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權倫寧-
dc.creator權倫寧-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6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73-
dc.description.abstract元聖王은 新羅 下代의 始祖로서, 下代는 元聖王과 그 直系孫에 의해 王位가 거의 독점 · 계승되었으므로 元聖王系의 시대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下代는 中代에서만 볼 수 있었던 專制王權的인 統治體制가 붕괴되고, 貴族聯立的인 性格을 갖는 시기였으며, 또한 骨品制度에도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만을 지적하고 있을 뿐, 元聖王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논문에 부수적으로 언급하는 데 불과하였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우선 元聖王 卽位의 政治的 背景을 살펴보고 그의 王權强化策을 통해 전제왕권 구축 노력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中代의 전제왕권과 下代의 그것을 비교 · 고찰함으로써 下代에서 元聖王이 차지하는 위치 및 그 전제정치의 성격을 구명해 보았다. 元聖王의 즉위배경은 中代 末 惠恭王을 전후한 정치적 혼란을 통해 볼 수 있다. 中代王室의 전제권 강화를 위한 귀족의 도태는 결과적으로 방계귀족의 등장을 초래하였는데, 그 방계귀족의 대표적 인물이 바로 金敬信(後 元聖王)이었다. 그는 정치적 실력을 키워 武烈系인 金周元과의 왕위경쟁에서 승리하였다. 이로써 武烈王權은 무너지게 되었고, 元聖王이 下代의 始祖로써 즉위하게 된 것이다. 다음으로 元聖王은 왕권강화책의 하나로 五廟를 세움으로써 家系의 위계질서를 매듭짓는 동시에 王統의 권위를 높일 수 있었으며 讀書三品科의 설치를 통해 儒敎政治理念을 구현하였다. 이것은 그의 지배권을 합리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전제왕권을 이루는 기반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강력한 왕권의 구축은 풍부한 경제력의 뒷받침 없이는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水利施設의 확충이 전제됨으로써 그것을 가능케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元聖王은 官僚制度의 정비를 통해 독자적인 왕권을 세워가고 있었다. 즉 지방제도의 정비 뿐만 아니라, 僧官制의 정비를 통해 佛敎와 연결하려는 새로운 종교정책을 시도하였다. 특히 귀족들의 兼職化와 권력비대화는 왕권을 제약했던 것이니 만큼 元聖王은 그에 대한 견제로써 겸직을 극히 제한하려고 노력하였다. 元聖王은 下代의 대표적 존재로써 元聖王系라는 王統을 유지하고 王位를 그의 후손들이 계승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제정치의 기틀을 마련해야만 했다. 그리고 下代에는 元聖王 이후에도 전제왕권을 이루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되풀이 되었다. 그러나 下代의 전제왕권은 中代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下代의 전제왕권은 一元的인 王室支配가 아니라 元聖王 諸孫의 협조로 이루어진 것이었기 때문에 中代의 전제왕권과는 같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특히 그 내부에서는 元聖王의 諸孫을 始祖로 하는 여러 家系가 견제 · 대립하고 있었으므로 그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무너질 가능성을 갖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元聖王代는 그의 諸孫들에게 둘러싸인 왕권이었기 때문에 한정된, 정치적 타협에 의한 전제왕권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元聖王代에 기도된 위와 같은 王植專制化의 노력은 그 후 景文 · 憲康王代의 또다른 王權强化에 큰 밑거름이 되었음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King Wonsung is the founder of the low era(King Wonsung line: 元聖王系). Because the low era is succeeded by he and his descendants which is regarded as King Wonsung line(元聖조系). Bu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utocratic kingship which can be seen in the middle era(King Mooyeol line; 武烈王系) is destroyed in the low era weak dynasty of aristocratic combined is continued. And also, thre is a little change in the GOLPUMJAE(骨品制). But there is only little reference about King Wonsung.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process of appearance of King Wonsung and his efforts which he tries to construct autocratic kingship are examined. And by comparing and considering autocratic kingships in the low era and the middle era, the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utocratic kingship King Wonsung is refered in the low era. The backing of enthronement of King Wonsung can be seen by the King Hyegong(惠恭王)period which is around political disorders in the end of the middle era. The nobility's choas to reinforce autocratic kingship result in contrary weakness and appearance of a collaterral nobility which is leaded by KIM kyong-sin(金敬信). By building the political power, KIM kyong-sin wins the race of the throne with KIM Ju-won(金周元). As a result of that, King Mooyeal line is destroyed and King Wonsung becomes the first king of the low era. After that, King Wonsung establish OMIO(五廟) and DOGSUSAMPUMGUA(讀書三品科) for build up the authority strength. Additionally he tries establishments of OMIO and DOGSUSAMPUMGUA to rationalize his authority and the foundation of autocratic kingship. Furthermore, he performs expansion of irrigation equipment because it is impossible to build powerful authority without strong economics. Though reconstruction of bureaucracy, he has been building his own authority. He tries to more close to new religious political system to connect with Buddism though not only reconstruction of the locality institution but also the priest institution. Especially, because a concurrent position and expansion of King, King Wonsung tries to restrict a concurrent position to defense. As the typical King of the low era, King Wonsung maintains King Wonsung line and the authority of political system to succeed his position to his descendants. After King Wonsung, trials of continuity to maintain autocratic kingship are repeated. But autocratic kingship in the low era is not same as one of the low era. Autocratic kingship in the low era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because it is succeeded by step-descendants. Particularly autocratic kingship in the low era has some possibilities of destruction of its stability since there are opposed to many lineage which have the founder of step-descendants. Event uallly, King Wonsung's period is surrounded by his step-descendants and its autocratic kingship is restricted and politically compromized. But his efforts for autocratic kingship of King Wonsung's period become background to build autocratic kingship of King Kyngmun(景文王) and King Hyungang(憲康王)'s peri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序言 = 1 Ⅱ. 元聖王 卽位의 政治的 背景 = 3 Ⅲ. 元聖王代의 王權强化策 = 16 A. 五廟制와 讀書三品料의 設置 = 16 B. 爲民政策과 水利施設의 擴充 = 20 C. 官僚制度의 整備 = 23 Ⅳ. 元聖王系의 政沿約 推移 = 31 Ⅴ. 結語 = 38 參考文獻 = 40 ABSTRACT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92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신라-
dc.subject원성왕계-
dc.subject정치적 성격-
dc.subject왕권강화책-
dc.title新羅 元聖王系의 政治的 性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olitical Character of King Wonsung's Period of Silla Dynasty-
dc.format.page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