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체계론적 관점에서 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체계론적 관점에서 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OME MANAGEMENT IN THE WORKING WIVES' FAMILIES
Authors
최호숙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취업주부가정가정관리갈등관리취업주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을 체계론적 관점에서 규명함으로써 취업 주부가 겪는 갈등을 관리하기 위한 갈등관리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인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Deacon과 Firebaugh(1988), Crandall과 Knoll(1980), Paolucci, Hall, Axinn(1970) 등의 체계이론과, McCubbin(1982) 등의 가족갈등이론을 기초로 하였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Deacon과 Firebaugh(1988)의 가족자원관리의 체계모형을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모형은 투입단계, 변환과정단계, 산출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의 요소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투입단계의 요구변수로는 가족관계 갈등, 자녀양육 갈등, 가사노동 갈등, 재정관리 갈등 등의 갈등영역과 갈등 정도가 포함되었다. 자원변수로는 개인적 자원, 가족체계적 자원, 사회적 지지 자원, 재정적 자원 등이 포함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득, 주부의 교육수준, 자녀수, 가족형태, 가정기기 소유 및 이용, 자녀교육 및 양육시설정도와 이용, 가사노동 대체, 가사노동 수행방식, 가족의 응집력, 친척과의 상호작용이 포함되었다. 변환과정단계에는 계획과 수행을 중심으로 한 구조적 관리, 개인적 관리, 반응적 관리 등의 관리행동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산출단계의 변수로는 관리만족도가 포함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모형에 대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있어서 투입변수, 변환변수, 산출변수는 가족생활주기별로 차이를 보일 것인가? 둘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있어서 투입변수는 변환과정변수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 셋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있어서 변환과정변수는 산출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 넷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있어서 투입변수는 산출변수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 다섯째, 취업주부가정의 관리만족도 및 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여섯째, 취업주부가정의 관리만족도와 관련 변수와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측정도구를 작성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 조사의 연구대상은 유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취업주부 388명을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분산분석, F-test, T-test, 피어슨 적률상관관계분석, 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통계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있어서 투입변수(자원 및 요구)와 변환과정변수(관리행동)는 가족생활주기별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는데, 자원에 있어서 자녀수, 소득, 가정기기 소유, 개인적 자원, 가족체계적 자원은 가족생활주기 후기로 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가족의 응집력, 친척과의 상호작용, 사회적 지지 자원, 직업적 지위는 가족생활주기 전기로 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가사노동대체, 자녀양육시설정도 및 이용은 특히 미취학자녀기 단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요구에 있어서는 자녀양육 갈등과 갈등정도가 가족생활주기별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미취학자녀기 단계에 있는 가정의 자녀양육 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갈등정도 역시 미취학자녀기 단계에 있는 가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변환과정변수인 관리행동에 있어서는 계획점수와 관리유형이 가족생활주기별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 가족생활주기 전기로 갈수록 계획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구조적 관리 유형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한편, 관리만족도는 가족생활주기 전기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있어서 투입변수와 변환과정변수, 투입변수와 산출과의 관계 및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소득 및 직업적 지위,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사노동 대체정도가 높을수록, 가정기기 소유 및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가족의 응집력이 높을수록, 가사노동 수행방식이 효율적일수록, 친척과의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개인적 자원, 사회적 지지 자원등 자원이 풍부할수록, 또한 자녀양육 갈등 및 갈등정도가 낮을수록 계획과 수행점수가 높고, 구조적 관리점수가 높으며, 관리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환과정변수와 산출변수와의 관계는 계획점수, 계획과 수행을 합한 관리점수, 구조적 관리 점수가 높을수록 관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세째, 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보면, 계획에는 소득이, 수행에는 가족의 응집력이, 계획과 수행을 합한 관리에는 가사노동수행방식이, 관리 유형별로 보면, 개인적 관리에는 소득이, 구조적 관리와 반응적 관리에는 가족의 응집력이 가장 영향력이 컸으며, 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족의 응집력, 직업적 지위, 소득, 자녀양육 갈등, 구조적 관리, 반응적 관리로 나타났다. 네째, 취업주부가정의 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변수인 갈등관리는 가사노동 대체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의 응집력이 클수록, 자녀양육 갈등이 적을수록, 주부가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갈등관리 수준이 높았다. 또한 관리만족도에 대한 가사노동 대체, 가족의 응집력, 직업적 지위와 자녀양육 갈등, 가사노동 수행방식의 경로 효과는 매개변수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매개변수인 갈등관리를 통해 관리만족도에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조적 관리는 관리만족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로서, 다른 매개변수들보다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갈등관리행동에 있어서 계획, 수행과 더불어 관리유형인 구조적 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가족생활주기별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을 분석한 결과, 가족생활주기 전기로 갈수록 합리적인 갈등관리를 통해 갈등에 잘 대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가족생활주기 전기로 갈수록 계획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가족의 응집력, 친척과의 상호작용, 사회적 지지작용 등 구조적 관리전략과 관련 있는 자원을 풍부하게 소유하고 있다. 또 자원 활용 및 환경 변화를 추구하고, 가족 및 타인과의 대화와 협조를 통해 자신의 역할을 그대로 유지하고 가족원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역할과중을 줄이는 전략인 구조적 관리전략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족생활주기 후기 단계에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한 합리적인 갈등관리 전략에 대한 교육의 실시와 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미취학자녀기 단계에 있는 가정이 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우선 가정 내적으로는 주부 자신이 모든 역할을 혼자서 감당하기 보다는 남편 및 시가와 친정의 도움을 요청하는 등의 구조적 관리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가정 외적으로는 취업주부가 이용할 수 있는 자녀양육 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행동에 있어서 투입변수와 변환과정변수, 변환과 정변수와 산출, 투입변수와 산출과의 관계 및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원이 풍부하고 갈등이 낮을수록, 계획, 수행 등의 관리점수가 높으며, 관리점수가 높고 구조적 관리전략을 이용할수록 관리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자원과 관리유형을 보면, 모든 자원이 풍부한 경우 구조적 관리 전략을 이용하고, 재정적 자원, 개인적 자원이 풍부한 경우 개인적 관리전략을 이용하며, 자원이 부족한 경우 반응적 관리 전략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 취업주부는 갈등영역에 관계없이 구조적 관리 아니면, 반응적 관리전략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객관적, 물적 자원만이 아닌 주관적, 심리적 자원의 개발이 갈등관리에 중요한 요소가 되며, 구조적 관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취업주부가 관리행동을 통해 모든 자원 및 환경을 잘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세째, 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인구통계학적 지표로서 객관적인 자원인 소득, 직업적 지위, 가정기기 소유 및 이용 이외에도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지표로서의 가사노동 수행방식, 가족의 응집력, 친척과의 상호작용 등과 같은 자원에 의해서도 관리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요구인 갈등보다 자원이 관리행동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네째, 관리만족도에 대한 경로모형에서, 계획과 수행을 합한 관리와, 관리유형 중에서 구조적 관리 및 반응적 관리가 매개변수로서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투입과 산출을 연결하는 주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즉 투입변수가 변환과정을 매개변수로 하여 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체계가 투입, 변환과정, 산출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로써 Deacon과 Firebaugh(1988)의 이론과 McCubbin의 갈등관리 이론을 기초로하여 실증적 접근을 한 결과, 그 이론의 타당성이 입증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매개변수로서 가장 큰 설명력을 지녔던 갈등관리유형 중 구조적 관리는 가정의 객관적 주관적 환경을 보상할 만큼 충분한 영향력이 있어 관리만족도 수준을 다르게 인식시킬 수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취업주부가정의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계획 및 수행과 같은 관리점수 뿐 아니라, 갈등을 관리하기위해 사용하는 전략에 대해서도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취업주부가정의 갈등과 관리만족도는 가족생활주기 등의 상황적 조건보다는 직업적 지위, 소득, 가사노동 대체 등의 자원과 계획, 수행, 갈등관리전략 등의 관리행동과 같은 주관적, 심리적 조건에 의해서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일률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제시해주기보다는 각 취업주부가정의 가정관리하위체계(자원, 요구, 관리행동, 만족도)에 적합한 갈등관리전략을 제시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r the appropriat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to working wives by investigating home management of working wives' families from a systematic of view.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input variables, throughput variables, and output variables among working wives' families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2. What relations are between input variables and throughput variables? 3. What relations are between throughput variables and input variables? 4. What relations are between input variables and output variables? 5. How much are the independent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the management and management satisfaction? 6. How strong are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management satisfaction and all variables affecting it?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and it was applied to an empirical test by statistica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hose respondent were 388 working wives. The data were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NOVA, F-test, T-test, Pearsond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put variables, throughput variables, output variables had differenci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The working wives' families which are former term of the family life cycle used more appropriat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than latter term of FLC. That is, the working wives' families which are former term of FLC had more abundant resources such as cohesive power of family, interaction with relativies, social support, had higher planning score, used more frequent structural management strategies. But, The management satisfaction had no differences 2. For the relation of input variables and throughput variables, the more resources, the lower conflict is the higher planning, implementing score, structural management score. For the relation of throughput variables, the higher planning, implementing, structural management score is the higher management satisfaction score. For the relation of input variables and output variables, the more resources, the lower conflict is the higher management satisfaction score. 3. Among all variables affecting the management and management satisfaction, Besides objective and material resourc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resource had influence. 4. Among all variables affecting the management satisfaction, the commition of housework, cohesive power of family, wives' occupational level had indirect effect on management satisfaction through structural management. Only the income had direct effect on managemen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ttributed to enhance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for improving management satisfaction level and to find the causal effect of other variables affecting on the management satisfaction through system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