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딸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Title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딸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Daughter's Achievement Motive : The Focus of Subjects are a Farming Village and Fishing Village Girl Students in High School
Authors
이경화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부모양육태도성취동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44 third grade students in girl's high school.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s which their daughter perceved.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number of brother and sister, order of birth,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s, the monthly mean income of family, the jobs of father and mother), are their difference between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aughter's achievement? Lastly, this study tried to analyse the relation which is between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there daughter perceved. For data analysis, Mean, Frequencies, A percent, Standard deviation, Pearson's r, t-test, One-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Kudo-Richardson's alpha for reliability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As for each of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father and mother, mother's grade was higher than father's. E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attachment-oriented, self-regulation-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child-rearing attitudes and fath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onableness-oriented attitudes of father and mother. 2. Stochastically, the result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attitude and mother'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but among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chievement-oriented child-rearing attitude influenced differently-i.e the more concrete perception they had. 3. Demographic variables (the number of brother and sister, order of birth,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s, the monthly mean income of family, the jobs of father and mother) influenced daughter's achievement motive little. 4. Among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s, daughter's achievement motiv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ather's attachment-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child-rearing attitudes and among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daughter's achievement-oriented child-rear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ly with the resonableness-oriented child-rearing attitude. In conclusion, father's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influenced some child-rearing attitudes significantly, but accord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daughter's achievement motive shows no difference. Since father's attachment-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child-rearing attitudes and mother's resonableness-oriented child-rearing attitudes influenced daughter's achievdment motive significantly, we can remark that mother's resonableness-orient child-rearing attitude and father's entertainment-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child-rearing attitudes are needed.;본 연구에서는 딸의 성취동기가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및 사회 인구학적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여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오성심. 이종승(1982)의 질문지를 기초로 하여 수정.보완하였으며, 양육태도는 각각 애정지향적 양육태도, 자율지향적 양육태도, 성취지향적 양육태도, 합리지향적 양육태도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딸의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신영(1982)이 제작한 질문지를 기초로 하여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인구학적 변인으로는응답자의 연령, 출생순위, 남자형제 유무, 형제수, 부모의 연령및 학력, 직업, 가정의 월 평균 소득 등을 포함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Program Package을 사용하였으며, 평균, 빈도, 백분률,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t-test, 중다회귀 분석,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그리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Kuder Richardson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딸이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각각의 차원은 대체로 어머니의 양육태도 점수가 아버지의 양육태도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애정지향적 양육태도와 자율지향적 양육태도, 성취지향적 양육태도는 어머니와 아버지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합리지향적인 양육태도는 아버지와 어머니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딸이 지각한 아버지,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단지 어머니의 양육태도 각 차원 중 성취지향적인 양육태도에서만 딸의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맏이, 중간, 막내의 순으로 어머니의 성취지향적인 양육태도를 더욱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3.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딸의 성취동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딸의 성취동기는 딸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 각 차원 중 성취지향적 양육태도,애정지향적 양육태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딸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각 차원중에서는 합리지향적 양육태도만이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농어촌 지역에서는 딸이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단지 출생순위에 따라 일부 양육태도 차원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딸의 성취동기에는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딸이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각 차원 중에서 아버지의 성취지향적인 양육태도, 애정지향적인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각 차원 중에서 합리지향적인 양육태도만이 딸의 성취동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므로, 딸의 성취동기를 위해서는 어머니의 합리지향적인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애정지향적인 양육태도와 함께 성취지향적인 양육태도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