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옥영-
dc.creator김옥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8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6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6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669-
dc.description.abstractContemporary arts has developed into the aspect of "formation" through pure expressive elements rather than a faithful imitation of object. Technical arts spurred by such trend of abstractionism intoduces technical tradition to the pure aesthetic mode of expression, and which leads the direction of fiber arts into the world of pure formativ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bstract arts forms a basis of analyzing and composing the geometrical form which is made up of line and plane. The plane composition and the color of traditional patchwork wrapping-cloth remind of geometrical composition in the 20th century abstract arts by creating a modern sensibil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illuminate the formal quality of wrapping-cloth, and to express such modern sensibility into the formative works of art by dyeing. Some points of my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I investigated the 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art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ucking force of geometrical form, and line and plane as compositional elements. In chapter Ⅲ, I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the color traditional patchwork wrapping-cloth which is a design motive of my works. In chapter Ⅳ, I made clear my point of view about fiber and the way how abstract arts, the traditional patchwork wrapping-cloth, and patchwork techniques gave form to my works. Finally, I examined the work-raking process that is devided into scouring-bleaching, dyeing, and patchwork, and then analyzed my works. Chapter Ⅴ shows my conclusions attained through above theoretical and formative studies and through making and analyzing the work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ometrical form demonstrates an universal and comprehensive form of life which has been generated and changed through history and made its diverse existence at each period and each era. It is a reasonable formative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world and a representative language of expression to symbolize out time. Second, It can be seen as an evidence of "the universality of beauty", that is every beauty has sam root irrespectively of age, idea, and geography. A tradition in art can not be preserved by rejecting foreign cultures. It must be reproduced by creation and development of new interpretation that is imbued with inner spirituality. Third, in the work-making process, not only the element of material and continuous experiments on the expressive techniques but also finishing touch to complete the works as a formative entity is very important. Difficulties rising from such process must be overcome by more thorough understand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My work surveyed so far is an attempt to gain not a definite conclusion, but a suitable starting point. In consequence, I believe my onward work should be advanced by an incessant self-investigation, and in the infinitely opened world of expression open and free attitude toward study world bring the expension of the original expressive form and its contents.;현대 미술은 대상의 충실한 표현보다 순수한 표현요소에 의한 「형성한다」는 측면으로 발달되어 가고 있다. 이 추상주의 사조는 공예 분야에도 많은 자극을 주어 기술 전통으로부터 순수한 심미적 표현을 추구하는 새로운 장을 열어 섬유예술의 방향을 순수 조형의 세계로 이끌었다. 추상미술의 이론적 배경은 선과 면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 형태의 분석과 구성에 기반이 되며, 전통 조각보의 면구성과 색채는 현대적 감각을 일으켜 그대로 20세기 추상미술의 기하학적 구성을 연상시킨다. 이에 본 연구자는 조각보의 조형성을 새로이 보아 그 현대적 감각을 염색 작업을 통한 조형 작품으로 시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추상미술의 형성과 특성, 기하학적 형태의 특성과 흡인력 그리고 조형 요소로서의 선과 면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Ⅲ 장에서는 작품의 디자인모티브 (design motive)가 된 전통 조각보를 구성과 색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Ⅳ 장에서는 추상미술과 전통 조각보, 패치워크(patchwork)기법이 어떻게 본 작품으로 형성되는가와 연구자의 섬유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또한 작품 제작 과정은 셋으로 나누어 정련·표백 과정, 염색 과정, 패치워크(patchwork)과정으로 살펴보고 작품을 분석해 보았다. Ⅴ 장은 위와 같은 이론적 연구와 조형적 연구, 제작 및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오랜 역사 속에 생성·변천되며 각 시대나 지역에 다양하게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는 삶의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형태를 나타내어 현대를 이해하는 합리적 조형으로서 이 시대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표현 언어라 할 수 있다. 둘째, 우리의 전통 조각보에서 추상미술의 典型을 발견하는 것은 시대, 사상, 지리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美의 뿌리는 하나라는 '美의 보편성'의 증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술에 있어 전통은 외래 문화의 배격으로 고수될 수 없으며, 내면적 정신성을 내포한 새로운 해석으로 창조 발전시키는 방향에서 재현되어야 한다. 셋째, 작품 제작에 있어서 재료의 중요성과 표현기법의 계속적인 연구 실험뿐 아니라 하나의 조형물로 완결되기 위한 마무리 작업도 매우 중요하다. 재료의 특성에 대한 보다 철저한 파악과 연구로 그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겠다. 이제까지의 작업은 어떠한 결론이 아닌 단순한 출발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작업은 무한히 열려있는 표현의 세계에서 좀 더 자유롭고 개방되어진 연구 자세로 항상 새롭게, 독창적인 표현 형식과 내용의 확대를 위해 끊임없는 자기 모색을 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연구 = 3 A. 추상미술과 기하학적 형태 = 3 B. 조형요소로서의 선과 면 = 5 Ⅲ. 조형적 연구 ; 전통 조각보 = 7 A. 구성 = 7 B. 색채 = 10 Ⅳ. 제작 및 분석 = 14 A. 형성 = 14 B. 제작과정 = 19 C. 작품분석 = 21 Ⅴ. 결론 = 41 참고문헌 = 43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640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
dc.subject공간구성-
dc.subject생활미술-
dc.title선과 면에 의한 공간 구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pace Composition by Line and Plane-
dc.format.page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