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발묵과 파묵을 통한 수묵 풍경 연구

Title
발묵과 파묵을 통한 수묵 풍경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andscape Ink Painting drawn with Balmuk and Pamuk
Authors
朴惠祥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Keywords
발묵파묵수묵 풍경한국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인은 숨가쁘게 돌아가는 도시의 높이 솟은 콘크리트 건물들 사이에서 생활하는 가운데 도시 건물이 주는 반복적이고 획일적인 느낌에서 벗어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본인의 작품은 마을 풍경이 전달하는 각양각색의 감성적 이미지를 작품의 소재로 하였다. 넓게 펼쳐진 논밭, 나지막한 구릉, 새벽 안개, 소나기를 머금은 먹구름, 저녁 무렵의 고즈녁한 분위기, 비 내리는 날의 흐릿한 하늘 등 자연 현상이 주는 서정적이고 감각적인 아름다움을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는 흰색의 여백과 자연스러운 발묵 기법을 통해 조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수묵의 단조로운 느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법을 구사함으로서 변화있는 화면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였다. 분위기 그윽한 선염(渲染)과 적묵(績墨), 수묵의 번짐과 스며듦, 그리고 이러한 질서를 깨는 파묵을 통하여 유현한 먹빛을 살리고 화면에 공간과 깊이감을 추구하고자 노력하였다. 작업의 소재는 전통 산수의 테마가 아닌 현대적 풍경에 가깝지만, 동양 회화의 전통 기법을 도입하여 마을 풍경을 주제로 한 현대적 수묵 풍경화를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작업의 근간을 이루는 전통 기법을 되짚어 보는 것은 본인 작업의 정체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원 재학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본인의 주관적 조형 의지와 작품 제작 과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론적 부분은 파묵과 발묵, 구도와 여백의 의미와 그것이 실제 화면에서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하여 중국 산수화를 예로 들어 살펴보고, 산수화의 전통적 공간 원리에서 중요시하는 구도(構圖)와 여백(餘白) 그리고 파묵(破墨)과 발묵(潑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조형 요소와 기법을 통하여 마을 풍경을 나타내고자 하였던 본인의 작품에 있어서의 조형 의식에 대하여 서술함으로서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While I am living between the high-rise concrete buildings in the busy city, I have an impulse to escape from the repeated and uniform sense of the urban buildings. I used various emotional images as sources for my work, which were derived from small village landscape. Such natural phenomena as wide-flung rice paddies and fields, low hills, fog at dawn, dark clouds containing shower, still atmosphere at dusk, cloudy sky on rainy days, etc., cannot but be lyrical and beautiful. Using such sources, I attempted to produce my work in a formative way by taking advantage of the white canvas margin and natural Balmuk technique. In order to minimize the simple feeling of the ink painting, I tried to apply diverse painting techniques to vary the canvas. To this end, I attempted to pursue a sense of depth on the canvas and thereby, enliven the secluded ink color by using such techniques as sonorous Sunyeom and Jeokmuk, ink spread and penetration, and Pamuk breaking such an order. My work may be similar to a modem landscape painting rather then the traditional mountain and river painting, but because it applied the Oriental painting technique to depict the rural village landscape in a modern ink painting way, it may well be a good clue to confirm the identity of my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my subjective will and working processes during my graduate school days.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Pamuk, Balmuk, canvas composition and margins were reviewed by referring to the Chinese mountain and river paintings, and thereupon, their implications in the tradition of the mountain and river paintings were reilluminated for my work. In all, this study discusses my formative will to depict a village landscape using such formative elements and technique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my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