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주거가치관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주거가치관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ou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Housing Values of the Apartment Residents
Authors
홍성희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주거가치관주거만족도아파트주거공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주거환경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주택이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데 대한 평가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는 사회의 문화와 관련된 거주자의 의견이므로 양적으로 처리될 수 없다. 그러므로 주거욕구의 충족에 대한 평가인 주거만족도의 연구는 질적 문제에 대한 접근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거주자들의 거주 상태에 대한 만족도의 내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문제로서는 첫째 가족의 환경적 요인(가정생활주기, 사회경제적 지위, 주택 소유형태)에 따른 주거가치관의 차이, 둘째 환경적 요인에 따른 주거만족도의 차이, 세째 심리적 요인인 주거가치관에 따른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문지를 통한 실태조사의 결과를 x^(2)-test, F-test, t-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의 결과는 첫째 주거가치관의 측면중 가치를 두는 측면은 내부, 입지, 교육, 건강 및 안정성 등이며 사회성, 지위 상징성, 심미성의 측면에는 가치를 두지 않았다. 또한 환경적 변인에 따른 주거가치관의 차이에 있어서 가정생활주기에 따라 높은 주기에서 내부시설, 지위 상징성, 심미성의 측면에 더 가치를 두었으며 초등 및 고등 교육기에서 통학과 교육의 측면을 더 중시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별로는 상층일수록 내부구조와 시설, 통학의 편리성, 이웃의 수준, 지위 상징성, 심미성, 경제성의 측면을 중시하였으며 하층일수록 통근의 편리성을 중시하였다. 또한 주택 소유형태에 있어서 자가일수록 내부 구조와 시설, 교육, 이웃의 수준, 지위 상징성, 심미성의 측면을 더 중시하였다. 둘째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환경적 요인으로서 가정생활주기에 따라 입지와 교육의 측면에 대한 만족도는 초등·고등 교육기에 높았으며 내부, 사회성, 사생활, 지위 상징성, 심미성, 경제성에 대한 만족도는 축소기에서 높았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은 입지의 측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상층이 가장 만족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주택 소유형태에 있어서 자가는 타가에 비해 내부, 입지, 사회성, 사생활, 심미성, 경제성의 만족도가 높았다. 세째, 심리적 변인인 주거가치관은 주거만족도의 9가지 측면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치를 두었던 측면에 대해서는 만족도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볼 때 환경적 요인인 가정생활주기, 사회경제적 지위, 주택 소유형태는 주거가치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주거만족도는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각기 다른 상황에 있는 가족들의 주거욕구가 충족되기 위해서는 이를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아파트 건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hou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housing value of the apartment residents as one of the housing problems in quality. So, this thesis dealed with the influences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socioeconomic status, homeownership) upon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and the affecting of the housing value on housing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red to 285 households living in apartment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Chi-Square test, F-test and t-test to grasp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considered inner aspects, location, education, health and safety but social, prestige, beauty were not considered. Second, as one of the demographic factors, the influence of life cycle stage on housing value were significant in the aspects of inner plumbing, location, education, prestige and beauty. The households in the hige life cycle stage tended to place a hige value on the aspects of inner facilities, prestige, beauty, while the aspects of attending, education were important in the stage of education. The value of inner aspects, traffic aspects, level of neighbors, prestige, beauty, economy were significant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 The respondents in the low socioeconomic status tended to put the importance in the aspects of commuting. The influence of homeownership were significant in inner aspects, education, level of neighbors, prestiges and beauty. The homeowners tended to show stronger value in all aspects than the renter. Third, the respon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traffic aspects, health and safety, education, inner aspects, and were not satisfied with the aspects of privacy, social and beauty. Fourth, the effect of life cycle stage on housing satisfaction were appeared in the aspects of inner, location. education, social, privacy, prestige, beauty and economy. In the aspects of location and education, the household in the school-age stage were more satisfied and the contracting famil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aspects of privacy, beauty, and economy. The effect of the socio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inner, education, social, privacy, health and safety, prestige, beauty and economy. The households in hige status were most satisfied with all the aspects and the influence of homeownership were appeared in the aspects of inner, location, social, privacy, beauty, economy and the homeowners were more satisfied with all the aspects. Fifth, the effect of housing value on hous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 all aspects. So, from the above analysis, we could find out that the patterns of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were varied with the family life cycle stage, socioeconomic status and homeownership. And the tendency of housing satisfaction was consistent with the housing val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