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아연-
dc.creator권아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8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8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취업주부가족과 비취업주부가족의 남편과 아내의 스트레스와 결혼적응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며 사회인구학적 변인, 주부의 취업관련 변인 및 스트레스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연령이 25-33세인 부부이며, 분석에 사용된 표본수는 취업주부가족 168명(84쌍), 비취업주부가족 168명(84쌍)이었다. 측정도구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McCubbin, Wilson과 Patterson (1979)의 FILE(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의 일부를 번안, 수정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2문항을 추가하였다. 결혼적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panier의 Dydic Adjustment Scale을 번만, 수정하였고 본 연구자가 3문항을 추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t-검증, 일원변량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단순회귀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의 α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간에는 스트레스와 결혼적응은 차이가 없었고, 취업주부의 남편과 비취업주부의 남편간에는 결혼적응은 차이가 없었으나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었는데 취업주부의 남편이 비취업주부의 남편보다 스트레스가 높았다. 2. 취업주부는 결혼 후에 취업한 경우, 취업이유가 자아실현보다 경제적 이유가 더 큰 경우, 부인수입과 남편수입에 비슷하게 의존하거나 부인수입보다 남편수입에 더 의존하는 경우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내었다. 3. 취업주부는 결혼 전에 취업한 경우, 취업을 지속하겠다는 경우, 취업 이유가 순전히 경제적 이유 또는 순전히 자아실현때문인 경우, 남편수입에만 의존하는 경우, 그리고 남편의 지지가 클수록 높은 결혼적응을 나타내었다. 4. 취업주부가족과 비취업주부가족의 남편과 아내의 스트레스와 결혼적응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비취업주부는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결혼적응이 높았고, 취업주부는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적응이 높았으며 주부의 취업관련 변인을 고려한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남편의 지지가 클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취업지속 기간이 길수록 결혼적응이 높았다. 비취업주부의 남편은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결혼적응이 높았고, 취업주부의 남편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결혼적응이 높았다. 스트레스 하위요인별로는 비취업주부가족의 남편과 아내의 결혼적응에는 부부관계요인만이 영향을 미쳤고, 취업주부가족의 남편과 아내의 결혼적응에는 가족관계요인과 부부관계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and marital adjustment of husbands and wives in working woman's families and nonworking woman's families and the effect of social-demogaphic variables, wife's employ-related variables, and the stress on the marital adjustment of them.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168 person(84 couple) of nonworking woman's families and 168 person(84 couple) of working woman's families, who are from 25 to 38 years old, married couple, and living in Seoul. As tools of measurement, McCubbin, Wilson & Patterson(1979)'s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and Spanier's "Dyadic Adjustment Scale" are used. The data are analized by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ronbach's α is also computed for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ies of the scal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etween working wives and nonworking wives, there is no difference in stress and marital adjustment. Between husbands of working wives and husbands of nonworking wives, there is difference in stress but no difference in marital adjustment. 2. The working wives' stress is higher when they are employed after thier marraige, they are employed by financial necessity rather than self-fulfilment, they rely on husband's income rather than wife's income or equally. 3. The working wives' marital adjustment is higher when they are employed before their marriage, they are employed only because of self-fulfilment or financial necessity, they are to continue to employ, they rely on their husband's income only, and husband's support is higher. 4. The correlation of the husband's and wife's stress and marital adjustment is negative in the working woman's families and nonworking woman's families. 5. The nonworking wives' marital adjustment is higher as their stress is lower, the nos. of their children is less, and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degree is lower. The working wives' marital adjustment is higher as their stress is lower and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degree is higher. Additionally considering wife's employ-related variables, working wives' marital adjustment is higher as their stress is lower, their husband's support is higher,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degree is higher, and the period of their employment is longer. The husbands' marital adjustment of nonworking wives is higher as their stress is lower and the nos. of the children is less. The husbands' marital adjustment of working wives is higher as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degree is higher and their stress is lower. In the effect of the stress sub-factors, only conjugal relation factor affect on the nonworking wives and their husbands' marital adjustment. Both family relation factor and conjugal relation factor affect on the working wives and their husbands' marital adjus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가족스트레스 = 5 B. 결혼적응(marital adjustment) = 9 Ⅲ. 연구문제 = 21 Ⅳ.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측정도구 = 23 C. 자료의 수집절차 = 26 D. 자료의 분석 = 27 Ⅴ. 결과 및 해석 = 29 A.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 29 B.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아내와 남편의 스트레스, 결혼적응 = 32 C. 주부의 취업관련 변인에 따른 취업주부의 스트레스와 결혼적응 = 35 D.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스트레스와 결혼적응과의 관계 = 41 E. 사회인구학적 변인, 주부의 취업관련 변인,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의 하위요인과 결혼적응과의 관계 = 42 Ⅵ. 논의 및 결론 = 51 참고문헌 = 57 설문지 = 64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138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주부-
dc.subject취업여부-
dc.subject가족스트레스-
dc.subject결혼적응-
dc.title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족스트레스와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mily Stress and the Marital Adjustment in Working Woman's Families and Nonworking Woman's Families-
dc.format.pagevi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