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은영-
dc.creator최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7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77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예술 창작을 중심으로 한 '인간'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하여, 예술 창작에 대한 창작자의 견해와 더불어 작품 분석을 통한 인간 성찰을 하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인간 성찰'은 본인 자신을 떼어놓고는 가능할 수 없었으며, 오히려 주변의 인물을 작품화하는 과정에서 창작 활동에 대한 창작자로서의 의지와 신념을 재고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인간'을 주제로 선정함에 있어서 본인은 예술 창작에 관여하는 예술 창작의 주체(창작자), 작품의 주제로서의 대상(인물) 그리고 예술 작품을 즐기는 관람자(감상자)를 모두 인간 성찰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접근 방법으로는 우선 '인간 성찰'의 측면을 철학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나누어 보았으며, 작품 분석을 통하여 조형적 표현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 때 분석의 토대는 기존의 이론을 재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 제작 과정에서의 경험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상기의 접근 방법을 근거로 하여 본 논문의 분석 체계를 다음과 같이 세 장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제 Ⅱ장은 인간 성찰의 다양한 측면으로서, 인간을 성찰함에 있어서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분석한 것이다. 첫째는 인간의 본질을 통한 철학적 고찰로써, 창조하려는 인간의 본질을 염두에 두고 이와 연관하여 예술창작에 대한 본인의 미적 성찰과 신념을 피력하였다. 필자는 작품 제작에 앞서 창작 활동의 주체로서 내적 사고를 정립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인간 성찰의 근본으로써 본인의 사고를 먼저 밝히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사회적 고찰로써, 사회화 과정을 통한 인간의 역할을 살펴보면서 작품의 주제인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을 밝혔다. 대상을 바라보고 그것을 작품화하는데 있어서 관찰자(예술 창작의 주체 즉, 작가)의 시각은 해석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인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개인을 탐구하면서 인간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끝으로 작품 제작에 관여하는 작가, 작품 그리고 감상자의 유대감을 통하여 이들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작품 제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작자의 갈등과 작품을 매개로 한 감상자들과의 교류를 심리적 고찰로써 접근하였다. 제 Ⅲ장은 조형적 표현 방법을 모색하는 장으로써, 전술한 인간 성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 제작에 있어서 기법적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본인은 '인간'을 주제로 하여 작품화하는데 있어서 캔버스나 광목, 마대를 사용하여 그 위에 드로잉과 한지 꼴라쥬 기법을 통하여 '인물'을 표현하였다. 작품 분석을 통해서는 첫째, 본인 작품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백색의 의미와 여백을 포함한 공간의 확장을 논의하고 둘째, 드로잉의 즉흥성을 통한 내면과의 소통을 밝혔으며 셋째, 마티에르의 활용과 한지 꼴라쥬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표현에 있어서 먹과 한지를 이용하는 전통기법을 배제하고 마대를 새롭게 사용하였으며, 프레임(frame)으로써의 화판이라는 틀을 벗어나 화면과 외부공간과의 자유로운 소통을 위하여 마대의 올을 제거하여 삼중화면(三重畵面)을 시도해 보았다. 제 Ⅳ장은 대학원 과정동안 제작한 그림 중 여덟 점을 선정하여 각 작품에 대한 분석을 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예술 창작을 위한 내적인 통찰을 재확립하고 인물을 표현함에 있어서 새로운 시각적 방법 모색을 위한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This paper is aimed at self-examination of human through work analysis as well as views of creators on creation with the subject of 'human' focusing on artistic creation. Especially, 'self-examination of human' is indivisible with self itself, and it became the chance to re-examine willpower and belief in creative activity as creator in the process of working on surrounding figures. Accordingly, in choosing 'human' as the theme, I made the subject of art creation(creator), the object of work(figure) and spectators that enjoy art pieces(viewers) all as the subject of self-examination of human. The way of approaching this paper is grope for modeling expression methods through work analysis as well as dividing aspects of 'human self-examination' into philosoph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On the basis of the above-stated approach, I divided the system of this paper into three chapters. Chapter Ⅱ is an analysis on various aspects of self-examination of human as the following three. First, as psychological examination though human essence, it describes my examination of and belief in art creation on the basis of the human essence to be created. I think establishing internal thoughts as the subject of creative activity before making art piece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Second, as social examination, it identifies views of 'human' by looking at the roles of human th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Views of spectators(the subject of art creation, that is, artist) become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ranslation. Accordingly, I tried to translate human while exploring an individual as member of society. Finally, I tried to grasp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artist, art work and viewers that are involved in art creation. For this purpose, I approached conflicts of artist and interactions with viewers as psychological approach. Chapter III as search for modeling expression methods, it analyzes technical features in art work creation on the basis of self-examination of human written above. Using canvas, cotton cloth and linen in creating work of 'human', I expressed a 'figure' through Korean paper collage and drawing. For work analysis, first, I discussed the expansion of space including the meaning of white and blank that continuously appear in my work, second, I manifested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through spontaneity of drawing, third, I analysed the use of matiere and the effect of Korean paper collage. Especially, I newly used linen exclud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that uses indian ink and Korean paper, and tried triple image by :removing texture of linen for free communication with image and outer space. Chapter IV is an analysis on eight pieces of painting that I made while in graduate school. Finally, I'd like to re-establish inner examination for art creation through this paper, and also take it as the chance to grope for new visual methods in expressing fig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 Ⅱ. 인간 성찰의 다양한 측면 = 3 A. 철학적 고찰 = 3 B. 사회적 고찰 = 7 C. 심리적 고찰 = 11 Ⅲ. 조형적 표현 방법 모색 = 14 A. 백색의 의미와 공간 확장 = 14 B. 드로잉의 즉흥성을 통한 내면과의 소통 = 17 C. 마티에르의 활용과 한지 꼴라쥬의 효과 = 20 Ⅳ. 작품분석 = 23 Ⅴ. 결론 = 47 참고문헌 = 49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33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인간 성찰-
dc.subject조형적 표현-
dc.subject미술-
dc.subject한국화-
dc.title인간 성찰의 조형적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52 p. : 삽도, 색채도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