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7 Download: 0

여성상징을 통한 도자조형 연구

Title
여성상징을 통한 도자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FEMALE SYMBOLISM IN CERAMIC ART : A CULTUR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Keywords
여성상징도자조형여성억압여성주의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작품이란 마르쿠제(H.Marcuse)가 말했듯이 미적 변형을 통하여 인간의 부자유와 화석화된 사회 현실을 타파하고 변화와 해방의 지평을 열어주는 것이다. 이에따라 본 연구자는 여성은 억압받고 있다는 전제 하에 화석화되어 있고 해방되어져야 할 현실 가운데 하나를 여성으로 보고 여성의 억압적 현실을 작품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였다.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인류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남성들과는 달리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남성지배 이데올로기에 길들여져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여성억압의 형성원인을 알아보고 이를 비판적 시각으로 조명하여 작품안에서 여성의 현실, 즉 여성이 억압받고 있다는 사실과 그 억압구조를 드러내 보이고져 함에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지금의 억압적인 여성 현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명사적인 고찰을 해보았고, 문명의 각 단계마다 예술작품에서 여성을 어떻게 묘사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인간에게 의식이 생겨나면서부터, 그리고 가부장제가 등장하면서부터 가부장적 문화가 얼마나 여성을 왜곡시키고 축소시켜왔는지를 밝히려 한다. 또한 각 시대의 훌륭한 대변자라고 할 수 있는 예술작품은 이러한 허구적인 여성의 모습을 그대로 묘사해왔고 많은 여성들은 그러한 허구적 이미지들을 비판없이 내면화시키게 된다. 여성주의 미술에서의 여성표현에서는 여성주의미술이 이러한 것들을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았고, 그들의 작품에서 어떻게 표현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표현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여체를 이용하였으며 각 문화에서 나타난 여성의 상징을 조형화하는 가운데 그 상징의 가시적 형태보다는 상징의 의미를 표현하려 하였다. 작품제작 방법은 이장주입기법(泥奬注入技法)과 압축기법(押軸技法), 코일링 기법(coiling)을 사용하였으며, 태토는 이장용 백색 자기토와 밀양 자기토, 조합토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모든 작품은 0.7㎥ 석유가마에서 900℃ 로 1차소성을 한 뒤에 작품의 특성에 따라 시유를 하였으며, 2차소성은 작품6을 제외하고는 1.5㎥ 가스가마에서 1,240℃로 산화소성하였다. 작품6은 0.14㎥ 전기가마에서 1,000℃로 산화소성하였으며, 작품2와 작품10은 0.14㎥ 전기가마에서 800℃ 로 3차소성까지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서 여성이 억압받고 있다는 사실과 그 억압구조를 드러냄으로서 여성의 현실을 다룬 도자표현을 하고자 하였다. 이와같이 사상(思想)을 조형화하는 작업은 우선 작가의 세계관이 반영되므로 그 사상이 건전한 것이어야 하고 의미전달이 확실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시각적인 작업이므로 자신이 표현하려는 것을 어떻게 조형화시키느냐 하는 것이 관건인만큼 다양한 조형언어의 습득과 그에 따른 기술적 문제의 완성을 위하여 많은 연구와 실험이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 계속 이러한 작업을 해나는데 있어서 삶의 경험으로부터 우러나오는, 그리고 비젼까지도 제시할 수 있는 작업을 해 나가려 한다.;A work of art, according to Herbert Marcuse, overcomes human restrictions and petrified social conditions through artistic transformation, eventually offering a prospect of change and liberation. Women's oppression is undoubtedly one of petrified living conditions about which art concerns itself, and therefore this study portrays women's subjugation as an attempt to suggest possible reforms. Women make one half of human kind as do men, however, women have hardly been granted full humanity with the male-centered ideological framework throughout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plore in history the causes of women's oppressions, and to scrutinize works of art to understand how women's oppresive reality and its structure are reflected.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will first review cultural tradition.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sent oppression on women, this study will examine how women have been portrayed in arts at each cultural stage, revealing that the emergence of patriarchy decisively contributed to the distortion and trivialization of women. Any work of art is a product of a given time, and often projects a misleading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dominant culture. In turn, many women have come to internalize and perpetuate this false image. Hence, this study will pay particular attention to how feminist art perceives this issue and how representations of women differ. This study of a series of ceramic works uses the female body as a major device to represent female symbolism in each culture, and the focus is upon the meaning, rather than the visual apparatus. Slip casting, pressing technique and coiling methods have been employed on white clay, ceramic clay of Mil-yang, and combination clay. All works were first fired at 900degrees(by centigrade) in a gasoline kiln. Following appropriate glazing, they were fired again at 1,240 in a gas kiln except work #6 which was fired at 1,000 in a seperate electric kiln. Works #2 and #10 were fired even for the third time at 800 in an electric kiln. In conclusion, the ceramics ware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reveal women's oppressive reality and its structur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existence A work of art is in a sense a materialization of the artist's value system and ideology. Consequently a good artist is expected to hold sound values and to deliver message. What is more significant, however, is the acquisition of various formative devices and the mastery of subsequent technical problems through numerous experiments and research. For the crucial questions to every artist engaged in a visual work is how to materialize his/her message, and eventually to provide a new vision of life derived from his/her continuing effo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