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아프리카 흑인 彫刻과 現代彫刻에 관한 硏究

Title
아프리카 흑인 彫刻과 現代彫刻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between the Africa Negro Sculpture and the Modern one
Authors
丁英愛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Keywords
아프리카흑인조각현대조각조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現代彫刻의 表現樣式을 이해하기 위하여 아프리카 흑인彫刻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20세기에 들어와 새로운 表現形式으로 각광을 받게 된 抽象이라는 조형예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本 硏究의 目的은 추상성이라는 문제를 놓고 원시와 현대의 조형적요소가 어떻게 조형화 되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은 아프리카조각과 현대조각의 理論的 背景을 고찰하여 아프리카흑인 조각이 현대조각에 미친 영향을 살펴 보았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기위해 정신적 세계관을 상호 관련지었고 아프리카와 현대의 작품 중 원초성에 근거한 작품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과 작품을 기본도구로 하였으며, 문헌은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연구하였고 작품은 아프리카흑인 조각의 표현양식과 아프리카와 현대의 작품을 임의추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사점으로는 첫째, W.Worringer의 학설을 근거로 精神的 側面에서는 외계현상에 의한 불안으로 抽象形式이 나타났다는 점과 둘째, W.Kandinsky의 논술에 의거한다면 造形的인 측면에서는 외적 유사성에 의해 외적 형식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그러나, 상이점으로는 원시에 있어서는 외계현상에 대한 비과학적인 요소에서 추상형식이 기인되었으며 이는 감정의 필연적 소산으로서 어떤 한계성에서 나온 것이며, 현대의 추상은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그로 인한 정신분열 등의 외계현상에 의한 형식으로, 극도로 심취된 美意識의 소산으로서 발생된 것임을 알아보았다. 結論的으로 추상예술이란 주체가 인간 자신으로서 자유로운 정신적 조형성에 의해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원시와 현대는 모두 인간정신에 관여한 점에서 원시성과 현대성과의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A comparative study of mode of expression between the modern sculpture and the Africa Negro one, mother of the former shall serve a good comprehension of the new formative art called the ABSTRATION that has made its appearance before the footlights in 20th century. This study is purposed to grasp how the factor of the formative art of modern tim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bstraction could be traced in that of the primitive era. A theoretic background of the modern sculpture has been compared to that of the Africa Negre one to find out historical relationship of the two different mental views of the world through the appreciation of works of the formative art. Large stock of literatures and works of each era were provided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wo different modes of expression has been sought through close study of literatures, while several works of the formative art have been picked up from each source with free choice to bring under observation. The following findings have been obtained. Firstly, as W.Worringer pointed out in his theory, the mental attitude of discontent toward the outer Phenomenons caused the rise of form of the abstraction. Secondly, it was only natural that the similarity of expressive mode presented itself for the similar objectives of the art, according to W.Kandinsky. However, the unscientific approach to the outer world was immediate cause of abstraction in the primitive forms an inevitable result from the primitive emotion within a limited framework. On the other hand the modern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schizophrenia perceived outer world in their own splitted view in the fascinated aescethic sense. As a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subject of the art of the abstraction is the human himself, who is expressed through a free mental form, and both of the medern and primitive characters of art are deeply related in the same human spir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