이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각 檢査의 下位尺度간의 상관관계 뿐만 아니라 연령과 性에 의한 영향을 알아 보기위해서, 학년과 性差에 따르는 점수差의 검증을 하였다.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自己實現檢査의 대표尺度인 현재지향성(Tc)과 內部指向性(I)은 自我受容과의 상관관계에서, 얕은 상관이지만 분명히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Tc:r = .27 P<.01) (I:r = .34 P<.01) 自己實現尺度가운데서 자아수용과 가장높은 상관을 보여주는 尺度는 自己肯定性(SR: r=.44 P<.001), 자아실현성 (SAVP:r=.36 P<.001)이며, 실존성 (Exir = .08 P>.10)과 인간관(NCi r=.121 P>.10)에서는 가장 낮은 상관을 보였다. 2. 자아수용에 가장 높은 상관을 보여준 가정환경변인은 가정의 응결력(r = .36 p<.001), 가족간의 상호태도(r=.27 p<.001), 그리고 가족간의 친애(r=.24 p<.001)였다. 3. 自己實現性水準에 미치는 학업성취도의 영향은 일반적으로는 별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下位尺度인 自我實現性(SAV:r=.23 p<.05), 自己肯定性(SR : r=.22 p<.05) 실존성(R=.21 p<.05)에서는 낮은 상관을 보여 주었다. 4. 연령과 性差는 自我受容과는 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自己實現性과의 관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內部指向性점수에서 有意味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 연령과의 관계에서는 3학년이 1학년 보다 內部指向性과 감수성에서 유의미한 差로 높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and Self-Actualiz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essential Variables for mental health and personal happi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s of 186 students in High Schools in Seoul. (males;95 females;91)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ersonal Orientation Inventery (POI), Standardized by Jae Eun, Kim and Gwang Za Lee, The self-Acceptance Test Composed with the 50 iterms (20 iterms translated from the Self-Acceptance Test of Taylor & Combs and 30 iterms drawn from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Home-Background Test made by Won Shik Chung. The Problem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ill be there Positive cor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and Self-Actualization? 2. Will be the Scores of Self-Acceptance and Self-Actualization changeable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of age and Sex? 3. What kinds of environmental variables will influence on 4. Self-Acceptance and Self-Actualiz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the positive Cor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and Self-Actualization. The Correlational scores between Self-Acceptance and Time Competent, Innerdirected as the representative scales of Self-Actualization were r=,34 in Innerdirected and r=,34 in Time Competent. The highest correlational score was showed in Self-Regard as r=,44, in Self-Actualizing Value as r=, 36. The lowest scores of Correlation were r=,08 in Existentiality, r=,12 in Nature of Han and r=,14 in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2.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f Home-Background on the Self-Acceptance were "Gogulation"(r=,36), 'Hutual Attitudes' (r=,27) and 'Intimacy' (r=,24). 3. The Academic Achievement records were not alway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cores of (Self-Actualizing Value) (r=,23) and 'Self-Regard'(r=,22). 4. The differences of Age and Sex were nearly influenced on the Scores of Self-Acceptance but 1st grade Student showed lower scores in Inner directed' and 'Feeling Reactivity' than 3rd grade students. and Female student showed higher score in Innerdivected than mal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