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효숙-
dc.creator김효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9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9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7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936-
dc.description.abstractThe home lives of housewives, nowadays, include wide variety of conditions to be improved qualitatively, and their roles to manage these conditions are more importantly demanded than in any other times. So, the measurement of housewives' living times is necessary to analyze home lives, to find their problems, and to reduce and rationalize the house-hold labors. Hen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grasp the living times of urban and rural housewives, to analyze their living attitudes, and to suggest the fundamental materials as complete solutions to manage the living times in home and achieve the objective of family. Preceding studies and questionaire methods are utilized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hysiological living times are spent for the most part of housewives' living times in a day, and the household labor times, social and cultural living times are spent next in order. Comparing the urban and the rural housewives, the latter spend more physiological living times and household labor times than the former while the former use more social and cultural living times than the latter. 2)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usual days and holidays, physiological living times and household labor times are much more in holidays than in usual days. However, the social and cultural living times are much more in usual days than in holidays. 3) The household labor times are influenced from the factors like the style, the size of the house, the sort of occupation, the educational level of housewives,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the number of family and of children. But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Examining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tems should be required to reduce the difference of living times for each field between urban and rural housewives. 1) The diffusion of modernized equipments and facilities should be needed to rationalize the household labors of rural housewives. 2) The times to watch T.V. and listen to radio must be reduc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living times. Time schedules for reading, bobby, and cultivation, and the opportunities and systematic situations to participate in social groups should be given. 3) The educational level of rural housewives must be enhanced. Because the abilities of housewives are necessary to make rational and scientific lives for both in urban and rural districts more than ever before. A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on the formulation of tool, sampling method, and the procedure to select the subjects, further study should be expanded to complement and generalize these points. And the analysis of multiple variables and the research on living times must continuously be implemented of owing to the economical situations, seasons, dwelling facilities, the extent of culture while simple analysis of variables with influence on the household labor times are conducted in this study.;오늘날 주부의 가정생활은 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조건이 다양하게 주어지고 있으며 이것을 관리할 수 있는 주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생활의 시간관리 문제가 여가 활용 및 활동에 대한 요구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주부의 가정생활시간의 측정은 가정생활을 분석하고 문제를 발견하는 한 수단으로서 또는 가사 노동의 단축, 합리화, 적정화를 위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주부의 가정생활시간을 파악하여 주부들의 생활태도를 분석하고 가정생활의 시간관리와 가족의 목표달성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선행 연구와 질문지를 통한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의 1일 생활시간 중에서 생리적 생활시간이 가장 많이 소비되었고 가사노동 생활시간, 사회적·문화적 생활시간의 순으로 소비되었다. 도시와 농촌을 비교해 보면 농촌주부는 생리적 생활시간과 가사노동 생화시간의 소비가 도시주부보다 길었으나 사회적·문화적 생활시간은 적게 소비되었다. 둘째, 평일과 휴일의 차이에서는 생리적 생활시간과 가사노동 생활시간이 휴일에 길게 나타났으며 사회적·문화적 생활시간은 평일에 길게 나타났다. 세째, 가사노동 생활시간은 주택형태와 주택크기, 직업의 종류, 주부의 학력수준, 막내자녀의 연령, 가족수와 자녀수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었으나 의의있는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도시와 농촌주부의 영역별 생활시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첫째, 농촌주부의 가사노동의 합리화를 위해 현대식 설비 및 기구 보급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문화적 생활시간에서 TV시청 및 라디오 청취 시간을 줄이고 신문·독서 및 취미·교양을 위한 시간계획과 사회단체 활동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 및 제도적 여건이 주어져야 한다. 셋째, 농촌 주부의 학력수준이 향상되어야 한다. 농촌과 도시주부들의 일과가 보다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주부 자신의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도구작성, 표집방법, 연구대상의 선정과정에서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지속되는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일반화시킬 수 있도록 확대되어야 한다. 그리고 가사노동 생활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개별 분석했는데 중다변인 분석과 경제상태, 계절별, 주거시설 설비, 문화의 정도등에 따른 생활시간의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배경 = 4 A. 생활시간의 개념 및 가정생활과의 관계 = 4 B. 관련 연구의 고찰 = 10 Ⅲ. 연구방법 = 16 A. 방법 및 조사 대상 = 16 B. 분석 방법 및 도구 = 16 C. 자료처리 = 19 Ⅳ. 결과 및 해석 = 20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20 B. 생활시간 실태 = 22 C. 평일과 휴일의 생활시간비교 = 32 D. 도시와 농촌주부의 생활시간비교 = 37 E. 사회ㆍ경제적인 변인에 의한 생활시간비교 = 43 Ⅴ. 요약 및 결론 = 53 참고문헌 = 56 부록 = 58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291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도시-
dc.subject농촌주부-
dc.subject생활시간-
dc.subject가정생활-
dc.title도시와 농촌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LIVING TIMES OF URBAN AND RURAL HOUSEWIVES-
dc.format.pagev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