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認知發達水準과 modeling 效果

Title
認知發達水準과 modeling 效果
Other Titles
Cognitive-developmental level and modeling effects
Authors
宋永惠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인지발달modeling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compared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with Social learning theory and modeling effects in developing children's cognitiv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heme. This study was hypothesized as follows : 1. Cognitive developmental level will be difference according to chronological age and intellectual level. 2. The amount of modeling effects will be greater o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3. The amount of modeling effects will be greater above the child's own stage. 4. There will be no modeling effects in different content level. Two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In test 1, the subjects were asked to sort the object in that order. Modeling phase was took place in test 1. Test 2 was same method test 1. The finding as follows : 1. Cognitive developmental level is difference according to chronological age and intellectual level. 2. The best model to present to induce structual change is a model that reflects the stage just above the child's own stage. 3. Modeling effects is greater o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4. Modeling effects is greater in same content level and no effects in different content lever. The result confirmed all of our hypotheses.;本 硏究는 發達에 關한 다양한 理論에 비추어 認知發達에 對立되는 두 理論을 比較檢討하였다. 즉 認知發達은 年令에 따라 變化되기 때문에 一定한 成熟水準에 到達되어야만 發達될 수 있다는 理論과 단지 外的인 刺戟에 따른 强化에 의해 發達되기 때문에 年令은 전혀 考慮되지 않는다는 社會學習理論을 比較하였으며, 이 理論을 지지하기 위해 실시한 先行硏究結果를 比較하여, 각각 理論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면을 살펴 보았다. 그 結果 다음과 같은 5개의 假說을 세울 수 있었다. 1. 年令에 따라 認知發達水準에차이가 있을 것이다. 2. 知能水準에 따라 認知發達水準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過渡期^(1))에 속한 어린이에 대한 modeling의 갈등效果는 未獲得期에 있는 어린이에 대한 modeling의 葛藤效果보다 클 것이다. 4. model을 통해 얻은 觀察의 效果는, 전혀 model을 갖지 않은 集團보다 클 것이다. 5. 같은 영역의 modeling에서, 같은 水準의 檢査에서는 效果가 있으나 늦게 獲得되는 槪念에 대한 modeling의 效果가 빨리 獲得되는 槪念에는 아무런 影響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이상의 假說을 檢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實驗을 實施하였다. 實驗對象은 4歲~6歲6個月사이의 어린이 56名이었으며, 檢査1에서 認知發達水準을 보고, 檢査2의 結果는 水準1과 水準2에 있는 어린이중에서 統制集團과 實驗集團으로 나누어, 實驗集團은 實驗者 modeling 期間을 갖는다. 統制集團은 modeling의 기간을 갖지 않으며, modeling의 效果를 보기위하여 實驗集團의 檢査1과 2를 比較하여, 變化한 量과 形態를 統制 實驗의 實施는 1974年3月20日에서 22日에 걸쳐 豫備 實驗을 갖고, 實驗結果에 따라 피험자 年令·道具의 미비점을 보완했으며, 本實駱은 1974年4月1日부터 1個月에 걸쳐 실시하였다. 實驗에서 얻어진 結果는 分類·系列 槪念은 年令의 增加에 따라 높은 水準으로 反應했고, 무게保存槪念은 一定한 年今에 到達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다. 本 實驗에서는 5歲이후 부터 나타나기 始作하지만, 그 數는 아주적고 6歲後半부터 漸次 나타나기 始作한다. modeling效果에 對한 變化量은 統制集團은 檢査1과 2에서 같은 水準으로 反應하는 傾向이 있으나, 實驗集團에서는 낮은 水準으로 變化하거나 같은 水準에 머물러 있는 어린이보다 높은 水準으로 變化한 量이 더 많다. 變化의 形態도 水準1에서 水準2나 3으로 變化한 量보다 水準2에서 3으로 變化한 量이 더 많았다. 따라서 過渡期에 있는 어린이에게 實施한 modeling이 더 效果的이다. 全體的인 modeling의 效果에서 같은 種類의 分類·系列 槪念에서는 그 效果가 크지만, 같은 保存課題라도, 무게 保存에 대한 modeling의 效果는 數 保存에 전이 되지 않으며, 이것은 무게보존이 나타나는 時期가 數 保存보다 늦게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解釋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